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분석 자료에 있어서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 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가 수행 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제한으로 인하여 의료법을 근거법으로 하여 건강보험으로 지불되는 요양병원과 노인복지법을 근거법으로 하여 장기요양 보험으로 지불되는 요양시설간의 기능 분화에 대한 현황을 분석할 수 없었 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 다. 구체적으로 기술한다면, 우선적으로 요양병원에 입원하는 환자들과 요양 시설에 입소하는 환자들의 임상적 및 기능적 차이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뇌졸중 환자들의 의료이용 경로를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요양병원이 의료기관 이용에 있어 마지막 단계인 환 자들이 많이 있는데 이후에 요양시설을 이용하는지 아니면 가정으로 복귀하 는지에 따라 추가적인 제언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이 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요양병원의 선택과 관련하여 사회인구학적인 요인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 의료체계에서 요양병원은 환자 및 보호자의 선택에 따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 요하다. 최근 국내에서 요양병원 선택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연구(류정건, 2006; 안광호 외, 2011)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구가 요양병원의 특성에 초점을 맞춘 경우가 많아서 직접 선택을 하는 국민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가족적 상황 등에 대한 좀더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때 요양병원 과 요양시설간의 선택의 차이에 대한 부분도 드러나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선택하여야 하는 국민의 입장에서는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이 어떠한 차이가 있다고 개념적으로 이해하고 있는지, 직접 선택하여야 하는 상황이라면 어떻 게 할 것인지, 그리고 선택해본 경우에는 어떠한 근거를 가지고 하였는지 등 에 대한 자세한 조사가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요양병원의 기능 정립’이라는 문제에 대하여 큰 틀에서 방안을 제시하였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총론적인 측면에서 각 방 안에 대한 각론적인 실천 방안이 도출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요양병원의 입원환자 기준을 설정하는 것에 대한 이해당사자간의 합의가 이루어졌다고 한다면 어떠한 목적으로 어떠한 도구를 사용하여 누가 입원 여부를 결정할 것인지 등에 대한 세부 내용이 필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향후 요양병원을 전체 노인의료체계에서 어느 정도의 역할을 부여할 것인지에 대 한 큰 틀에서의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경훈. 행정자료에서 동반질환 보정방법론 고찰. HIRA 정책동향 2008; 2(9); 58-62 김남순, 우울증 외래 환자의 항우울제 투약순응도와 건강결과와의 연관성, 서울대학교 보

건대학원 박사논문, 2008.

김재용, 김화영, 임지혜. 『진료에피소드 중증도 보정 및 예측용 지표개발』. 서울: 건강 보험심사평가원, 2007

노용균, 선우덕, 윤종률, 원장원, 이동우, 이동호, 기평석, 조항석, 오재윤. 『노인 요양시설과 요양병원의 역할 정립 방안 연구』. 서울: 보건복지부, 대한노인병학회. 2010 뇌졸중임상연구센터. 『뇌졸중 진료지침』. 2009

류정건. 고령화 사회의 요양병원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2006; 11(2); 101-130 서영준.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의 역할 정립방안. 『국민건강보험공단 조찬세미나 자료

집』. 서울: 국민건강보험공단, 2009

서영준.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의 역할정립 방안. 건강보험정책연구 2009; 8(2); 140-153 송현종, 채정미, 이병란, 이경민. 『요양병원의 효율적 관리방안』. 서울: 건강보험심사평

가원, 2011

안광호, 손태용, 오현주. 뇌졸중 환자들의 노인전문병원 및 노인요양시설 선택요인과 이 용만족도. 보건의료산업학회지 2011; 5(1); 147-158

이윤경, 정경희, 염지혜, 오영희, 유혜영, 이은진. 『한국 노인의 삶의 변화 분석 및 전망』.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최인덕, 이은미. 실태조사를 통한 장기요양시설과 요양병원의 효율적 연계방안. 한국노년학 2010; 30(3); 855-869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대전: 통계청, 2011

Buntin BM, Colla CH, Deb P, Sood N, Escarce JJ. Medicare spending and outcomes after postacute care for stroke and hip fracture. Medicare 2010; 48(9); 776-784 Canadian Institute for Health Information. 『Facility-based Continuing Care in Canada,

2004-2005』. Ottawa, 2006.

