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집중투표제 개정안의 문제점 및 비판

문서에서 기업지배구조 관련 (페이지 46-50)

III. 감사위원 분리 선출 ㆍ해임제도

4. 집중투표제 개정안의 문제점 및 비판

IV. 집중투표제 45 은 예상된 것으로 결과적으로 영리를 추구하는 회사에 부적합한 시스템임을 증명하 고 있음

󰠏 대표적인 의안분석기관인 Glass Lewis는 위임장 가이드라인을 통해 회사에 과반수 결의제(Majority Voting for the Election of Directors)가 이미 도입되어있는 기업의 경우 집중투표제에 대한 반대투표를 권고56)

󰠏 또한 미국의 중요기관투자자인 TIAA/CRFF(교원연금, Teachers Insurance and Annuity Association/ College Retirement Equities Fund)은 기업지배구조정책 지침57) 에서는 집중투표에 대한 주주 제안을 지지하지 않음을 명시

(3) 러시아

▶ 러시아는 2004년 「주식회사에 관한 연방법」(Федеральный закон О б акционерных обществах)을 개정하여 모든 주식회사가 집중투 표제를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강제하였음(제66조 제4항)

󰠏 자본주의 시장경제로의 체제 변화 가운데 러시아 는 공기업이 사유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기형적인 소유구조에 대한 개선책으로 소수주주 보호를 위하여 집중투표제를 강행규정화 한 것임58)

󰠏 집중투표제가 1주 1의결권 원칙의 예외가 아닌 의결권 행사방식의 차이 내지 방법론 적 변형에 불과하다는 주장60)도 있으나 집중투표제의 도입 취지 및 보유주식에 비 례한 영향력 행사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집중투표제는 1주 1의결권 원칙의 예외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됨61)

󰠏 우선주 등과 같이 법이 허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회사가 자치적으로 1주 1의결권 원 칙 혹은 다수결의 원칙과 달리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허용될 수 있겠으나 개 정안과 같이 법상 예외적인 방식(집중투표제)의 채택을 의무화하는 것은 기본 상법 상의 원칙들을 무용화(無用化)시킴

󰠏 집중투표제가 가치중립적인 제도가 아니라 소수주주를 보호하는 가치편향적인 방식으 로 지배주주측에서 회사의 지배력에 상당한 상실을 감수할 것을 전제로 만들어진 제 도임을 고려해볼 때62) 이를 강행규정화 하는 것은 객관적인 규제형평성을 상실한 것

󰠏 소수 주주에게 그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법률상 다양한 권한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적정한 균형이 요구되며, 회사에서 최종적인 의사결정은 다수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 다는 일정 한계가 있음을 인정하여야 함63)

▶ 집중투표의 강행규정화는 현행 상법상 Opt-Out 방식의 집중투표제도에 제기되는

문제들을 더욱 악화시킬 뿐

󰠏 상법상 집중투표제가 임의적 규정이라고 하나 이를 정관변경을 통해 배제하기 위해 서는 주주총회 특별정족수를 충족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64)(상법 제434조) 대규모 회사의 경우 주주의 의결권 행사를 3%로 제한하고 있어 규정상 실제 집중투표제의 강제력은 이미 상당한 수준임

󰠏 1주 1의결권 및 다수결 원리에 예외인 동 제도를 Opt-Out 방식으로 채택 의제(擬制) 하는 것, 3% 의결권 행사를 제한하는 것에 대해 일부에서 위헌성을 주장하고 있음

▪ 상법 제409조 제2항 감사선임에 있어 대주주의 의결권 행사를 제한하는 것은 특수한 임무를 수행하는 기관의 선임에 한정적으로 제한하는 규정과 달리 주주 전원의 수탁

59) 1주 1의결권 원칙은 주주들의 위험부담(출자액 즉 소유주식수)과 회사에 대한 영향력(의결권)간 비례적 평등을 추구하는 주식회사의 자본단체적 본질에서 비롯된 것, 이철송, 앞의 책, 513면

