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앞으로 중점적으로 연구할 과제로는 우선 관련 분야간의 학제적 연구를 들 수 있다. 도시행정학, 정책학, 사회학, 도시계획학 분야 간에 살고싶은 도시만들기에 대한 공동연구 및 논의가 필요하다. 이들 연구는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이 다같이 함양될 수 있는 것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두 번째는 지자체 행정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연구에 우선 순위를 둘 필요 가 있다. 생활자치를 전제로 지자체 행정의 내부 개혁을 추진하는 좋은 사례를 발굴하여 조사․분석함으로써 실천적 지식으로 체계화하여야 한다. 살고싶은 도 시만들기를 계기로 지자체 정책이 선진화하고, 시민과의 협력적 관계를 바람직 하게 형성해가는 모형을 찾아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시계획의 역할 재정립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살고싶은 도시 만들기는 지금까지의 물리적 차원의 도시개발이 중심이 되던 것에서 사회자본을 살리면서 시민생활환경의 장소적 의미를 가져다주는 도시만들기로 변화하지 않 으면 안된다. 이러한 방향 전환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패러다임으로 나아가는 것 을 말한다. 이에 따라 물리적 계획으로서 도시계획과 사회, 문화, 복지 등의 비물 리적 계획과의 관계 정립도 새로이 이루어져야 한다. 거버넌스 시대의 도시계획 의 역할과 제도운용을 다시 한번 짚어 볼 필요가 있다.

R ․ E ․ F ․ E ․ R ․ E ․ N ․ C ․ E ․ S

참 고 문 헌

1. 국내

가와떼 쇼오지. 1996. “신도시 건설주체간의 개발목표 조정: 일본의 사례”.

「도시개발의 경험과 과제」. 국토개발연구원.225-284.

강병기. 1993. 삶의 문화와 도시계획. 나남.

경기개발연구원. 2001. 경기도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경실련 도시개혁센터.1997.시민의 도시. 한울.

계기석, 천현숙. 2000. 커뮤니티 중심의 주거환경정비 연구. 국토연구원.

국토연구원. 2001.「도시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권태준. 1992. “거대도시 ‘삶의 세계’의 이원구조화”. 환경논총. 제 30권. pp.89-94.

권영찬, 이성복저. 1993. 기획론. 법문사.

김석준외. 2002. 거버넌스의 이해.대영문화사,

김태용 외. 2000. “삶의 질에 대한 만족도 수준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2(2). pp.135-155.

김현식 외. 1998. 도시정책의 전개와 과제, 국토개발연구원.

김호기.1997. 한국 시민사회의 현단계와 참여민주주의의 과제. 한국시민사회와 참여민주주의.참여사회연구소,

뉴어바니즘 협회 저, 안건혁‧온영태 옮김, 2000.뉴어바니즘 헌장:지역/근린주구‧지구

‧회랑/블록‧가로‧건물, 도서출판 한울 (원저: Congress for the new Urbanism, Charter of the New Urbanism, the McGraw-Hill Companies Inc,2000)

대한민국정부.2005. 제 4차 국토종합계획수정계획(2006-2020).

대한민국정부.2000.제 4차 국토종합계획(2000-2020).

대한민국정부.1992.제 3차 국토종합개발계획(1992-2001).

도시연대, 행정자치부. 2000. 「마을만들기 2000」.

로버트 퍼트남 저, 유석춘 외 역. 2003. “번영하는 공동체: 사회자본과 공동생활”, 사회자본: 이론과 쟁점, 도서출판 그린, 125-140(Robert Putnam,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Socai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13 (spring), pp.35-42)

마을연대(준). 2003.「 이런 마을에 살고 싶다: 2002마을만들기 백서」.

마을연대. 2003. 주민참여 마을 만들기의 마을 디자인운동 평가집.

박재길. 1994. 도시계획의 종합성과 도시계획체계 발전방향.지방행정연구, 제 9권 제1호(통권 31호)한국지방행정연구원.

박재길. 1993. 일본의 도시계획 변용 특성과 계획파라다임의 변화.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 78회 학술발표회(1993년 2월 27일. 과학기술회관 2층 회의실)배포자료.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pp.33-42.

박재길a.1993. 생활이념발현의 도시계획제도. 건축 제 37권 제 2호(통권 제171호).대한건축학회.pp.16-20.

박재길. 1992. 일본 도시자치체내에서의 계획체계 변용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17권.

국토개발연구원. pp.63-79.

박철수, 도시문화, 그리고 문화도시: 도시환경의 공동체적 가치구현, 서울특별시. 2005 주요업무계획.

서울특별시 강남구. 2005 강남구정 백서.

손세관. 1993. 도시주거 형성의 역사. 열화당.

송인성. 2004. “도시의 삶의 질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광주시와 벤쿠버시를 사례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6(2). pp.107-140.

양종회, 2005. 근대화 탈근대의 권위구조와 권위의 위기. 조대엽‧박길성 외, 2005.

