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가기술자격 검정방법 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의 추진을 제안한 다. 다만, 정책시행의 우선 순위를 정한다면 등급별 검정방법 개선이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검정인프라의 구축, 컴퓨터화된 검정방법의 도 입 순으로 시행계획이 마련되는 것이 타당하다.

< 기술사 >

현장 경력자가 준비 가능한 필기시험 출제방법을 도입한다

■ 산업계 인사위주로 출제위원을 위촉하여 필기시험이 현장 업무수행에 필 요한 내용과 방법위주로 출제되도록 한다.

■ 필기시험 출제과목 및 범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 평생학습을 촉진하는 자격검정이 되도록 한다.

면접시험을 체계화한다

■ 면접질문 요목을 상세화하여야 하며 포트폴리오 등을 이용하여 검정방법 도 정교화 한다.

■ 면접시험의 내용과 방법을 고도화하여 면접이 자격취득의 중요단계가 되 도록 한다.

■ 면접위원이 검정에 참여하기 전에 면접시의 평가기법에 대한 사전 교육 훈련을 받도록 한다.

< 기능장 >

검정방법의 적절화를 도모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다

■ 산업기능장과 수공업기능장으로 구분하여 검정 및 출제기준을 이원화한 다.

■ 산업기능장은 기업의 중간관리자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수공업기능장 은 해당분야의 최고 기능보유자가 될 수 있도록 실기검정 방법을 보완한 다

검정방법의 다양화를 추구한다

■ 기능장 검정을 1, 2, 3차로 구분하여 실시한다.

■ 3차 시험으로 면접시험을 추가하여 실시한다.

■ 기능장제도를 명장제도와 연계하여 운영한다.

< 기사・산업기사・기능사 >

필기시험 문제유형을 다양화 한다

■ 필답형 실기시험은 산업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지식 및 기술과 직접적 인 관련이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여 필기시험과 차별화 될 수 있도록 한 다.

■ 문제은행을 통해서 관리하고 있는 문제의 유형을 다양화한다.

복합형으로 검정을 실시하는 종목 중에서 작업형 배점 비율이 낮은 자격종목의 경우 배점비율을 높이거나 과락점수제를 도입한다

■ 복합형 실기검정은 최소한의 현장직무수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작업 형 배점비율을 가능한 상향조정하거나 또는 과락점수제를 도입하여 최소 도달목표를 제시한다.

검정과목별 중요도에 따라 시험과목의 배점비율에 차등을 두고 과목 별 합격제를 도입한다

■ 산업현장의 직무수행 내용에 바탕을 두고 검정과목별 점수배점을 차등화 한다.

■ 불합격한 경우라도 60점 이상을 획득한 과목의 경우 차기 검정에서 이 과목에 대한 검정을 면제해주는 방법을 강구한다.

필기시험과목을 필수와 선택과목으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

■ 기사・산업기사는 종목별로 필기시험 과목중에서 필수와 선택과목을 구 분하여 제시한다.

■ 필수과목은 2~3개 정도로 정하고, 선택과목은 자격종목내의 세부 전문 분야를 최대한 고려하여 과목명을 정한다.

작업형 검정방법을 다양화한다

■ 모의시험 기법을 도입하여 적극 활용한다.

■ 작업형 검정방법의 내실화를 위해서 작업형 실기검정의 보완적 차원에서 검정시 면접시험 방법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검정방법을 강구한다.

기사 실기검정 내용 , 방법 및 수준이 산업기사와 구별되도록 하여야 한다

■ 기사의 실기검정이 산업현장에서 기사로서 수행하여야 할 직무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이 혼합된 작업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기검정 내용, 방법 및 수준을 정교화 한다

< 컴퓨터화된 검정방법 구축 >

컴퓨터 검정 운영체계의 수립이 필요하다

■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도입・운영방식을 고려하여 국가기술자 격의 컴퓨터 검정체계을 마련한다.

■ 한국산업인력공단과 컴퓨터 검정장간의 네트워크 구축방법을 수립한다.

검정 운영・관리체제를 수립한다

■ 문제은행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관리・운영을 주기적으로 개선 (up gr ade )하기 위한 계획이 마련한다.

■ 컴퓨터를 이용한 개별 적응검사방법(CAT ) 등의 도입 계획을 마련한다.

■ 문항출제 및 배포방법에 대한 계획을 수립한다.

■ 검정에 응시한 횟수를 고려하여 응시자격을 제한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컴퓨터 검정 우선실시 자격종목을 선정한다

■ 컴퓨터 검정 우선실시 분야와 종목의 선정기준을 마련한다. 이 때 컴퓨 터 검정의 특징을 고려하여 이에 부합될 수 있는 분야와 종목을 선정하 여야 하며, 검정에서 요구하는 설비와 장비에 대한 수요를 연간 응시인 원 차원에서 고려한다.

컴퓨터 검정장 인정 및 검정관리 인력확보 방안을 마련한다

■ 컴퓨터 검정장 인정 기준, 절차, 방법 등과 관련된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 한다.

■ 검정장 관리 인력을 확보하고 이들의 질관리를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 검정 인프라 구축 - 제도적인 면 >

현장업무 수행능력을 중시하는 새로운 자격을 신설한다

■ 산업현장의 근로자가 응시할 수 있는 가칭 전문기사 , 전문산업기사 , 전 문기능사 자격을 신설한다.

■ 신설될 전문자격의 검정방법으로는 작업현장 또는 모의상황에서 현장실

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검정방법을 도입한다.

출제기준의 최신화를 위한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

■ 국가기술자격법에 주기적으로 전 종목에 대하여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출 제기준을 최신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을 신설한다.

■ 국가기술표준(National Skill St andar d )을 제정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한 다.

컴퓨터 검정방법의 도입을 위한 구체적인 투자 및 지원계획을 수립 한다 .

■ 검정에 관련된 내용업무를 종합적으로 관리・운영할 수 있는 체제를 구 축하여 검정관리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현재의 문제은행 관리・운영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한다.

■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는 실행계획을 수립한다.

검정참여 인사에 대한 각종 수당을 현실화한다

■ 문제의 질관리를 위해서 시험문제 출제와 검토수당을 현실화한다.

■ 평가자의 능력, 투여시간과 노력을 고려하여 실기검정 평가자의 평가수 당을 현실화 한다.

< 검정 인프라 구축 - 운영적인 면 >

검정방법의 다양화를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 모의시험 기법을 적극적으로 개발한다.

■ 실기검정 내실화를 위해서 산업현장을 모사한 실물모형 등을 제작하여 검정에 활용한다.

현장근무 경력 확인 및 관리체제의 구축이 필요하다

■ 현재 제시하고 있는 경력신고서 뿐만 아니라 해당기관이 발행한 근무확 인서와 기술 경력확인서를 함께 제출하는 방법을 도입한다.

■ 이를 바탕으로 기술사의 경우 면접시험 방법을 1, 2차로 나누어서 실시 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출제부 연구원이 평가 및 내용전문가로서 전문성을 고양할 수 있도 록 교육훈련 계획을 수립한다

■ 출제부 연구원이 평가와 전공분야에서 전문가적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계속교육훈련 기회를 제공하는 계획을 수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