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4차산업혁명 시대의 농업·농촌 대응전략 연구

문서에서 2019 발간 보고서 요약집 (페이지 155-161)

(2/2차년도)

●●●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문헌조사, 정책자료, 국내외 미래 농촌에 대한 정책 자료 수집·분석, 4차산업혁명과 농촌 생활환경 관련 선행연구 검토, 국내외 4 차산업혁명 기술 적용 사례자료를 수집·분석하였음.

●●● 농촌거주자 조사(308명)를 통해 농촌 생활환경 분야별 주요 이슈를 발굴하 고, 이들 대상으로 농촌 생활환경 만족도, 중요도, 농촌 생활환경 개선에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의 필요성 등을 조사·분석하였음.

●●● 도시민 조사(500명)는 도시에 거주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농촌 생활환경 개선 이 필요한 분야는 무엇인지, 향후 도시민이 원하는 농촌 생활환경의 문제점 및 중요도를 조사·분석하였음.

●●● 전문가 조사는 1차 조사 45명과 2차 FGI 조사 10명을 대상으로 농촌의 생활 환경 분야별 주요 이슈 발굴, 농촌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필요한 4차산업혁명 기술이 무엇이 있는지를 조사·분석하였음.

●●● 농촌의 바람직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영상을 제작하였음. 영상 내용은 농촌 생활환경의 문제점 및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시민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농촌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4차산업혁명 기술 적용 가능성, 제도 및 정책 방향 등임.

●●● 외국의 농촌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실태와 정책을 조사하기 위해 EU농촌개 발국(European Network for Rural Development: ENRD), 중국의 스마트빌 리지 현황 조사를 현지 출장으로 수행하였으며, 일본은 문헌조사로 대체하였 으며,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과 공동 연구를 통해 국내외 스마트농촌 관 련 정책 동향과 핵심과제를 도출하였음.

연구 방법

연구 배경과 목적

●●● 우리 농촌을 보는 도시민과 농촌주민은 이구동성으로 농촌 생활환경의 어려 움을 말하고 있음. 농촌 생활환경의 어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해 정부도 많은 정책을 수립하고 있음.

●●● 국가는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2018~2022)』,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 법」의 제10조 지역농업의 발전과 농촌주민의 복지증진, 「농어업인의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 촉진에 관한 특별법」 제2조,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 명 위원회’에서 ‘혁신성장을 위한 사람 중심의 4차산업혁명 대응계획’, 한국정 보화진흥원에서 발표한 『4차산업혁명과 지역혁신을 위한 정책과제 100선.

2018』에서 핵심과제 20선, 일반과제 80선 등이 있으나, 이 모든 것이 농업분야 에 국한되어 있고, 4차산업혁명 기술을 농촌의 생활환경 개선과 연계하지는 못 하고 있음.

연구자 _ 김연중·서대석·박지연·추성민

제4차산업혁명 시대의 농업·농촌 대응전략 연구

(2/2차년도)

2019

발간 보고서 요약집

발, 스마트시티의 자동차 관련 인프라를 스마트농촌에서도 이용 가능하도록 설 계 운영되어야 함.

●●● 농촌 생활에너지 분야는 에너지 비용 절감과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4차산업혁명 기술요소인 IoT, AI 등을 활용한 스마트그리드가 농촌에 적용되어야 하며, 농촌 가정 내 전력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플랫폼과 수 요자용 어플리케이션(App.) 개발이 필요함.

●●● 농촌 의료분야는 개인용 웨어러블 기기와 운동 기구 등에서 IoT를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수집·분석하여 개인에게 서비스를 사전에 제공할 수 있어야 함.

그러나 이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 문제, 의료진 간의 책임소재 문제, 소송 관 련법, 제도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기술적으로 또는 법적으로 사전에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함.

●●● 복지분야는 농촌지역의 고령화와 독거노인은 물론 사회적 약자를 위한 돌봄 로봇, 정서안정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로봇에 대한 적극적 보급·확대가 이루어 져야 함.

