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Ⅳ. 연구결과

3. 특성화고 학생의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와

가.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 및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 단순 및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기에 앞서 특성화고 학생들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진로성숙도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을 실시하였으며, 관련변인들의 상관관계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표와 같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인 진로성숙도와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 면, 본 연구의 독립변인 중 하나인 가족건강성과 .285로 낮은 수준의 정 적인 상관관계를, 나머지 독립변인인 사회적 지지의 경우 .381로 중간 수준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의 매개변인인 자아탄 력성과는 .519로 높은 수준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종속변인인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별로 상관관계가 있는 변인들을 살펴보면, 결정성의 경우, 가족건강성과 .161로, 사회적 지지 와 .142로, 자아탄력성과는 .276으로 낮은 수준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목적성의 경우, 가족건강성과 -.105로 낮은 수준의 부적인 상 관관계를, 자아탄력성과는 -.090으로 매우 낮은 수준의 부적인 상관관 계를 보였다. 준비성의 경우, 가족건강성과 .346으로, 사회적 지지와 .436으로 중간 수준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자아탄력성과는 .547로 높은 수준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독립성의 경우, 가족건강성과 .282로 낮은 수준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사회적 지지와는 .381로, 자아탄력성과 는 .472로 중간 수준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확신성의 경우, 가족건강성과 .329로, 사회적 지지와는 .414로 중간 수준의 정적 인 상관관계를, 자아탄력성과는 .594로 높은 수준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가족 건강성

사회적 지지

교사 지지

또래 지지

자아 탄력성

진로

성숙도 결정성 목적성 준비성 독립성 확신성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508**

-교사 지지 .404** .880**

-또래 지지 .491** .882** .553**

-자아탄력성 .453** .486** .405** .451**

-진로성숙도 .285** .381** .344** .328** .519**

-결정성 .161** .142** .145** .104** .276** .686**

-목적성 -.105** -.029 -.012 -.038 -.090** .400** .101**

-준비성 .346** .436** .371** .397** .547** .608** .235** -.166**

-독립성 .282** .381** .351** .321** .472** .695** .245** .023 .569**

-확신성 .329** .414** .339** .391** .594** .654** .239** -.091** .576** .592**

-***p < .001, **p < .01, *p < .05

<표 Ⅳ-7>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 및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

나. 다중공선성의 진단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성숙도를 유의미하게 하는 변인들을 검증하기 위 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이전에 다중공선성이 존재하는지 검토하 였다. 다중공선성은 독립변수간의 상관이 높을 경우 발생하는 것으로 회 귀분석에서 독립변수들 간의 상관이 지나치게 높을 때, 부분회귀계수의 표준오차가 커져 종속변인을 설명하는 개별 변인의 변량을 해석하는 것 이 모호해지고 회귀계수를 비교하는 것이 무의미해지며 표본 사례 수의 변화와 같은 자료의 미세한 변화나 회귀모형에서 변인의 추가나 삭제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여 큰 표준오차를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회귀분 석 결과의 통계적인 유의미도를 감소시키게 되며, 변인의 투입 순서에 따라 종속변인을 설명하는 변량에 커다란 차이가 발생한다. 다중공선성 은 진단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공차한계 (tolerance)와 변량팽창계수(VIF : variance inflation factor)를 사용 하였다. 공차한계는 한 변인이 다른 변인들과 얼마나 상관을 갖는지를 의미하는 독립 변인들의 중다상관제곱(Ri2)을 1.0에서 감하여 계산되며, VIF는 공차한계의 역수이다. 일반적으로 공차한계는 1에 근접할수록 다 중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0.1 이하일 경우 다중공선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VIF는 10이상이 되면 다중공선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 한다(양병화, 1998). 이 연구에서 다중공선성은 다음 표와 같이 나타났 다. 따라서 VIF값과 공차한계 모두 정상적인 값으로 측정되었기 때문에 다중공선성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변인 공차한계(tolerance) 변량팽창계수(VIF)

사회적 지지

교사 지지 .694 1.441

또래 지지 .694 1.441

<표 Ⅳ-8> 진로성숙도에 대한 독립변수의 다중공선성 진단

다. 가족건강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특성화고 학생이 인식한 가족건강성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 기 위해 특성화고 학생의 성별, 학년, 학교 소재지, 학교 계열을 통제 한 후 진로성숙도 및 하위변인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가족건강성을 독립변인으로 설 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단계선택 방식으로 모형 1에는 성별, 학년, 학교 소재지, 학교 계열을 통제 변인으로 투입하고, 모형 2에 가족건강성을 독립 변인으로 투입하여 영향관 계와 모형 2에서의 설명력을 살펴보았다. 먼저, 진로성숙도 전체에 대한 가 족건강성의 설명력을 살펴보면 모형 2에서 설명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R²=.082, p < .001), 모형 2가 진로성숙도 변량의 8.3%를 유의하게 설명 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들에 대한 가족건 강성의 설명력을 분석하였다. 우선, 결정성에 대한 가족건강성의 설명력을 보 면 모형 2에서 설명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R²=0.025, p < .001), 모 형 2가 결정성 변량의 4.4%를 유의하게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적 성에 대한 가족건강성의 설명력을 살펴보면 모형 2에서 모형의 설명력이 유 의하게 증가하였고(∆R²=.009, p < .01), 모형 2가 목적성 변량의 4.6%를 유의하게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비성에 대한 가족건강성의 설명력 을 살펴보면 모형 2에서 모형의 설명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R²=.121, p < .001), 모형 2가 준비성 변량의 13.1%를 유의하게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성에 대한 가족건강성의 설명력을 살펴보면 모형 2에서 모형 의 설명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R²=.079, p < .001), 모형 2가 독립 성 변량의 8.0%를 유의하게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확신 성에 대한 가족건강성의 설명력을 살펴보면 모형 2에서 모형의 설명력이 유 의하게 증가하였고(∆R²=.105, p < .001), 모형 2가 확신성 변량의 11.0%를 유의하게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건강성이 진로성숙도 전체(β=.287, p < .001)와 하위 요인별로는 결정성(β=.159, p < .001), 준비성(β=.349, p < .001), 독립성(β=.281, p < .001), 확신성(β=.325, p < .001)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적성(β

