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가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3-69)

본 연구는 연구목적과 관련된 이론적 검토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영아기 양육환경은 아동의 만 4세 시기와 초등학교 전환기(만 7세)의 사회적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가설 1-1-a/b. 영아기에 어머니가 제공한 양육행동의 질적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이 만 4세 시기에 보이는 사회적 문제행동(a.공격성, b.사회적 위축) 수준이 낮을 것이다.

연구가설 1-2-a/b. 영아기에 어머니가 제공한 양육행동의 질적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이 초등학교 전환기에 보이는 사회적 문제행동(a.공격성, b.사회적 위축) 수준이 낮을 것이다.

- 51 -

연구가설 1-3-a/b. 영아기의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아동이 만 4세 시기에 보이는 사회적 문제행동(a.공격성, b.사회적 위축) 수준이 낮을 것이다.

연구가설 1-4-a/b. 영아기의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아동이 초등학교 전환기에 보이는 사회적 문제행동(a.공격성, b.사회적 위축) 수준이 낮을 것이다.

연구가설 1-5-a/b.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아동이 만 4세 시기에 보이는 사회적 문제행동(a.공격성, b.사회적 위축) 수준이 낮을 것이다.

연구가설 1-6-a/b.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아동이 초등학교 전환기에 보이는 사회적 문제행동(a.공격성, b.사회적 위축) 수준이 낮을 것이다.

연구문제 2. 영아기 양육환경은 아동의 만4세 시기 사회적 문제행동 수준을 매개하여 유아기 가족과정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가설 2-1-a/b. 영아기 양육행동은 아동의 만 4세 시기 공격성을 매개하여 유아기의 가족과정(a. 온정적 양육태도, b.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2-2-a/b. 영아기 가구소득은 아동의 만 4세 시기 공격성을 매개하여 유아기의 가족과정(a. 온정적 양육태도, b.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2-3-a/b. 어머니의 학력은 아동의 만 4세 시기 공격성을 매개하여 유아기의 가족과정(a. 온정적 양육태도, b.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2-4-a/b. 영아기 양육행동은 아동의 만 4세 시기 사회적 위축을 매개하여 유아기의 양육환경(a. 온정적 양육태도, b.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2-5-a/b. 영아기 가구소득은 아동의 만 4세 시기 사회적 위축을 매개하여 유아기의 가족과정(a. 온정적 양육태도, b.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52 -

연구가설 2-6-a/b. 어머니의 학력은 아동의 만 4세 시기 사회적 위축을 매개하여 유아기의 가족과정(a. 온정적 양육태도, b.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문제 3. 영아기 양육환경은 유아기 가족과정을 매개하여 초등학교 전환기 아동의 사회적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가설 3-1-a/b. 영아기 양육행동은 유아기 온정적 양육태도를 매개하여 초등학교 전환기 아동의 사회적 문제행동(a. 공격성, b. 사회적 위축)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3-2-a/b. 영아기 양육행동은 유아기 부부갈등을 매개하여 초등학교 전환기 아동의 사회적 문제행동(a. 공격성, b. 사회적 위축)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3-3-a/b. 영아기 가구소득은 유아기 온정적 양육태도를 매개하여 초등학교 전환기 아동의 사회적 문제행동(a. 공격성, b. 사회적 위축)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3-4-a/b. 영아기 가구소득은 유아기 부부갈등을 매개하여 초등학교 전환기 아동의 사회적 문제행동(a. 공격성, b. 사회적 위축)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3-5-a/b. 어머니의 학력은 유아기 온정적 양육태도를 매개하여 초등학교 전환기 아동의 사회적 문제행동(a. 공격성, b. 사회적 위축)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3-6-a/b. 어머니의 학력은 유아기 부부갈등을 매개하여 초등학교 전환기 아동의 사회적 문제행동(a. 공격성, b. 사회적 위축)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53 -

연구문제 4. 영아기 양육환경은 유아기 가족과정과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초등학교 전환기 아동의 사회적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가설 4-1-a/b. 영아기 양육행동은 유아기 온정적 양육태도와 아동의 초등학교 전환기 행동적 집행기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초등학교 전환기 사회적 문제행동(a. 공격성, b. 사회적 위축)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4-2-a/b. 영아기 양육행동은 유아기 부부갈등과 아동의 초등학교 전환기 행동적 집행기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초등학교 전환기 사회적 문제행동(a. 공격성, b. 사회적 위축)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4-3-a/b. 영아기 가구소득은 유아기 온정적 양육태도와 아동의 초등학교 전환기 행동적 집행기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초등학교 전환기 사회적 문제행동(a. 공격성, b. 사회적 위축)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4-4-a/b. 영아기 가구소득은 유아기 부부갈등과 아동의 초등학교 전환기 행동적 집행기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초등학교 전환기 사회적 문제행동(a. 공격성, b. 사회적 위축)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4-5-a/b. 어머니의 학력은 유아기 온정적 양육태도와 아동의 초등학교 전환기 행동적 집행기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초등학교 전환기 사회적 문제행동(a. 공격성, b. 사회적 위축)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4-6-a/b. 어머니의 학력은 유아기 부부갈등과 아동의 초등학교 전환기 행동적 집행기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초등학교 전환기 사회적 문제행동(a.

