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언급했던 기업입지이론과 선행연구들은 모두 기업의 ‘현재’입지를 설 명하는 정태적 분석으로서 집적경제론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특정지 역에 기업이 입지함으로서 경제적 외부효과를 향유하며 공간적 집중을 발생시 킨다는 기존의 집적경제 이론(Isard 1960;Czamanski 1974, 1976; Ellison and Glaeser 1997; Feser and Bergman 2000; Rosenthal and William 2002)에 근거를 두고 있다.
그러나 집적경제와 같이 ‘공간적 연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공간적 집중만으로 설명할 수 없으며 시공간 집중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Kang, 2010). 공간적 집중만으로는 현재의 기업입지를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기 때문 이다. 시공간 집중과 공간적 집중의 차이를 간단한 사례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그림 4-1> 시공간을 고려한 자동차 도난사례
예를 들어서 시공간 집중을 고려하지 않고 공간집중만을 고려할 때 자동차 도난건수인 A,B와 7년의 시간을 두고 새로 발생한 C가 공간적으로 집중되어 있어 동일 범인의 소행이라고 판단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 범에 의한 자동차 도난사건은 공간적으로 집중된 A,B,C 가 아닌 동일한 시간 대에 발생한 A,B,D로 보아야 한다. 즉, 시공간을 고려할 때 기업을 유인하는
제 4 장∙수도권 산업입지의 시공간집중 분석 43
‘집적경제’, 수도권산업입지 정책등 기타 입지유발요인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있는 것이다. 기업입지에 있어서 시공간 집중이 갖는 의미를 보다 정확 하게 표현하면 아래의 그림과 같다.
<그림 4-2> 시공간 집중과 공간적집중의 차이점
자료:Kang, 2010
공간적 집적만을 고려할 때는 t' 시점에 공간적 집중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 할 수 있으나 과거 언제 공간적 집중이 집중적으로 발생했는지는 모른다. 그러 나 사실상 그림에서 가장 많은 기업의 집중은 t' 시점보다 이전인 t-1시점에 발생 한 것이며 따라서 t' 보다는 t-1의 시기가 연구자에게 기업의 입지요인을 분석하 기에 중요한 시기가 되는 것이다. 시공간 집중이 발생한 시기와 해당 지역을 역 추적 할 경우에 연구자는 입지에 영향을 준 지역의 경쟁력, 정책변화 등을 설명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1의 시점에 수도권 규제완화가 진행되었다면 규제완화 로 인한 시공간집중이 발생했다는 것이며, 반대로 t-1의 시점에 규제가 강화되
었음에도 불구하고 시공간 집중이 발생할 경우, 규제완화 이외의 다른 입지적 요인이 발생했다고 볼 수도 있는 것이다.
간단히 설명하면 과거의 공간적 집중은 100개의 기업이 특정지역에 집단화 되어 있는 가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시공간 집중은 과거에 발생 한 100개의 기업보다 최근 1~2년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생한 기업의 입지까지 도 함께 고려함으로서 기업입지의 시공간 입지요인을 역추적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림 4-3> 제품생애주기에 따른 기업입지의 변화
특히, 시공간 집중은 동태적 분석방법으로서 기존의 정태적 공간집중분석기 법만으로 불가능한 산업의 제품생애주기에 따른 입지 공간 변화도 함께 고려 해 분석할 수 있음
제품생애주기는 Vernon(1966)의 제품생애주기와 Klepper(1990, 1993, 1996)의 기업단계론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들 이론에 따르면 기업은 초기에 집적지를 형성하다 점차 규모에 의한 경제를 자체적으로 실현하면서 자유입지기업
제 4 장∙수도권 산업입지의 시공간집중 분석 45
(free-locatioin)으로 집적지를 이탈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즉, 첨단기술, 벤처기 업 등은 집적지를 형성하고 대기업 등은 값싼 토지가격을 찾아 자유입지기업 으로 주변기업에 상관없이 입지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만약 수도권에서 시공 간분석에 따른 산업별 공간분화가 발생했는지 분석함으로서 첨단산업, 지식기 반산업의 시공간 집중이 발생했는지 아니면 단순제조업의 시공간 집중이 발생 과 공간적 분화를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일단 시공간 집중이 발생한 지역과 시간을 ‘탐색’하게 되면 이를 바탕으로 어떤 요인으로 시공간 집중이 발생하게 되었는지 정성적 분석을 통해 밝혀 낼 수 있게 된다.
개별입지의 시공간 집중이 무계획적인 수도권 규제완화로부터 기인한 것인 지, 계획적 성장관리에 의한 것이었는지 분석이 가능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