=-.096, p < .01)에는 유의미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

진로성숙도 결정성 목적성 준비성 독립성 확신성

모형1 모형2 모형1 모형2 모형1 모형2 모형1 모형2 모형1 모형2 모형1 모형2

통제 변인

성별 .026 .031 -.127 -.124 .152 .151 .106 .112 -.013 -.008 -.016 -.011 학년 .003 .016 .044 .051 .009 .005 -.015 .000 -.026 -.014 -.034 -.020 학교 소재지 -.015 -.019 .008 .006 -.053 -.052 .011 .006 -.006 -.010 .009 .004 학교 계열 -.004 .013 .009 .018 .055 .050 -.034 -.014 -.021 -.005 -.061 -.042 독립

변인 가족건강성 .287*** .159*** -.096** .349*** .281*** .325***

.001 .083 .019 .044 .037 .046 .010 .131 .001 .080 .005 .110

∆R² .082*** .025*** .009** .121*** .079*** .105

F .261 20.281*** 5.335*** 10.284*** 10.850*** 10.901*** 2.799* 33.749*** .354 19.490*** 1.493 27.767***

***p < .001, **p < .01, *p < .05

<표 Ⅳ-9> 진로성숙도에 대한 가족건강성의 영향관계

라.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

특성화고 학생이 인식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특성화고 학생의 성별, 학년, 학교 소재지, 학교 계열을 통제 한 후 진로성숙도 및 하위변인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사회적 지지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단계선택 방식으로 모형 1에는 성별, 학년, 학교 소재지, 학교 계열을 통제변인으로 투입하고, 모형 2에 사회적 지지를 독립 변인으로 투입하 여 영향관계와 모형 2에서의 설명력을 살펴보았다. 먼저, 진로성숙도 전 체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설명력을 살펴보면 모형 2에서 설명력이 유의 하게 증가하였고(∆R²=.145, p < .001), 모형 2가 진로성숙도 변량의 14.9%를 유의하게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진로성숙도 의 하위변인들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설명력을 분석하였다. 우선, 결정 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설명력을 보면 모형 2에서 설명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R²=0.023, p < .001), 모형 2가 결정성 변량의 4.2%를 유의하게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비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설명력을 살펴보면 모형 2에서 모형의 설명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R²=.186, p < .001), 모형 2가 준비성 변량의 19.5%를 유의하게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설명력을 살펴보면 모형 2에서 모형의 설명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R²=.148, p < .001), 모형 2가 독립성 변량의 14.9%를 유의하게 설 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확신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설명력을 살펴보면 모형 2에서 모형의 설명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R²=.173, p < .001), 모형 2가 확신성 변량의 17.9%를 유의하게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도 전체(β

=.388, p < .001)와 하위 요인별로는 결정성(β=.154, p < .001), 준 비성(β=.435, p < .001), 독립성(β=.388, p < .001), 확신성(β

=.420, p < .001)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

진로성숙도 결정성 목적성 준비성 독립성 확신성

모형1 모형2 모형1 모형2 모형1 모형2 모형1 모형2 모형1 모형2 모형1 모형2

통제 변인

성별 .026 -.010 -.127 -.141 .152 .156 .106 .065 -.013 -.050 -.016 -.056 학년 .003 .017 .044 .049 .009 .008 -.015 .000 -.026 -.013 -.034 -.019 학교 소재지 -.015 -.054 .008 -.008 -.053 -.050 .011 -.033 -.006 -.045 .009 -.034 학교 계열 -.004 .017 .009 .017 .055 .054 -.034 -.011 -.021 .000 -.061 -.039 독립

변인 사회적 지지 .388*** .154*** -.034 .435*** .388*** .420***

.001 .149 .019 .042 .037 .038 .010 .195 .001 .149 .005 .179

.145*** .023*** .001 .186*** .148*** .173***

F .261 39.108*** 5.335*** 9.829*** 10.850*** 8.941*** 2.799* 54.418*** .354 39.234*** 1.493 48.678***

***p < .001, **p < .01, *p < .05

<표 Ⅳ-10> 진로성숙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관계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인 교사 지지와 또래 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특 성화고 학생의 성별, 학년, 학교 소재지, 학교 계열을 통제 한 후 진로성숙도 및 하위 변인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교사 지지와 또래 지지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회귀분석 을 실시한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단계선택 방식으로 모형 1에는 성별, 학년, 학교 소재지, 학교 계열을 통제변인으로 투입하고, 모형 2에 교사 지지와 또래 지지를 독립 변인으로 투입하여 영향관계와 모

단계선택 방식으로 모형 1에는 성별, 학년, 학교 소재지, 학교 계열을 통제변인으로 투입하고, 모형 2에 교사 지지와 또래 지지를 독립 변인으로 투입하여 영향관계와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