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1. 연차별 연구방향

농촌형 CB는 우선 농촌지역에서 농산업영역을 기본으로 하여 경제적 과 제를 해결한다. 다음으로 농촌지역은 고령화가 보편적인 현상이 되어가고, 향후 더욱 빠른 속도로 진행된다. 고령화에 따른 사회복지 등 사회적 수요확 대에 적절히 대응하여 삶의 질 향상과 공동체기능 회복을 통하여 균형사회 실현을 지향한다.

이러한 영구방향에 따라 연도별로 다음과 같이 연구를 배분하여 진행한다.

1차연도는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농산업영역’의 CB를 분석대상으로 한다. 목적은 일자리 창출과 부가가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2차연도는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농촌형’ CB를 분석 대상으로 한다. 목적은 사회복지 향상, 공동체기능회복, 자원환경 보전을 도 모하는 것이다.

3차년도는 ‘농어촌지역’과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중장기 CB 발전전략을 제시한다. 최종적인 연구목적은 삶의 질 향상과 균형사회 실현을 도모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그림 1-2>

4.2. 2차연도 연구개요

CB는 영리성이 중시된다. 다양한 지역사례를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CB 개 념에 따른 성과분석을 통하여 바람직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한다. 2차연도 연구는 1차연도의 CB의 영리성 확보를 전제로 하여 공익적 활동으로 영역을 확대한다. CB가 지역사회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운영주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농협은 지역단위에서 영리사업과 주민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사업

10 서 론

한다. AB가 지속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자발적인 참여와 지역 고 유한 자원의 활용 등을 통한 영리성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3장에서는 커뮤니티 또는 지역사회를 활성화하기 위한 협동조합의 역할에 대해 검토한다. CB는 다양한 주체가 참여할 수 있다. 농촌지역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공동체의 유지를 위해 서는 협동조합의 역할이 강조된다. 농협은 CB의 수행 주체로서의 역할과 중 간지원조직으로서의 역할 등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일본의 농협 사례와 비 교하면서 그 가능성을 제시한다.

4장에서는 CB의 소재인 지역자원의 실태에 대해 정리한다. CB가 지속적 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역고유의 자원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역자원 은 다른 지역과 차별성을 가져야 하며, 장기적으로 관리·보전되어야 한다.

실태는 전북 장수군 마을조사를 활용한다. 지역자원의 지속적인 활용과 유 지를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한다.

5장에서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정책사업 중에서 CB와 관련된 사업에 대해 지역사례를 중심으로 평가한다. 농림수산식품부 사업 중에서 농촌마을종합개 발사업, 향토산업육성사업, 농어촌공동체회사육성사업 등 세 가지 유형의 농 촌형 CB 관련사업을 대상으로 투자·프로세스·지속가능한 결과 등의 관점에서 평가하여 성과와 문제점을 파악한다. 이로써 농촌형 CB의 방향을 제시한다.

6장에서는 사회복지 수요증가와 CB의 전개방향에 대해 언급한다. 농촌사 회가 고령화함에 따라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빠르게 증가한다. 반 면에 농촌지역의 특성상 관련 시설의 부족, 도로나 교통수단의 미비로 인한 접근성의 문제 등으로 복지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자에게 신속하게 제공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복지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제공간의 괴리가 있는 경우는 보완성의 원리에 근거하여 마을단계에서 서비스 제공방안에 대해 제시한다.

7장에서는 최근 확산되고 있는 도시농업의 실태를 살펴보고 이것이 지역 공동체 회복과의 관련성을 검증한다. 텃밭농원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도시농 업은 고립된 활동이 아니라 참여자간의 공동체성을 가진다. 도시내부에 일어 나는 이러한 활동은 농촌지역으로의 교류나 직거래로 확산되는 등 농업을 매

12 서 론

개로 한 소위 테마형 커뮤니티의 형성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의미를 가진다.

그림 1-3. 2차년도 연구구성

[주체]

[자원]

[영역]

제3장

협동조합의역할과 가능성

제4장

지역자원의 발굴과 활용방안

제5장 농촌지역 CB사업 평가

제6장 사회복지서비스 수요과공급방안

제7장 도시농업 공동체회복

제8장 CB 활성화를위한과제 [과제]

제2장

농업비즈니스의 유형과조건 [역할]

마지막으로 8장에서는 농촌형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역할과 과제를 제시한 다. 농촌지역은 시장개방과 고령화 등의 요인으로 일자리가 줄어들고 소득 이 감소하는 동시에 지역공동체 기능도 저하하고 있다. 일자리와 소득을 창 출하고 주민에 대한 생활편의 향상과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등의 역할을 하 는 CB를 둘러싼 과제와 개선점을 제시한다. 주요 논점은 CB의 주체로서 지 역주민의 자발적인 참여와 특히, 협동조합의 가능성, 지역고유의 자원의 발 굴과 활용방안, 지역여건에 적합한 비즈니스모델 개발, 고령자에 대한 복지 서비스 제공 등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러한 활동의 거점으로서 마을자 치센터 설립을 제안한다.

1. 농업비즈니스의 필요성

글로벌화에 따른 시장개방이 확대됨에 따라 농업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수출국은 수출 확대의 기회가 되지만 우리나라와 같은 수입국은 농산물 수 입이 증가함에 따라 국산 농산물의 가격하락을 비롯하여, 소득이나 생산 감 소, 나아가 일자리 축소 등의 문제로 직접적인 피해가 확산된다.

지역단위에서 보면 간접적인 피해도 나타난다. 관련 산업으로서 자재산업 이나 식품산업 등이 축소하고 도소매업에 영향을 주어 지역에서 소비와 고 용이 감소하여 지역경제의 쇠퇴를 초래한다.

한편 농촌사회는 고령화와 여성화가 진전됨에 따라 사회적 약자가 누적되 고, 빈곤이 확대된다. 이러한 현상에 대응하여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수요 가 늘어난다. 반면에 도시에서 텃밭농원 등에서의 농업이나 체험이 활발하 게 전개되는 가운데 농촌에서 일자리나 생활터전을 구하는 귀농이나 귀촌인 구가 늘어난다.

이와 같은 사회현상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농촌지역에서 일자리를 만들고 부가가치를 향상하는 비즈니스를 개발하고 확산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비즈니스는 일정한 성과와 지속성의 유지가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 역농업과 밀접하게 연계를 하면서 일정한 공간성을 가지는 비즈니스를 ‘농 업비즈니스’(Agri-business, Agri-Biz, AB)로 정의한다. 현장에서의 실태를 파 악하고, 그리고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과제를 제시한다.

농업비즈니스의 유형과 과제

14

AB는 일자리 만들기를 기대할 수 있다. 일자리는 고령자나 여성 등의 체 력에 적합한 일자리, 귀농자의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일자리 등 다양하다.

경량채소 생산이나 농산물 가공, 교류 활동은 여성들에게 유리하다. 농업생 산의 특성상 노동력의 집중을 해소하고 연중 고용이 가능한 일자리가 지역 활성화에 기여한다. 지역자원을 활용한 다각경영이 부가가치를 향상하는 효 과가 높다.

또한 AB가 지속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자발적인 참여, 지역 고 유한 자원의 활용 등을 통한 영리성을 기반으로 하고, 지역사회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지역자원 관리나 고령자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등에 이르는 공익적 활동을 전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