60) 송옥렬, 상법강의, 법문사(2013), 948~949면, 이철송, 앞의 책, 513면 61) 권재열, 앞의 논문, 202~203면

62) 박영준, 앞의 논문, 393면 63) 권재열, 앞의 논문, 205면

64) 출석주주의 의결권의 3분의 2 이상의 수와 발행주식총수의 3분의 1 이상의 수

IV. 집중투표제 47 기관이라고 볼 수 있는 이사의 선임에 대하여 대주주의 의결권 행사를 제한하는 것은 헌법에 위반된다는 견해65)

󰠏 이처럼 기존 상법상 집중투표제에 대한 위헌 논란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한단계 더 나아가 정관으로 배제하는 것조차 금지하는 것은 더욱 문제

(2) 집중투표 의무화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폐해

▶ 집중투표제를 통해 이사선임을 강제하는 것은 이사회 내에 당파적 대립을 형성하

기 쉬워 빠른 의사결정 등 효율적인 경영활동을 저해할 수 있음

󰠏 대주주 및 대주주에 의해 선임된 이사의 경영 활동에 대해 소수주주에 의해 선임된 이사의 견제 및 감독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집중투표제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 실제로 대주주와 소수주주 각각에 의해 선임된 이사들 간 의견 대립 및 충돌 등으로 인해 기동성 있는 이사회의 결정을 기대하기 어려움

󰠏 일반적으로 장기적 안목에서 회사의 성장을 도모하는 대주주와 단기적 성과 및 이윤 창출을 원하는 것이 보통인 소수주주의 특성이 이들에 의해 선임된 이사의 의사결정 에도 반영되므로 이사회 의사결정에 있어 상당한 조정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소수주주에 의해 선임된 이사들에 의해 회사의 주요 경영정보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을 이사로 선임해준 특정 집단의 이익만을 고려하여 업 무를 수행할 위험도 상당

󰠏 소수주주에 의해 선임된 이사가 회사경영정보를 취득함으로써 대주주를 감시·감독 할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 다양한 정보 가운데 대주주에 대한 감시·감독과 관련한 필요 정보만을 선택하기 쉽 지 않아 의도치 않게 영업비밀과 같은 사업 관련 정보가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이 있 음66)

󰠏 또한 집중투표제에 의하여 배분되는 이사 선임과 관련된 자들은 실제 소수주주가 아 닌 대주주 이외 주요주주로 이들이 과연 대주주에 비하여 소액주주들의 이익을 중요 시 할런지 의문

65) 김교창, 집중투표제의 채택의제 강행법규화의 위헌성. 상장협 제44호, 59면 66) 권재열, 앞의 논문, 209면

󰠏 오히려 주요주주가 자신에 의해 선임된 이사를 경영권 획득의 수단 등으로 이용할 여지도 있음

(3) 결론

▶ 집중투표제가 가지는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회사에 강제될 경우 본

래의 취지와는 달리 주식회사 이사회의 본질을 무너뜨리고 효율적인 기업 경영을 저해하는 등 상당한 폐해를 발생시킨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임

󰠏 개정안과 같이 집중투표제를 강행규정화 하는 것은 1주 1의결권 원칙, 다수결의 원 칙 등 기존 법리적 충돌 문제 뿐 만 아니라 기존 집중투표제에 제기되는 부정적인 측면을 확대할 뿐

󰠏 기업지배구조에 있어 소수주주에 의한 기업 경영을 감시하고 대주주의 전횡을 제한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경영권의 안정화와 기업경영의 신속하고 합리적인 경영 시스 템을 인정하는 것도 중요

󰠏 대주주에 대한 견제와 감시는 감사, 사외이사 등 다양한 감독기관을 통해 보다 엄격 하게 규제되어야 하며 소수주주의 경영참여는 주주 제안권 등 기존 소수주주권의 활 성화를 통해 이루어져야 함

󰠏 집중투표제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인 소수주주의 회사경영에 대한 정보접근 용이성 확보는 공시제도의 강화와 같은 다른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67)

67) 김정호 ․ 박양균, 집중투표제의 경제학, 자유기업센터, 1999, 50면

문서에서 기업지배구조 관련 (페이지 4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