Chen L, Chen Y, Hwang S, Peng L, Lin M, Lee W, Lee C, Longitudinal Older Veterans Study Group. Effectiveness of community hospital-based post-acute care on functional recovery and 12-month mortality in older patients: A prospective cohort study. Annals of Medicine 2010; 42; 630-636

Deutch A, Granger CV, Heinemann AW, Fiedler RC, DeJong G, Kane RL, Ottenbacher KJ, Naughton JP, Trevisan M. Poststroke rehabilitation: Outcomes and reimbursement of Inpatient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subacute rehabilitation programs. Stroke 2006; 37; 1477-1482

Dolansky MA, Xu F, Zullo M, Shishehbor M, Moore SM, Rimm AA. Post-acute care services received by older adults following a cardiac event: A population- based analysis.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10; 25(4); 342-349

Espaulella J, Arnau A, Cubi D, Amblas J, Yanez A. Time-dependent prognostic factors of 6-month mortality in frail elderly patients admitted to post-acute care. Age and Ageing 2007; 36; 407-413

Essex, Kent & Lambton District Health Council. 『Long term care-Complex Continuing Care Interface in Chatham-Kent』. 2004

Gindin J, Walter-Ginzburg A, Geitzen M, Epstein S, Levi S, Landi F, Bernabei R.

Predictors of rehabilitation outcomes: A comparison of Israeli and Italian Geriatric Post-Acute Care(PAC) facilities using the Minimum Data Set(MDS).

Journal of american Medical Director Association 2007; 8; 233-242

Hirdes JP, Sinclair DG, King J, Tuttle P, McKinley J. From anecdotes to evidence:

Complex continuing care at the dawn of the information age in Ontario. in Milbank Memorial Fund 『Implementing the Resident Assessment Instrument:

Case studies of policymaking for Long-Term Care in eight countries』. New York, 2003

Kramer A, Holthaus D, Goodrish G, Epstein A. 『A study of stroke post-acute care costs and outcomes: Final report』.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6 OECD. 『OECD Health Data 2011』. 2011

Ontario Hospital Association. 『Optimizing the role of complex continuing care and rehabilitation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health care delivery system』. 2006

Saitto C, MarinoC, Fusco D, Arca M, Perucci CA, Prospective Payment in Rehabilitation Collaboration Group. Toward a new payment system for inpatient rehabilitation: Part Ⅱ Reimbursing providers. Medical Care 2005;

43(9); 856-864

<부록 1> referral form

Diagnosis: Name of Referring Unit Nurse:

Mandatory Criteria for Complex Care Yes No Comments 1. Presence of a chronic medical, functional,

behavioural and social condition. □ □

2. Need for either complex care or geriatric

assessment, respite, palliative care. □ □ 3. Requires technological services such as Lab,

1. Degree of patient's current involvement with the following:

TIME OF REFERRAL REPORT on ADMISSION to CONTINUING CARE Bath

Eating

Transfers

Ambulation

Toileting

Wounds

Oxygen

Lab

Outstanding

X-rays

Outstanding

<부록 2> 뇌졸중 최초 입원일로부터 30일내의 입원의료이용경로

발 행 일 : 2012년 3월 발 행 인 : 강 윤 구 편 집 인 : 최 병 호

발 행 처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평가연구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2(서초동) 대표전화 : 1644-2000 / FAX : 02)6710-5834 홈페이지 : www.hira.or.kr

인 쇄 처 : (사)한국척수장애인협회 ☎ 031)421-8418

※ 이 보고서는 무단으로 복제나 인용을 할 수 없습니다.

(저작권법 제136조 등 관련법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