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 혁신성장을 위한 농업기술 및 혁신성과 확산체계

문서에서 2019 발간 보고서 요약집 (페이지 145-151)

개선 방안 (1/2차년도)

●●● 정부는 농업의 경쟁력 강화 및 미래성장산업화를 위해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 적으로 확대하고 실용화·사업화를 강화해왔으나 그 성과가 미흡하다는 평가가 있음. 우리나라 농업 부문의 민간주체들은 자발적인 연구개발 및 기술 확산 여 력이 미약하여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도농업기술원, 시군농업기술센터 와 같은 국가 및 지자체 기관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연구개발 및 기술 지도·

보급은 기술개발자· 공급자 중심의 선형모델로서 농업 현장의 수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임.

●●● 이러한 공급자 중심의 연구개발과 기술 지도·보급 체계는 중앙정부 중심의 전 국적인 정책 추진과 관리가 용이하고, 농업인의 농업기술 수준이 낮고 기술 자체가 부족한 시기에는 상당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으나, 최근 농가의 농업 기술 수요가 다양화되고 그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이에 대한 대응이 충분히 효과적이지 못함.

●●● 따라서 기술혁신을 통한 농업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기술 수요자인 농업인·

농산업기업이 다양한 주체와 상호 협력함으로써 혁신을 이끌어내는 사용자

연구 배경과 목적

연구자 _ 박지연·이명기·조원주·김부영 체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이들이 겪는 제약 요인을 완화하는 것이 ‘구조 개선’일

수 있다.

유찬희 연구위원 TEL_061-820-2022 Email_chrhew@krei.re.kr 김정섭 연구위원 TEL_061-820-2252 Email_jskkjs@krei.re.kr 김태훈 선임연구위원 TEL_061-820-2174 Email_taehun@krei.re.kr 최용호 부연구위원 TEL_061-820-2191 Email_yonghochoi@krei.re.kr 오내원 명예선임연구위원 TEL_061-820-2346 Email_naewonoh@krei.re.kr 박지연 전문연구원 TEL_061-820-2136 Email_ jiyeonparkgj@krei.re.kr 임준혁 연구원 TEL_061-820-2136 Email_jhbee@krei.re.kr 연구 관련

문의 농업구조 변화 전망과 대응과제

(1/2차년도)

농업 혁신성장을 위한 농업기술 및 혁신성과 확산체계 개선 방안 (1/2차년도)

●●● 정부는 농업의 경쟁력 강화 및 미래성장산업화를 위해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 적으로 확대하고 실용화·사업화를 강화해왔으나 그 성과가 미흡하다는 평가가 있음. 우리나라 농업 부문의 민간주체들은 자발적인 연구개발 및 기술 확산 여 력이 미약하여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도농업기술원, 시군농업기술센터 와 같은 국가 및 지자체 기관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연구개발 및 기술 지도·

보급은 기술개발자· 공급자 중심의 선형모델로서 농업 현장의 수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임.

●●● 이러한 공급자 중심의 연구개발과 기술 지도·보급 체계는 중앙정부 중심의 전 국적인 정책 추진과 관리가 용이하고, 농업인의 농업기술 수준이 낮고 기술 자체가 부족한 시기에는 상당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으나, 최근 농가의 농업 기술 수요가 다양화되고 그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이에 대한 대응이 충분히 효과적이지 못함.

●●● 따라서 기술혁신을 통한 농업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기술 수요자인 농업인·

농산업기업이 다양한 주체와 상호 협력함으로써 혁신을 이끌어내는 사용자

연구 배경과 목적

연구자 _ 박지연·이명기·조원주·김부영 체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이들이 겪는 제약 요인을 완화하는 것이 ‘구조 개선’일

수 있다.