한국사회 어디로가 가나.굿인포메이션.23-67.

에드워드 렐프 저, 김덕현 외 옮김. 2005.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Relph,.Edward.

Place and Placelessness).

유석춘 외, 2003, 사회자본: 이론과 쟁점, 도서출판 그린.

윤평중. 1992. “하버마스와 탈현재 논쟁의 철학적 조망”. 한국현상학회편. 생활세계의 현상학과 해석학. 서광사.

은민균(2001). 코르뷔제의 빛나는 도시의 신화. 국토연구원 역. 공간이론의 사상가들.

한울. 194-202.

이명규. 2004. 도시 농어촌 활성화를 위한 주민주도형 마을만들기 사례연구.광주전남발 전연구원.

이정록. 1998. “광주시 공간․환경의 삶의 질 분석”. 지역개발연구 30(1).

이태종 외. 2005. “광역생활권내 자지단체간 「삶의 질」의 비교평가”.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6(2). pp.211-229.

장준호 편역. 2002. 커뮤니티를 위한 도시계획 및 설계.

보성각(三船康道‧まちづくり.1997.コラボレーションまちづくりキーワード事典. 学芸出版社).

정석. 1999. 「마을단위 도시계획 실현 기본방향(I) : 주민참여형 마을 만들기 사례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정일훈. 2001. 하워드의 전원도시 구상, 국토연구원 역, 공간이론의 사상가들, 한울, 183-193.

정진상. 2003. 1980년대말 한국 사회운동 지형의 변화. 한국사회발전연구: 나남신서 953. 나남출판. pp.167-191.

정환용. 2001. 계획이론. 박영사

조명래. 현대사회의 도시론. 도서출판 한울. 2002.

최병선. 2001. 도시계획헌장을 통해 본 계획사조의 변화.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제 36권 제 5호(2001.10). 7-24.

하성규․김재익. 1997.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과제와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2(5).

허버트 제이 갠즈 저, 조대성 역. 2001. 「사람의 도시-계획 및 정책」, 도서출판 누리에(Gans. J. Herbert. People, Plans and Policies: Essays on Poverty, Racism and Other National Problems).

홍형옥. 2005. 생활자의 일상성과 살고싶은 도시. 국토. 2005년 10월호. 국토연구원.

6-18.

KYC(한국청년연합회)‧시민의신문. 2005. 풀뿌리가 희망이다: 도시 속 희망공동체 11곳. 도서출판 시금치.

2. 구미

Burby, R. & S. Weiss. 1976. New Communities USA. Lexington. MA: Lexington Books.

Carlos J. L. Balsas. 2004. “Measuring the Livability of an Urban Centre: An Exploratory Study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Planning, Practice &

Research 19(1): 101-110.

Cervero, Robert. 1995. Planned Communities, Self-containment and Commuting:

A Cross-national Perspective, Urban Studies 32(7). 1135-1161.

Christopher Alexander. The Timeless Way of Building. Oxford Univ. Press. New York.1979.

City of Irvine. 2001. Strategic Business Plan 2001-2006.

Diers, Jim. 2004.Neighbor Power: Building Community the Seattle Way.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Fairbank, Maslin, Maullin & Associates. 2000. Report of findings. City of Irvine citizen satisfaction survey.

Faludi, A.1973. Planning Theory, Pergamon press.

Forsyth, Ann. 2005. Grading the Irvine Ranch. Planning 71(5), 36-39.

Forsyth, Ann. 2002a. Planning Lessons from Three U.S. New Towns of the 1960s and 1970s: Irvine, Columbia, and The Woodland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8(4). 387-415.

Forsyth, Ann. 2002b. Who Built Irvine? Private Planning and the Federal Government. Urban Studies 39(13). 2507-2530.

HRH The Prince of Wales.1989. A Vision of Britain: A Personal View of

Architecture. Doubleday.

Habermas, Jurgen. 1987. The Philosophical Discourse of Modernity: Twelve Lectures, Cambridge: Polity Press.

Jacobs, Jane.1992.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Vintage Books Edition). A Division of Random House, Inc.

Kaufman, J.L. 2001. "Different approaches to planning : the deliverative practitioner." JAPA, 67(2), 108-110.

Rapoport, Amos. 1977. Human Aspects of Urban Form, Pergamon Press.

Rocca, A. 1996. Irvine Ranch of Orange County: The City which Does Not Imitate the City, Lotus: Quarterly Architectural Review 89. 53-102.

Standing Conference of Local and Regional Authorities of Europe. 1993. The European Urban Charter. Council of Europe press.

Thompson-Fawcett, Michelle. 2000.The Contribution of Urban Villages to Sustainable Development. Achieving Sustainable Urban Form(Edited by Katie Williams, Elizabeth Burton and Mike Jenks). Reprinted 2001 by Spon Press.pp.275-287.

