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문서에서 연령통합 지표 개발과 적용 (페이지 24-27)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과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첫째, 연령통합지표 개발에 앞서 연령통합의 개념과 의의를 고찰하였다. 연령통합의 개념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 현재 연령통합 개 념과 관련된 논의가 이론 및 현실적으로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논의하 였다. 둘째, 이러한 논의에 기반하여 개별 사회의 연령통합 수준을 측정 할 수 있는 지표체계를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된 개별지표 중 가용한 통 계자료원이 있는 경우 이를 활용하여 우리사회의 연령통합 수준을 파악 해보았다. 또한 국제비교가 가능한 통계자료원이 있는 경우 각 복지국가 유형별(자유주의적 복지국가, 조합주의 복지국가, 사민주의 복지국가)4)

3) 이는 R. Merton이 주장한 ‘중범위 이론’적 접근과 통해 있음. 기존의 논의가 ‘거대이론’

(Grand Theorizing)에 머물고 있어, 이론과 경험적 연구를 통합하는 이론적 작업이 필 요함을 주장한 바 있음.

로 대표적인 국가(미국, 일본, 독일, 스웨덴)에 시범적용하여, 우리사회의 절대적인 연령통합 수준뿐만 아니라 상대적인 연령통합 수준을 살펴보았 다. 더불어 통계확보가 가능한 개별지표의 경우 시계열 비교를 실시하여 연령통합 수준의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정책적 함의와 지표체계의 완성도 및 활용도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내용의 구현을 위하여 무엇보다 먼저 국내외의 연령통합 에 대한 논의 및 관련 이론과 지표개별 현황을 비교 ․ 검토하였다. 더불어 활용할 수 있는 국내외 통계자료원을 파악하였다. 둘째, 해외출장(독일과 일본)을 통하여 해외 전문가와 의견을 교환하였다. 셋째, 전문가 자문회 의를 통하여 연구진이 개발한 연령통합지표체계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 였다. 넷째, 전문가 조사를 통하여 개발된 연령통합지표체계에 대한 의견 을 취합하여 최종적인 연령통합지표체계를 확정하였다. 이와 더불어 우 리나라의 연령통합 수준에 대한 전문가 의견도 파악하였다. 전문가 조사 는 설문지뿐만 아니라 연구진이 개발한 연령통합지표의 개별지표별 배경 및 정의를 정리한 자료를 이메일로 발송하여 정확한 응답을 받을 수 있도 록 하였다. 국내 전문가 조사는 38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으며 총 29명이 응답하였다. 또한 개발된 지표체계를 영문화하여 연령통합관련 연구물을 발간한 바 있는 국외 전문가에게 이메일로 발송하여 본 연구를 알리고, 의견을 취합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정리하면

〔그림 1-1〕과 같다.

4) 에스핑 엔더슨(Esping-Andersen)의 분류에 기초함(Esping-Andersen, 1990).

〔그림 1-1〕 연구진행과정

선행 연구 고찰 가용 자료원

검토

• 이론적 검토

• 연구진 회의

연령통합지표체계(안) 1차 안 마련

• 해외출장을 통한 국외 연구동향 파악 및 전문가 의견 청취

• 연구진 회의

연령통합지표체계(안) 2차 안 마련

• 전문가 회의• 연구진 회의

연령통합지표체계(안) 3차 안 마련

• 전문가 조사• 연구진 회의

최종 연령통합지표체계 확정

↓ ↓

가용 자료원 적용을 통한 한국의 연령통합 수준 파악 및 시사점 도출

문서에서 연령통합 지표 개발과 적용 (페이지 2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