유찬희 연구위원 TEL_061-820-2022 Email_chrhew@krei.re.kr 김정섭 연구위원 TEL_061-820-2252 Email_jskkjs@krei.re.kr 김태훈 선임연구위원 TEL_061-820-2174 Email_taehun@krei.re.kr 최용호 부연구위원 TEL_061-820-2191 Email_yonghochoi@krei.re.kr 오내원 명예선임연구위원 TEL_061-820-2346 Email_naewonoh@krei.re.kr 박지연 전문연구원 TEL_061-820-2136 Email_ jiyeonparkgj@krei.re.kr 임준혁 연구원 TEL_061-820-2136 Email_jhbee@krei.re.kr 연구 관련

문의

2019

발간 보고서 요약집

●●● 첫째, 변화하는 농업인의 농업기술 및 혁신성과 수요에 대응하고, 고품질의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서 농업기술 및 혁신성과 확산체계를 현재의 선형적 방식에서 지역별 거점을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전환 시켜야 함. 지역별 거점을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형 혁신체계의 특성은 크게 두 가지로 제시할 수 있음. 1) 일대일(一對一) 관계에서 다대다(多對多) 관계 로 전환, 2) 전국 단위의 확산체계에서 지역 단위의 확산체계로 전환.

●●● 관련 기관(공급자)과 농업인(수요자)과의 관계를 각각의 기관이 농업인에게 동일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현재의 일대일 방식에서 모든 주체들이 함께 참여 하는 네트워크 방식으로 전환하여야 함. 또한 각각의 공급자와 농업인 간의 느 슨한 관계로 형성된 확산체계에서 지역별, 품목별 특성이 반영된 핵심주체들 을 확산거점으로 조직하고 확산거점을 중심으로 한 촘촘한 혁신 확산 네트워 크로 전환하여야 함.

●●● 둘째, 농업기술센터는 지도·보급 네트워크에 있어서, 연구기관인 농진청, 도농 업기술원, 대학과 민간 확산경로인 농협, 선도농가, 영농 컨설턴트, 농업 관련 기업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농업인의 수요와 현장의 문제를 관련 주체들 에게 연결해주는 조정자 역할 기능이 확대되어야 함. 과거와는 달리 농업기술 및 혁신성과에 대한 수요가 다양해짐에 따라 과거의 선형적 방식, 즉, 농업기 술센터가 지도·보급을 단독으로 수행하는 방식은 많은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 으며, 따라서 선형적 방식에서 네트워크 방식으로 전환되어야 함. 즉, 연구기 관인 농진청, 도농업기술원, 대학과 민간 확산경로인 농협, 선도농가, 영농 컨 설턴트, 농업 관련 기업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농업인의 수요와 현장의 문 제를 관련 주체들에게 연결해주는 조정자 역할 기능이 확대되어야 함.

●●● 셋째, 선도농은 농업기술 및 혁신성과 확산체계 내에서 기술 및 정보 수요자임 과 동시에 공급자로서 기능하고 있음. 현재 시행하고 있는 농업마이스터, 신지 식농업인, WPL, 귀농닥터와 같은 선도농의 기술 역량을 상승시키고 귀농인을 비롯한 주변 농가에게 선도농의 기술력을 전파할 수 있는 정책을 더욱 강화해 주도형 또는 네트워크형 농업기술혁신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으

며, 농업기술혁신시스템의 큰 틀 안에서 농업기술 및 혁신성과 확산체계를 검 토·분석하고, 확산체계의 개선 및 역량 강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음.

●●●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심층면접, FGI, 설문조사, 계량분석, 협동 연구, 원고위탁, 해외출장 조사 등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음. 농업기술 및 혁신 성과 확산체계 관련 이론 분석은 혁신확산이론 관련 국내외 문헌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음. 확산체계 내 다양한 주체의 정책/사업/네트워크 현황에 관한 조 사·분석은 공공기관(농촌진흥청, 도농업기술원, 농업기술센터), 생산자단체 (농협중앙회, 품목농협), 농가에 대한 심층면접, FGI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농가의 확산경로 선택에 미치는 농업기술 수요·공급의 특성 요인과 확산경로 만족도 분석을 위해 농업인(KREI 현지통신원) 500명에게 온라인 설문조사 및 Fractional Multinomial Logit 모형을 이용한 계량분석을 수행하였음. 논산 딸기, 장수 사과, 고양 접목선인장, 파주 장단콩 등 지역의 성공적인 기술 및 혁 신성과 확산사례 분석은 농정연구센터와의 협동연구(연구책임 장민기 소장) 를 통해 수행되었으며, 일본과 네덜란드의 농가 대상 기술 및 혁신성과 확산 체계 현황 조사는 문헌조사, 해외출장 조사,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최정남 박사 위탁원고를 통해 이루어졌음.