공격성, b. 사회적 위축)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54 -

제2절 연구자료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수행하는 한국아동패널의 1차년도(2008년) 자료에서 8차년도(2015년) 자료를 활용하여 수행되었다. 한국아동패널은 한국에서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하게 구축된 신생아 패널로 초등학교 전환기 아동의 사회적 문제행동의 설명요인을 영유아기에 걸쳐 살펴보고, 함의를 논의하기 위한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자료이다.

한국아동패널은 2006년과 2007년 예비조사를 거쳐, 2008년 4월부터 7월까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연간 분만건수가 500건 이상인 의료기관 중에서 층화 표집된 기관에서 출생한 신생아와 그의 가족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작하였다.

구체적으로는 6개 권역(서울, 경인, 충청/강원, 경북, 경남, 전라)으로 나눈 뒤, 의료기관 소재지를 기준으로 계통추출법(systematic sampling)을 적용하여 30개 의료기관을 추출하였다. 2단계에서는 추출된 30개의 의료기관에서 산모를 대상으로 조사에 대해 설명하고 조사 참여 동의를 얻는 과정을 거쳐, 2,562명의 신생아 가구를 예비표본으로 구축하였다. 예비표본 중 본 조사에 참여한 2,150가구를 표본으로 구축하여 패널조사를 수행하였다.

한국아동패널자료는 연구참여자에 대한 윤리적인 고려하에 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아동패널자료는 8차년도 조사부터 조사 수행 전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을 거치고 있다. 7차년도까지는 IRB 심의 하에 조사를 진행하지는 않았지만, 영유아 및 그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윤리성을 고려하여 진행되었다. 예를 들어, 모든 연구참여자들은 자발적인 동의 과정을 통해 선정되었으며, 산모의 건강이 안 좋은 경우, 신생아가 심각한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 신생아가 입양 예정인 경우 등은 연구대상자 모집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가 원치 않는 경우 자유롭게 특정 문항에 응답하지 않거나 연구참여를 중단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에 IRB 심의를 자체적으로 요청하였고, 윤리적 문제없이 제공받은 2차자료를 분석하는

- 55 -

연구로 심의면제 판정을 받았다. 육아정책연구소는 신청에 따라 개인 연구자들에게 개인식별이 가능한 정보가 제거된 상태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본 연구도 신청을 통해 1차년도(2008년) 자료에서 본 연구 수행 시점에서 가장 최신의 공개된 자료인 8차년도(2015년)까지의 자료를 제공받았다.

한국아동패널의 조사 내용은 아동의 개인 특성, 부모 특성, 가족 특성, 지역사회 특성, 육아서비스 및 학교 특성 등 아동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체계를 포함하고 있으며, 어머니, 아버지, 어린이집 또는 초등학교 교사 등 다양한 평가자로부터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관심을 둔 변인들은 어머니를 통해서만 조사되었거나, 일부 변인이 아버지 또는 교사를 통해 측정되었더라도 응답률이 낮았다. 이를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를 통해 조사된 내용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한국아동패널은 2,150 가구의 표본 중 1차년도 조사에 총 2,098가구의 참여하였고, 8차년도 조사에는 1,598가구가 참여하여 74.3%의 표본 유지율을 보였다. 그러나 1차년도 조사에는 전체 표본 중 약 10%에 해당하는 215가구가 어머니 조사에 불참하여, 1,863가구가 어머니 설문에 참여하였다. 이후 2차년도 조사에서 166가구, 3차년도 조사에서 98가구, 4차년도 조사에서 28가구, 5차년도 조사에서 41가구, 6차년도 조사에서 43가구, 7차년도 조사에서 39가구, 8차년도 조사에서 54가구의 추가적인 조사이탈 가구가 발생하며, 8차년도까지 유지된 표본은 1,394가구였다. 이 중 조사참여 과정에서 사별, 이혼, 별거를 통해 가족 해체가 일어난 34가구의 자료를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1,360가구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 56 -

제3절 주요 변수 및 측정도구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