•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Quality Center

문서에서 요양병원 입원관리 지표 개발 (페이지 97-103)

메디케이드 혁신 가속화 프로그램

(Medicaid Innovation Accelerator Program)

Supporting

State

State

State

State

98

의료급여 발전방안 모색 연구

제4장 미국 메디케이드 사례 고찰 및 시사점

99

⧠ 재정 차등지원에 대한 관리

○ 현재 우리나라 의료급여의 재정은 시·군·구에 따라 최소 4%에서 최대 50%까 지 지방정부가 부담하고 있음.

-그러나 이러한 낮은 지방분담률로 인해 각 지자체가 체감하는 의료급여 사 업에 대한 예산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음.

이에 의료급여 사업에 대한 관심이나 의료급여 재정 효율화를 위한 노력 들이 저조한 실정임.

<표 4-5> 의료급여 국고보조비율

구분 서울특별시 광역시

자치구 자치구

지방비 50% 없음 20% 없음 14~16% 6% 4%

국비 50% 80% 80%

○ 따라서 장기적으로는 의료급여의 재정분담률을 각 지방정부의 의료급여 운영 성과에 따라 차등화 함으로써 지자체의 의료급여 사업에 대한 책무성을 강화 시키는 노력이 필요함.

-미국 메디케이드에서는 주정부가 연방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연방정부가 제시한 목표·성과의 달성여부에 따라 정규예산 (FMAP)의 지원 비율을 상향조정하거나 정규예산을 추가로 지급하는 인센 티브 기전을 갖추고 있음.

○ 이러한 예산의 차등분담률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차등지급 기준을 적용시키기 위한 평가기준 마련과 각 지자체의 의료급여 사업 평가가 필요함.

○ 이와 더불어 지자체별 적용된 차등지급에 대한 적절성을 평가하거나, 지자체 에 추가로 지원된 재원의 적절한 활용 등 의료급여 재정분담에 대한 관리가 필 요할 것으로 판단됨.

100

의료급여 발전방안 모색 연구

⧠ 가치기반 구매를 위한 평가

○ 우리나라의 의료서비스도 “가치기반의 구매”로 패러다임이 변화 할 것으로 전망됨.

-의료급여는 의료서비스의 과다이용을 통제하는 동시에, 수급자의 미충족의 료와 건강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만큼 가치 중심의 구매가 더 욱 중요시됨.

○ 미국 메디케어의 사례를 보면, 가치기반의 의료기관 인센티브 지급을 위해서 는 제공된 의료서비스에 대한 올바른 측정과 이에 대한 점수산출이 중요함.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가치기반 구매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의료기관의 적절 성 평가 데이터와 심사평가원의 심사평가자료, 의료기관 정보를 활용하여, 진료비 심사도 가치기반 중심의 심사평가체계로 개편될 필요가 있음.

여기에서 가치란 의료비용과 의료비용대비 효과로 대응 될 수 있음.

○ 이에 따라 성과가 낮은 공급자에게는 컨설팅을 제공하고, 지표의 모니터링 결 과들을 제공함으로써 전체 의료의 질 향상을 제고할 수 있음.

〔그림 4-16〕 가치기반 지불제도 개편 전후 비교

제4장 미국 메디케이드 사례 고찰 및 시사점

101

⧠ 지자체 프로그램 운영지원

○ 지자체 프로그램 운영은 의료급여 제도에 대해 법정 보장기관인 지자체의 관 심을 증대시키고, 각 지자체별 특성을 반영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음.

○ 미국의 메디케이드는 연방정부에서 제시하는 혁신모형을 주정부에서 따르기 는 한편, 주정부가 자체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면서 이에 대해 연 방정부의 지원을 받기도 함.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의 주정부와는 달리 자체적으로 프로그램을 기획하 고 실행할 수 있는 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중앙정부와 전문기관에서의 기술 적 지원이 필요함.

○ 심사평가원은 지역별 진료비 지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의료급여 사례관리업무를 위탁하여 맡고 있는 특징이 있음.

-따라서 이러한 심사평가원의 역량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 을 것임.

지자체와 파트너십을 통해 지자체의 프로그램 운영 지원가능 의료급여 사업의 객관적인 평가방법과 평가지표들의 개발 지원 활용 가능한 데이터 및 시스템 활용방안에 대한 교육

지자체 의료급여 모형에 대한 연차별 평가

〔그림 4-17〕 지자체 프로그램 운영지원 역할

문서에서 요양병원 입원관리 지표 개발 (페이지 97-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