●●● 이와 같은 농업기술 및 혁신성과 확산체계의 현황 및 분석을 바탕으로 파악한 제도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음. 첫째, 선형적 확산체계에서 네트워크형 확산 체계로 전환하고, 둘째, 민간 중심의 혁신성과 확산체계로 전환, 셋째, 농지보 전의 친환경성을 확보하고, 넷째, 농업기술 및 혁신성과 수요자의 특성을 반 영한 맞춤형 경로 지원 정책을 강구함. 이러한 제도 개선 방향을 바탕으로 구 체적인 제도 개선과제로 다음과 같이 제시함.

농업 혁신성장을 위한

농업기술 및 혁신성과 확산체계 개선 방안(1/2차년도)

연구 방법

주요 연구

결과

●●● 첫째, 변화하는 농업인의 농업기술 및 혁신성과 수요에 대응하고, 고품질의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서 농업기술 및 혁신성과 확산체계를 현재의 선형적 방식에서 지역별 거점을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전환 시켜야 함. 지역별 거점을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형 혁신체계의 특성은 크게 두 가지로 제시할 수 있음. 1) 일대일(一對一) 관계에서 다대다(多對多) 관계 로 전환, 2) 전국 단위의 확산체계에서 지역 단위의 확산체계로 전환.

●●● 관련 기관(공급자)과 농업인(수요자)과의 관계를 각각의 기관이 농업인에게 동일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현재의 일대일 방식에서 모든 주체들이 함께 참여 하는 네트워크 방식으로 전환하여야 함. 또한 각각의 공급자와 농업인 간의 느 슨한 관계로 형성된 확산체계에서 지역별, 품목별 특성이 반영된 핵심주체들 을 확산거점으로 조직하고 확산거점을 중심으로 한 촘촘한 혁신 확산 네트워 크로 전환하여야 함.

●●● 둘째, 농업기술센터는 지도·보급 네트워크에 있어서, 연구기관인 농진청, 도농 업기술원, 대학과 민간 확산경로인 농협, 선도농가, 영농 컨설턴트, 농업 관련 기업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농업인의 수요와 현장의 문제를 관련 주체들 에게 연결해주는 조정자 역할 기능이 확대되어야 함. 과거와는 달리 농업기술 및 혁신성과에 대한 수요가 다양해짐에 따라 과거의 선형적 방식, 즉, 농업기 술센터가 지도·보급을 단독으로 수행하는 방식은 많은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 으며, 따라서 선형적 방식에서 네트워크 방식으로 전환되어야 함. 즉, 연구기

●●● 둘째, 농업기술센터는 지도·보급 네트워크에 있어서, 연구기관인 농진청, 도농 업기술원, 대학과 민간 확산경로인 농협, 선도농가, 영농 컨설턴트, 농업 관련 기업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농업인의 수요와 현장의 문제를 관련 주체들 에게 연결해주는 조정자 역할 기능이 확대되어야 함. 과거와는 달리 농업기술 및 혁신성과에 대한 수요가 다양해짐에 따라 과거의 선형적 방식, 즉, 농업기 술센터가 지도·보급을 단독으로 수행하는 방식은 많은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 으며, 따라서 선형적 방식에서 네트워크 방식으로 전환되어야 함. 즉, 연구기

문서에서 2019 발간 보고서 요약집 (페이지 145-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