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구성요소1: 연령유연성

문서에서 연령통합 지표 개발과 적용 (페이지 95-98)

연령통합적 사회의 기본적인 특징은 연령을 진입장벽으로 이용하지 않 는다는 것이며, 이를 연령유연성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즉, 연령통합적 사회는 기본적으로 연령유연성을 확보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령유 연성 개념을 통하여 각 사회의 연령으로 인한 제도적 진입장벽 정도를 파 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영역구성과 개별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 하여 한 개인의 삶에 있어 연령으로 인하여 진입이 제도화되어 있는 교육

과 고용 영역을, 또한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 서 간과해서는 안 되는 다양한 사회참여를 고려하여 영역을 구성하였다.

그 결과 교육, 고용, 사회참여 등 주요한 활동의 종류를 반영한 3개의 영 역이 설정되었다. 각 영역 구성의 의의와 주요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교육

교육영역은 연령이 진입장벽이 되고 있는 대표적인 영역으로 볼 수 있 다. 특히 우리 사회는 일정한 연령이 되면 유치원에 가고, 초등학교와 중 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대학에 가는 것으로 정규교육제도가 편성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대학을 졸업한 후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더 이상 교육을 받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나이가 많아져 교육받는 것을 정상적인 것으로 여기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가 만연하다. 그러나 최근 사고방식의 변화가 있어, 연령과 무관하게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생각도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영역에서는 이러한 제도적 장벽으로 인한 기회의 제한이 없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교육영역에서의 연령유연성을 파악하 는 개별지표로 ‘연령별 교육기관 등록률’과 ‘연령별 평생교육 참여율’의 두 지표를 설정하였다.

2) 경제활동

개인에게 경제활동 참여는 소득을 창출하고 사회적 교류의 기회를 가 질 수 있다는 점에서 삶에서 차지하는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 라서 본 영역은 노동시장 참여에 대한 기회가 연령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주어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개인의 경제활동에 있어 노동시장 참여여 부 외에도 고용안정성의 의미도 중요하므로 질적인 측면에서 함께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영역은 고용기회라는 측면에서 ‘연령별 실업률’

과 ‘연령별 안정적 고용률’을 지표로 구성하였다.

3) 사회참여

생애주기의 변화에 따라 일상생활의 구성에 차이가 나타나지만, 기본 적으로 다양한 사회활동에 자유롭게 참여하는 것은 모든 사회구성원이 각자 더 나은 삶을 구현하는데 있어 중요하다. 또한 각 연령층이 다양한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 및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 있을 때 실제 참여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대표적인 사회활동에는 사회구성원으로 타인에게 도움을 주고 연대의 가치를 실현함으로써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자원봉사활동, 시민으로서의 기본적인 의사표현이며 구체적으로는 국가정책 결정에의 적극적인 참여 인 투표 참여를 통한 정치참여활동, 마지막으로 자아실현과 풍요로운 삶 의 질 향유를 위한 문화여가활동이 포함된다.

본 영역은 다양한 연령층이 자유롭고 제한 없이 모든 사회활동에 참여 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연령유연성이 확보되는지를 중점적으로 파악 하고자 한다. 이에 본 영역은 대표적인 사회참여활동 종류를 반영하여

‘연령별 자원봉사 참여율’과 ‘연령별 정치활동 참여율’, ‘연령별 문화여가 활동 참여율’의 3개 지표로 구성하였다.

문서에서 연령통합 지표 개발과 적용 (페이지 9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