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1. 커뮤니티(community) 3.1.1. 커뮤니티

커뮤니티는 일반적으로 ‘공동체’ 또는 ‘지역사회’를 말한다. 전통적으로 역사와 문화를 공유하고, 정치와 경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계가 되어 있 는 일정한 공간으로서의 지역을 의미한다. 커뮤니티는 ‘항상적으로 일정한 공동생활이 이루어지는 지역공간’을 의미한다.

그러나 커뮤니티는 두 가지를 특성을 가진다. 하나는 생활 공간으로서의

‘지역성’이라는 의미를 가지면서, 다른 하나는 구성원들의 의식 공간으로서

‘공동성’을 가진다.

농촌형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역할과 과제

144

3.1.2. 서브 커뮤니티

지역성과 공동성을 가지는 커뮤니티를 다시 세분화하면 ‘로컬 커뮤니 티’(Local Community, LC)와 ‘테마 커뮤니티’(Thema Community, TC)로 구 분하여 현상을 파악할 수 있다. LC는 양자 중에서 지역성이 중시된다. 구 성원이 생활지역을 공유하면서 지역문제의 해결에 관심을 가진다.

가장 기초적인 단위는 마을이며, 여기에서 초등학교권역, 읍면단위, 시군 단위 등으로 확장되는 중충구조를 가진다. 전통적인 관습이 강하게 작용하 며 지역에 뿌리를 내린 ‘지역 커뮤니티’로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TC는 관심이나 이념을 공유하는 공동성이 강조된다. 정보기 술이나 과학기술이 발달하면 생활양식이나 의식도 변화하여 커뮤니티 개 념도 다양화한다.

즉 인터넷을 매개로 하여 환경문제나 식품안전성, 전문지식을 공유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환경보전 등 각종 동우회 활동을 비롯하여, 협동조합이나 NGO 등도 TC에 포함된다. 도시농업도 분산된 도 시민이 텃밭농원이라는 특정 장소에서 다원적 기능이나 식품안전성에 관 한 관심사로서 공동성을 높여 나간다는 점에서 TC의 범주에 포함된다.

3.1.3. 커뮤니티의 역할

커뮤니티는 가족이나 회사와는 달리 고유한 역할을 한다. 전통적인 농경 사회에서 농촌 마을은 농작업이나 농업생산을 ‘상부상조’하는 보완성을 가 진다. 또한 생활이나 재해 등에 대한 ‘상호부조’하는 관습도 있다. 그리고 지역자원이나 마을자산을 ‘공동관리’하고 나아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등이 강하게 작동한다.

또한 환경문제나 전문지식을 공유하는 TC의 경우는 특정 문제의 해결을 위해 의식의 공동성을 높여나간다. 정보를 빈발하게 교류하는 동시에 정보 교류의 장을 확장해 나간다. 이와 같은 커뮤니티가 가지는 특성을 활용한

비즈니스가 CB이다.

3.1.4. 커뮤니티의 경과와 전망

한편 커뮤니티는 시대나 장소에 따라 의미나 활동이 변화하고 있다. 초 기에는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린 LC가 중시되었다. 다음으로 정보기술의 발 달하고 시민들이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 TC에 집중한다. 그리고 사회문제가 복잡 다양하게 발생하고 해결의 가능성이 불투명해지면 시민 들은 문제해결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행정에 보완하거나 대항하여 일정한 규율을 가지고 스스로 문제해결을 시도하는 것이 ‘자치적 커뮤니티’이다.

향후 새로운 커뮤니티 운동으로서 ‘자치적 커뮤니티’가 새로운 방향성을 가지게 될 것이다.

3.2. 자치적 커뮤니티 3.2.1. 활동

자치적 커뮤니티란 주민조직의 자치활동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지역의 환경미화나 청소를 비롯하여, 재활용, 방재, 지역안전, 집회시설 등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여 유지관리를 하거나, 지역활성화 활동에 참가하거나 자치 단체에 대해 정책제언 등을 행한다.

이러한 활동이 자치적이라는 것은 문제제기, 협의, 결정, 실시 등에서 당 해 주민조직이 자발적이고 주체적으로 참여하고, 나아가 자치성이 다소 확 보된 상태에서 행해지는 커뮤니티 활동이라는 점에 있다.

자치적 커뮤니티의 바람직한 모습은 주민 스스로에 의한 서비스 제공을 중시하는 커뮤니티도 있고, 지역의 모든 과제에 대해 합의 형성을 중시하 는 커뮤니티도 있다. 자치적 커뮤니티는, ① 지역주민 자신이, ② 인구규모·

농촌형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역할과 과제

146

자연조건·사회조건 등의 지역 특성에 따라, ③ 주민이 스스로의 책임 아래 주체적으로 지역경영을 실시하고, ④ 행정은 자치적으로 활동하는 커뮤니 티를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2.2. 효과

자치적 커뮤니티는 지역의 ‘의견반영(정책 형성)’ ‘합의 형성 및 결정’

‘서비스 제공(집행·평가)’라는 과정을 거치면서 지역 공통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① 주민의 의견반영(정책 형성) ② 주민의 합의형성(결정)

③ 주민 스스로에 의한 공공서비스의 제공(집행) ④ 주민 스스로에 의한 공공서비스의 평가 ⑤ 행정과의 협력 등이 포함된다.

3.3. CB의 활동과 역할 3.3.1. 복지농촌의 실현

농촌지역이 직면하는 과제는 일자리 감소와 소득하락, 그리고 이로 인한 인재 고갈과 공동체 붕괴 등의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시도하는 수단이 복지농촌정책이다.

따라서 복지농촌이란 지역 주민에 대한 일자리 만들기와 소득 창출, 복 지서비스 제공과 사회적약자 배려, 생활시설 정비와 생활편의 보장 등에 의해 실현된다. 최종적으로는 삶의 질이 향상되고 지역공동체가 회복되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지역에 뿌리를 내린 소규모 사업체로서 복 지농촌정책을 추진하는 주체 중의 하나가 CB이다.

3.3.2.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역할

농촌형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역할과 과제

148

이러한 역할을 CB의 발전과정에 따라 정리하면, 우선 제1단계는 CB의 창업이 중요하다. 주민의 의향조사와 지역자원 조사, SWOT 분석 등을 거 쳐 충실한 창업계획을 수립하여 사업에 대한 준비과정을 거치고 법인화를 하여 사업을 추진하는 기반을 만든다.

다음으로 제2단계는 일자리와 소득활동을 통하여 부가가치를 높여간다.

부가가치를 향상하는 수단이 경영다각화와 상품의 지역브랜드화이다. 이것 은 지역가치를 높여나간다.

일단 비즈니스가 정착을 하면 제3단계로서 지역내 이업종과의 교류나 도 농 교류와 직거래 등을 통하여 부를 축적하고 지역을 활성화한다.

그리고 제4단계에서는 지역주민 전체에 대해 생활편의를 보장하고, 또한 사회적 약자에 대해서는 복지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하여 삶의 질을 향상하 는 방향으로 발전하게 된다. <그림 8-1>

CB의 설립과 법인화, 그리고 이상에서 언급한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 하기 위해서는 중간지원조직(intermediary)과 정부의 지도 및 지원 등이 보 완적으로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