●●● 농촌의 안전분야는 2가지로 볼 수 있음. 첫째는 농촌 생활에서 안전, 둘째는 농작업에 의한 안전이 있음. 농촌 생활 안전을 위한 4차산업혁명 기술로는 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및 AI가 있으며, 관계 정보를 적지·적소에 확산하기 위한 플랫폼 등 정보전달체계 및 수요자 맞춤형 어플리케이션의 개발도 요 구됨.

●●● 결국 농촌지역의 지역별 특성에 따른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예·경보 시스템 이 필요하고, 4차산업혁명 기술이 농촌 생활환경 개선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 및 보급, 도시와 농촌의 연계를 위한 인프라 구축, 이를 총괄할 수 있 제4차산업혁명 시대의 농업·농촌

대응전략 연구(2/2차년도)

[ 농촌의 생활환경 개선분야 ]

●●● 도시민들이 생각하는 농촌 생활환경 개선분야는 농촌복지에서는 ‘독거노인 과 노인 돌봄’, ‘문화와 여가프로그램’, ‘농업인의 장애인 복지’이며, 농촌의료 에서는 ‘농촌 응급상황’, ‘의료시설 접근성’, ‘약국, 보건소 접근성’, ‘만성 노인 성 질환’ 등임. 농촌교육에서는 ‘아동 교육’, ‘방과 후 교육’, ‘어른 평생 학습기 회’ 등임. 농촌교통에서는 ‘대중교통 이용’, ‘학생 통학’, 농촌에너지는 ‘가정 냉 난방’과 ‘가로등’, 농촌정주생활에서는 농촌의 ‘상하수도 문제, 쓰레기 문제’,

‘낡은 주택’, ‘생필품 구입’, ‘목욕탕, 이·미용실’임. 농촌안전은 ‘범죄 문제’, ‘교 통 및 농작업 사고’, ‘홍수, 폭염, 폭설 등 기상재해’와 ‘화재발생’ 분야임.

[ 농촌의 생활환경 개선방향 ]

●●● 농촌의 문화·여가 분야에서는 VR/AR 등 정교한 하드웨어 개발임. 이를 이용 하면 문화·여가 교육이나 다양한 정보 제공, 오락, 쇼핑 등이 가능할 것으로 예 상되며, VR/AR에 담겨질 콘텐츠는 IoT(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와 AI(인공지능)를 통해 구현할 수 있도록 함.

●●● 농촌교육 분야에서는 현재 대학 중심의 MOOC 플랫폼을 초중고 교육을 위 한 플랫폼, 더 나아가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플랫폼으로 확대 구축할 필요가 있음. 이 플랫폼은 농촌지역 학생에게는 무료로 개방할 수 있도록 농촌 학생 에게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ID를 제공하여 농촌지역의 학생이 원격으로 교 육을 받을 수 있도록 기회를 확대해 가야 함.

●●● 농촌교통 분야는 자율주행차량, 공유형 교통서비스, 수요응답형 서비스가 가 능하도록 5G와 IoT가 연계되어야 하며, 자동차의 동선 등을 분석하는 AI 개

발, 스마트시티의 자동차 관련 인프라를 스마트농촌에서도 이용 가능하도록 설 계 운영되어야 함.

●●● 농촌 생활에너지 분야는 에너지 비용 절감과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4차산업혁명 기술요소인 IoT, AI 등을 활용한 스마트그리드가 농촌에 적용되어야 하며, 농촌 가정 내 전력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플랫폼과 수 요자용 어플리케이션(App.) 개발이 필요함.

●●● 농촌 의료분야는 개인용 웨어러블 기기와 운동 기구 등에서 IoT를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수집·분석하여 개인에게 서비스를 사전에 제공할 수 있어야 함.

