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일변량 분산분석 결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5-90)

- 72 -

- 73 -

그림 3. 영아기 변인의 집단별 사회적 문제행동 수준

- 74 -

일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아래 표 4와 같다. 분석 결과, 양육행동의 수준에 따라 구분된 4집단 간에는 만 4세 시기의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 초등학교 전환기의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 모두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구소득 4분위 집단 간에도 만 4세 시기의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 초등학교 전환기의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 모두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나타났다.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구분된 집단 간에는 만 4세 시기의 공격성과 초등학교 전환기의 공격성에 있어서 유의한 통계적 차이가 있었으며, 만 4세 시기의 사회적 위축에 있어서는 유의수준 p<.1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어떤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지는 사후검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사후검정 결과는 아래 표5와 같다.

표 4. 일변량 분산분석 결과

구분 N

집단별 평균 공격성

(만4세)

사회적 위축 (만4세)

공격성 (만7세)

사회적 위축 (만 7세)

양육행동

344 7.72 2.10 3.81 1.04 중하 376 7.06 1.93 3.29 0.88 중상 303 6.06 1.57 2.80 0.78 337 4.99 1.40 2.29 0.67 F-value (df=3) 19.468*** 10.805*** 13.939*** 5.029**

욕구 소득비

1.2미만 80 6.67 2.23 2.85 1.33 1.2~2 366 7.17 1.90 3.50 0.98 2~3 381 6.65 1.75 3.03 0.82 3이상 423 5.75 1.58 2.79 0.68 F-value (df=3) 3.929** 5.371** 7.764* 3.335***

어머니 학력

고졸 이하 406 6.82 1.87 3.36 0.92 전문대졸 419 6.56 1.73 3.08 0.89 대졸 456 6.43 1.77 2.93 0.76 대학원 이상 73 4.96 1.28 2.10 0.71 F-value (df=3) 2.252* 2.805 1.640* 3.571

p<.10, *p<.05, **p<.01, ***p<.001

- 75 - 표 5. 일변량 분산분석 사후검정 결과

양육행동 가구소득 모학력

만4세 공격성

중하

1분위

2분위

고졸

전문대졸

중상*** 3분위 대졸

*** 4분위 대학원 이상**

중하 중상*

2분위 3분위

전문대졸 대졸

*** 4분위*** 대학원 이상*

중상 ** 3분위 4분위** 대졸 대학원 이상*

만4세 사회적

위축

중하

1분위

2분위

고졸

전문대졸

중상*** 3분위* 대졸

*** 4분위** 대학원 이상*

중하 중상**

2분위 3분위

전문대졸 대졸

*** 4분위* 대학원 이상*

중상 3분위 4분위 대졸 대학원 이상*

만7세 공격성

중하*

1분위

2분위

고졸

전문대졸

중상*** 3분위 대졸*

*** 4분위 대학원 이상**

중하 중상*

2분위 3분위*

전문대졸 대졸

*** 4분위** 대학원 이상*

중상 * 3분위 4분위 대졸 대학원 이상*

만7세 사회적

위축

중하

1분위

2분위*

고졸

전문대졸

중상* 3분위** 대졸

*** 4분위*** 대학원 이상

중하 중상

2분위 3분위

전문대졸 대졸

* 4분위** 대학원 이상

중상 3분위 4분위 대졸 대학원 이상

p<.10, *p<.05, **p<.01, ***p<.001

사후 검정 결과, 만 4세 시기의 공격성은 양육행동의 중상위’, ‘하위-상위’, ‘중하위-중‘하위-상위’, ‘중하위-‘하위-상위’, ‘중상위-상위’ 집단 간에 차이가 있으며, 가구소득의 ‘2분위-4분위’, ‘3분위-4분위’간, 그리고 어머니 학력의 ‘고졸-대학원’, ‘전문대졸-‘고졸-대학원’, ‘대졸-대학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만 4세 시기의 사회적 위축은 양육행동의 ‘하위-중상위’, ‘하위-상위’,

‘중하위-중상위’, ‘중하위-상위’ 집단 간에, 가구소득의 ‘1분위-4분위’, ‘2분위-4분위’ 간에, 어머니 학력의 ‘고졸-대학원’, ‘전문대졸-대학원’, ‘대졸-대학원’

- 76 -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초등학교 전환기의 공격성은 가구소득의 ‘2분위-3분위’, ‘2분위-4분위’간, 그리고 어머니 학력의 ‘고졸-대졸’, ‘고졸-대학원’, ‘대졸-대학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와 양육행동의 모든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초등학교 전환기의 사회적 위축은 양육행동의 ‘하위-중상위’, ‘하위-상위’,

‘중하위-상위’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가구소득의 ‘3분위-4분위’

간을 제외한 모든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변량 분산분석을 통해 영아기의 양육행동, 가구소득, 어머니의 학력은 아동의 만 4세 시기의 사회적 문제행동은 물론, 초등학교 진학 시기인 만 7세 때의 사회적 문제행동과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론적 검토에 따라 설정한 가족과정모형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여, 영아기 및 유아기의 양육환경과 아동 개인의 사회적 문제행동 발달 수준 간의 관계를 보다 상세히 살펴볼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영아기 각 변인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상태에서 각 변인이 어떤 유아기 변인을 통해 아동의 사회적 문제행동 발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아동의 초기 사회적 문제행동의 수준은 어떤 가족 과정을 통해 이후의 사회적 문제행동으로 연결되는지,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은 가족 과정의 내면화된 개인 내적 자원으로 아동의 사회적 문제행동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 77 -

제2절 연구모형 분석 결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