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통제변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4-78)

1) 기질

아동의 부정정서성 기질과 활동성 기질의 두 가지 기질 유형에 대한 3차년도의 어머니 응답으로 측정된 자료를 통해 통제되었다. 부정정서성 기질은 총 5개의 문항으로 측정되었으며, 문항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리 아이는 잘 운다’, ‘우리 아이는 다소 감정적인 편이다’, ‘우리 아이는 종종 보채면서 우는 편이다’, ‘우리 아이는 쉽게 기분이 나빠진다’, ‘우리 아이는 화가 났을 때 격하게 반응한다’. 활동성 기질도 총 5개의 문항으로 측정되었으며, 문항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리 아이는 항상 끊임없이 움직인다’, ‘우리 아이는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열심히 움직인다’, ‘우리 아이는 매우 활동적이다’, ‘우리 아이는 활동할 때 대개

- 62 -

천천히 움직이는 편이다’, ‘우리 아이는 활동적인 놀이보다는 조용하고 정적인 놀이를 더 좋아한다’. 이 중 마지막 2개 문항은 역채점 되었다. 모든 문항은 5점 Likert 척도(‘전혀 그렇지 않다(1점)’~ ‘매우 그렇다(5점)’)으로 측정되어, 점수가 높을수록 부정정서성 기질이나 활동성 기질의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의미한다. 본 연구자료의 부정정서성 기질의 신뢰도는 .725, 활동성 기질의 신뢰도는 .777이었다.

2) 성별 및 출생순위

아동의 성별은 ‘남아(1)’와 ‘여아(2)’로 구분되었으며, 아동의 출생 순위는

‘첫째(1)’, ‘둘째(2)’, ‘셋째(3)’, ‘넷째(4)’, ‘다섯째 이상(5)’으로 구분되었다.

- 63 -

제4절 분석 방법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전환기 아동의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에 대한 영아기 양육의 질과 가구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종단적인 영향력을 확인하고, 그 발달적 과정에서 유아기 양육환경과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일변량 분산분석(ANOVA), 구조방정식 모형 등의 양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분석 과정 및 방법은 아래와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와 주요 변인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연구 대상자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성별, 월령, 출생 순위, 출산 시 어머니 연령, 가구의 사회경제적 상황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기술통계를 실시하여 주요변수들의 결측률과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를 점검하고, 주요 변수들 간의 Pearson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연구자료가 연구모형 분석에 적합한지 평가하였다.

둘째, 일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영아기의 양육행동, 어머니의 학력, 가구소득의 각 변인의 수준에 따라 구분된 집단 간에 만 4세 시기 및 초등학교 전환기에 아동이 보이는 공격성, 사회적 위축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일변량 분산분석의 F값 확인 후, 각 집단별 지표별 평균치를 확인하고, 사후 검정을 통해 어떤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변량 분산분석에는 SPSS v.21 패키지가 사용되었다.

셋째, 본 연구의 연구모형 분석 및 주요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은 측정변수 및 잠재변수를 포함한 연구모형 분석이 가능하며, 복수의 종속변수를 단일한 연구모형을 통해 분석할 수 있고, 매개변인들을 통한 간접효과도 단일한 연구모형에서 검증가능 하다는 장점이 있다(Hair, Black, Babin, & Anderson, 2010; Kline, 2010). 따라서 사회적 문제행동의 두 지표인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에 대한 다양한 영유아기의 양육

- 64 -

환경과 자기조절 능력의 영향을 단일한 연구모형에서 살펴보는 본 연구 모형에 적합한 분석방법이다.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서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2단계 접근법(J. C.

Anderson & Gerbing, 1988)에 따라 구조모형 분석에 앞서 측정모형의 분석을 통해, 측정모형의 적합도와 잠재변수로 구성된 척도의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이어서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간접효과의 유의도는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한 효과분해를 통해 확인하였다.

부트스트랩 샘플은 1000회 추출되었으며, 통계적 유의도는 95% 신뢰도(Bias-corrected confidence intervals)에서 검증되었다. 복수의 간접효과 경로를 가지는 경우, 효과분해를 통해 전체 간접효과의 크기 및 유의도는 확인할 수 있지만 개별 간접효과 경로의 유의도는 확인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영아기 양육환경에서 초등학교 전환기 아동의 사회적 문제행동에 이르는 다수의 개별 간접효과 경로의 통계적 유의도는 팬텀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팬텀분석은 개별 간접효과 경로에 해당하는 가상의 변수를 형성하고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유의도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모형 적합도 및 모수치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개별 간접효과 경로의 유의도를 검증할 수 있게 한다(Macho & Ledermann, 2011).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위한 패키지로는 Amos v.21이 사용되었으며,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은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을 통해 추정되었다.

또한 부트스트래핑은 결측치가 있는 자료에서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구조모형 분석 시 확률적 회귀 대체(stochastic regression imputation) 방식을 적용하여 결측치를 대체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확률적 회귀 대체 방식은 회귀 대체(regression imputation) 방식과 함께 널리 사용되는 단일대체 방식으로, 결측치 추정시 일정한 확률오차항을 포함하여 회귀 대체보다 불편추정치를 유도한다는 장점이 있다(고길곤 & 탁현우, 2016).

- 65 -

제4장 연구 결과

제1절 연구자료의 기술 통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