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정치교육의 이론적 배경

4. 정치교육의 내용

정치교육은 단순히 지식이나 기술을 전달하는 교육과는 다르다. 흔히 교 육이란 단편적이고 가치 중립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것으로 그 개념이 제한 되기 쉽지만 정치교육은 체계적인 지식과 정보, 경험 등이 내면화되고 생활 화되어야 한다는 점이 다른 교육 보다 한층 더 강조되고 있다.

때문에 정치교육의 내용은 단순한 이념주입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정치 적 사고방식을 습득하여 정치현상에 대한 탐구를 통해 최종적으로 정치적 가치를 선택하고 이를 정당화하여 행동함으로써 복지국가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J. Dennis는 정치교육내용의 구성원칙으로 ① 체제적합성의 문제 ② 내 용의 다양성 문제 ③ 학습자의 발달단계 ④ 세대간의 차이 ⑤ 문화간의 차 이 ⑥ 하위문화의 집단의 차이 ⑦ 학습과정 ⑧ 교육기관 ⑨ 교육의 범위와 상대적 효과 등을 제시하였다.27)

윤용탁은 정치현상을 과학적으로 이해하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정치 현상에 대한 기본 개념과 원리를 중심으로 정치교육의 내용이 선정되어야 한다고 하였다.28)

김경웅은 정치교육의 내용은 정치교육의 이념을 기초로 설정되어야 하며 그 내용을 구성하는데 있어 다음과 같은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하였다.29) 첫째, 우리의 특수한 역사적 배경과 현재의 상황 등을 최대한 수록·반영 해야 한다.

둘째, 국가 사회의 현재와 장래를 보고 국가 정책적 차원에서 교육 전체 를 포괄하는 보편적·공통적 요소를 추출 해야한다.

셋째, 정치교육 본연의 목적에 입각, 바람직한 가치관의 정립에 필요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체계화하는 최소한의 영역을 설정해야 한다고 하였다.

정치교육의 내용은 곧 정치교육의 성격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보다 직

27) J. Dennis, Socialization Politics(New Yo가 : John Wiley, 1973) : 조남호,

“우리 나라 국민학교 사회과에서 정치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p. 29 참조.

28) 윤용탁, 상개서, p. 196.

29) 김경웅, 정치교육론( 서울 : 유풍출판사, 1996), p. 196.

접적인 정치지식과 정치적 탐구와 관련된 내용을 설정하게 된다.

교육은 그 자체가 사회화 과정이므로 정치교육의 내용과 방향은 사회적 합의에 의해 정립되어야 하며 사회적 합의란 구성원들이 공통으로 받아들 이는 이상에 기여하는 가치를 전제로 한다. 그러므로 정치교육에서 추구하 는 가치체계는 그 사회에서 통용되는 가치체계이며 그 사회를 대표하는 정 치이념과 무관할 수 없는 특성을 갖게된다. 정치학자들에 따라 정치교육의 개념과 목표가 다르게 설명되어 지듯이 정치교육의 내용에 있어서도 학자 들에 따라 정치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에는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대체 적으로 그 국가가 지향하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교육을 포함하고 있 다.

민주주의 정치제도와 질서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민주시민의 권리와 책임 에 대한 인식을 높이며 정치현상에 대한 올바른 판단역량을 배양하여 민주 적 공동체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시민적 자질을 양성하기 위한 내용 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은 공통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사실이다.

자유민주주의를 원칙으로 하는 우리 나라와 같은 국가에서도 민주주의에 대한 교육이 정치교육의 핵심적 내용을 이루고 있으며 국가, 사회의 존속과 발전에 기초가 되는 민주시민을 위한 교육, 올바른 사회의식 정립과 같은 민주주의적 의식과 행동규범을 확립하기 위한 교육내용을 다루고 있다.

정치교육은 인간을 근본으로 하되 인간의 이성과 존엄성을 신뢰하고 그 를 지향하는 이념을 필요로 한다. 결국 이 이념은 민주주의이며 오늘날 우 리사회에서 역점을 두어야할 정치교육은 민주주의이념을 바탕으로 사회공 동체적인 의식과 균형을 이루는 자율적 능력의 훈련 및 개발이라고 할 수 있다.

학자들이 제시한 정치교육의 기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 2> 정치교육의 내용비교-뱅크스30),마이너31),김경웅32),윤용탁탁·이 영기33)한국교육개발원34)

30) J. A. Banks, 사회과 교수법과 교재연구, 최병모(역) ( 서울 : 갑을출판사, 1987), p. 37.

31) Davis. W. Minar, Political Science: A Overview of the Discipline. Social Sience Content for Preparing Educational Leaders(Columbus Ohio : Charles.

Merrill, 1973), pp.149∼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