그러나 이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 문제, 의료진 간의 책임소재 문제, 소송 관 련법, 제도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기술적으로 또는 법적으로 사전에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함.

●●● 복지분야는 농촌지역의 고령화와 독거노인은 물론 사회적 약자를 위한 돌봄 로봇, 정서안정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로봇에 대한 적극적 보급·확대가 이루어 져야 함.

●●● 농촌의 안전분야는 2가지로 볼 수 있음. 첫째는 농촌 생활에서 안전, 둘째는 농작업에 의한 안전이 있음. 농촌 생활 안전을 위한 4차산업혁명 기술로는 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및 AI가 있으며, 관계 정보를 적지·적소에 확산하기 위한 플랫폼 등 정보전달체계 및 수요자 맞춤형 어플리케이션의 개발도 요 구됨.

●●● 결국 농촌지역의 지역별 특성에 따른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예·경보 시스템 이 필요하고, 4차산업혁명 기술이 농촌 생활환경 개선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 및 보급, 도시와 농촌의 연계를 위한 인프라 구축, 이를 총괄할 수 있

[ 농촌의 생활환경 개선분야 ]

●●● 도시민들이 생각하는 농촌 생활환경 개선분야는 농촌복지에서는 ‘독거노인 과 노인 돌봄’, ‘문화와 여가프로그램’, ‘농업인의 장애인 복지’이며, 농촌의료 에서는 ‘농촌 응급상황’, ‘의료시설 접근성’, ‘약국, 보건소 접근성’, ‘만성 노인 성 질환’ 등임. 농촌교육에서는 ‘아동 교육’, ‘방과 후 교육’, ‘어른 평생 학습기 회’ 등임. 농촌교통에서는 ‘대중교통 이용’, ‘학생 통학’, 농촌에너지는 ‘가정 냉 난방’과 ‘가로등’, 농촌정주생활에서는 농촌의 ‘상하수도 문제, 쓰레기 문제’,

‘낡은 주택’, ‘생필품 구입’, ‘목욕탕, 이·미용실’임. 농촌안전은 ‘범죄 문제’, ‘교 통 및 농작업 사고’, ‘홍수, 폭염, 폭설 등 기상재해’와 ‘화재발생’ 분야임.

[ 농촌의 생활환경 개선방향 ]

●●● 농촌의 문화·여가 분야에서는 VR/AR 등 정교한 하드웨어 개발임. 이를 이용 하면 문화·여가 교육이나 다양한 정보 제공, 오락, 쇼핑 등이 가능할 것으로 예 상되며, VR/AR에 담겨질 콘텐츠는 IoT(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와 AI(인공지능)를 통해 구현할 수 있도록 함.

●●● 농촌교육 분야에서는 현재 대학 중심의 MOOC 플랫폼을 초중고 교육을 위 한 플랫폼, 더 나아가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플랫폼으로 확대 구축할 필요가 있음. 이 플랫폼은 농촌지역 학생에게는 무료로 개방할 수 있도록 농촌 학생 에게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ID를 제공하여 농촌지역의 학생이 원격으로 교 육을 받을 수 있도록 기회를 확대해 가야 함.

●●● 농촌교통 분야는 자율주행차량, 공유형 교통서비스, 수요응답형 서비스가 가 능하도록 5G와 IoT가 연계되어야 하며, 자동차의 동선 등을 분석하는 AI 개

2019

발간 보고서 요약집

보유 실태, 기간시설 유무, 지역에서 가장 필요한 내용, 지역의 주민을 이끌고 갈 수 있는 리더, 지역 주민의 적극적 참여, 지속 가능성, 인근 스마트시티와

보유 실태, 기간시설 유무, 지역에서 가장 필요한 내용, 지역의 주민을 이끌고 갈 수 있는 리더, 지역 주민의 적극적 참여, 지속 가능성, 인근 스마트시티와

문서에서 2019 발간 보고서 요약집 (페이지 155-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