3. 일본

石見良太郎、2005.イギリスにおける都市再生とパートナーシップーシング‧リゼネレー ション‧バジェットおよびニュウーディール‧フォー‧コミュ二ティズを例に.原田純 孝‧渡辺俊一編. 2005. アメリカイギリスの現代都市計画と住宅問題.東京大学社会 科学研究所.115-138.

宇沢弘文,堀内行蔵編.1992. 最適都市を考える.東京大学出版会.

うるおいのあるまちづくり研究会. 1984. うるおいのあるまちづくり. 大成出版社.

大久保昌一、都市論の展望と課題、都市問題研究 第52券 8号、都市問題研究会, ぎょうせい,pp.3-35.

大塚俊保. 1993. 現代日本の都市政策. (株)公人社.

大場啓二, 1990, 手づくり まちづくり、ダイヤモンド社.

国土庁計画調整局編. 1993. 快適な生活空間の形成に向けて.

(財)民間都市開発推進機構研究センター、2004. 欧米のまちづくり‧都市計画制度、ぎょうせ い.

田村明. 1989. 政策主体としての自治体自治体の政策形成、学陽書房.227-246.

東京都市白書’98:東京における生活関連社会資本整備(東京都)

朴載吉. 1992. 都市基本計劃の策定と運用に關する硏究:

東京都世田谷區における事例を通じて. 日本東京大學都市工學課博士學位論文.

浅海義治‧伊藤雅春‧狩野三枝‧眞鍋弘. 1996. ワークショップに挑戦:まちづくりソフ トを学ぶ研修記録.世田谷区まちづくりセンター.

(財)世田谷区都市整備公社 まちづくりセンター. 2004. 公益信託世田谷区まちづくり ファンド資料集年版、

松下圭一. 1985. 市民文化は可能か、岩波書店.

松下圭一a. 1971. シビルミ‧ニマムの思想、東京大学出版会.

間宮陽介. 1992. 都市の思想、最適都市を考える、宇沢弘文、堀内行蔵 編、 

東京大学出版会、

三船康道‧まちづくりコラポレーション. 1997. まちづくりキーワード事典、学芸出版社.

宮本憲一. 1988. 地方自治体の歴史と展望.自治体研究社

三好庸隆. 1998. まちづくりの新発想:その可能性と18の視点.建築資料研究社.

吉田民雄. 2003. 都市政府のマネジメント、中央経済社。

4. 인터넷

www.cde.ca.gov www.census.gov www.ci.irvine.ca.us www.destinationirvine.com www.forstamt.freiburg.de www.irvinecompany.com www.irvineranchlandreserve.org

www.kantei.go.jp/jp/toshi/05suisin/index.html

www.stats.bls.gov

www.c㏊ncenfueralle.de/Presse/Pressemeldungen.html

S ․ U ․ M ․ M ․ A ․ R ․ Y

SUM M ARY

The Making of Livable Cities in Korea

Jae-gil Park, Hyun-Sik Kim, Kwang-Ik Kim, Wang-Gun Lee, Pillsung Byun, Seung-Mi Hwang.

This study deals with the making of livable cities in Korea. Concretely, the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issues: why livable cities need to be made in Korea, what the making of livable cities means, and what role the Korean national government should play in making the Korean cities livable.

In Korea cities have so far been developed chiefly to accommodate urban population of which the size has been increased by industrialization. Thus, the making of cities has been unfolded mostly in the form of urban physical development from a supply-side perspective (e.g., land developers). However, statistics show that a large number of residents are not satisfied with urban living environment created by the existing supply-side development. And the survey of 8 cities that our work has conducted finds out that the citizens’

satisfaction with such crucial elements of urban living environment as public transit, cultural infrastructure, and landscape is very low-level. The

supply-side development also weakens social capital(e.g., tie, norm, trust), thereby generating social costs. Moreover, such development deprives many existing residents of the meanings that neighborhoods, villages, or cities can have as a place.

Given this, the supply-side urban physical development has to shift to the resident-led urban management which seeks compact development rather than urban excessive outward expansion and which prefer social and community-based programs over physical and top-down planning.

Considering that population recently stabilizes in many cities, especially in the Capital Region of Korea, such a kind of paradigm shift can be pursued in Korea.

In fact, the shift was undertaken in foreign countries earlier. In the 1960s

‘garden city’ as well as ‘skyscrapers in the park’ was criticized for being based only on experts’ views. Jane Jacobs also argued that the livable cities had to be created not by experts but by citizens. This new thinking led to the New Urbanism which has strengthened since it surfaced in the 1990s. In this context, Urban Village Campaign has also been driven forward in UK.

However, the resident-led making of livable cities is still in an infant stage in Korea. At this juncture, we have to discuss what part the national government has to play to promote such resident-sided efforts given the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and civil society. This implies that the national government should have no more and less than the roles for motivating and enriching discussions concerning the making of livable cities.

In order to secur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making of livable cities in Korea, our research examines not only several cites in foreign countries as significant cases but Machi-Zhukuri in Japan. The cases include the City of Irvine in US, Freiburg im Breisgau in Germany, Strasbourg in Fr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