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 등급별 검정방법의 문제점

가 . 기술사

1 ) 현장경력자 위주의 필기시험 출제방법 구조화 미비

기술사 필기시험 출제위원은 종목당 2인 이상으로 구성하되, 학계 1명, 산 업계 1명씩 위촉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1996년까지만 하더라도 문제출제를 위한 인적자원이 풍부한 학계인사를 다수 위촉하였으나 이때 이후로 산업계 인사의 위촉을 확대하여 현재에는 인적구성면에서 학계와 산업계 인사간에 균형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출제 내용면에서는 현장위주의 내용보다 이론적인 학습이 필요한 문제의 출제빈도가 여전히 높다. 이러한 현상은 설 문조사 결과에 의해서도 뒷받침되고 있다.

또한 2명의 출제위원이 짧은 시간동안 많은 수의 문제를 출제함으로써 다 양한 내용과 유형의 문제를 출제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출제된 문제를 최 종적으로 평가전문가의 검토를 거치지 않고 검정에 이용되고 있다.

한편 < 표 Ⅳ- 1> 에 토목품질시험, 조선설계, 품질관리기술사 시험의 연도 별 필기시험, 면접시험 합격률을 제시하였다. 토목품질시험, 품질관리기술사 의 필기시험 평균 합격률은 극히 저조하였으며, 조선설계의 경우도 주요선 진국의 기술사 필기시험 합격률에 비하여 낮은 편이다. 이러한 현상은 필기 시험 응시자들이 짧게는 4년, 길게는 7년의 현장경험을 갖고 있는 현장의 근로자임을 감안할 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장위주가 아닌 이론위주의 문제가 출제됨으로써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아울러 기술사 필기시험의 범위와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도 낮은 필기시 험 합격률을 나타나게 하는 한가지 요인으로 생각된다.

< 표 Ⅳ- 1> 기술사 합격율(예시)

필기시험 면접시험

기술사 연 도 응 시 합 격 합격률(%) 응 시 합 격 합격률(%)

토목품질 시험

소 계 942 118 12.5 147 116 78.9

1999 58 13 22.4 13 4 30.7

1993 124 6 4.8 16 13 81.2

1994 130 28 21.5 30 26 86.3 1995 137 25 18.2 32 29 90.6 1996 135 12 8.8 14 12 85.7 1997 201 16 7.9 20 15 75.0 1998 157 18 11.4 72 17 77.2 자료) 한국산업인력공단(1999a). 국가기술자격검정통계연보.

기술사 시험의 합격율은 연도별로 동일종목 내에서뿐만 아니라 타 종목간 에도 < 표 Ⅳ- 2> 와 같이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즉, 토목 품질시험기술사의 경우 1993년도 필기시험에 124명이 응시하여 6명이 합격하여 4.8%의 합격 률을 보인 반면 1994년의 경우는 130명이 응시하여 28명이 합격하여 21.5%

의 합격률을 보임으로써 1993년과 4.5배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조선설계기술사와 품질관리기술사의 경우 이제까지 평균 합격률을 비교해 보면 전자가 53.4% , 후자가 14.3%등으로 종목간에 큰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합격률 변동은 검정 내・외적인 면에서 여러 가지 요

접시험 위원은 기술사 면접시험 질문 요목에 근거하여 면접을 실시하고 오

3 ) 설문조사 결과

현재 기술사 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 문에 대한 결과를 < 표 Ⅳ- 4> 에 제시하였다. 응답자의 58.2%가 학원수강이 라고 응답하였고, 다음으로 관련 산업현장에서의 근무(24.6% ), 예상문제집 등과 같이 좋은 교재의 선택(9.8% )이라고 응답하였다. 이 결과에 따르면 기 술사 자격 취득을 위하여 과반수 이상의 자격 취득자들이 학원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업현장에서의 현장 근무가 자격 취득에 효과적 이라는 응답은 학원수강 방법보다는 적어 자격시험 준비에 학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큼을 알 수 있다. 시중에서 판매중인 예상문제집에 대한 응답이 낮 은 것으로 볼 때 기술사 자격취득을 혼자서 준비하는 경우는 매우 적은 것 으로 파악된다.

< 표 Ⅳ- 4> 효과적인 자격취득 방법

도 (%)

학원수강

관련 산업현장에서의 근무 좋은 교재(예상문제집 등)의 선택 고등교육의 이수(대학원)

기 타

71(58.2) 30(24.6) 12( 9.8) 1( 0.8) 8( 6.6)

122(100.0)

기술사 자격 취득을 위하여 시중에서 판매중인 문제집의 예상문제와 실제 자격시험에 출제된 문제와 내용의 유사성에 대한 조사결과는 < 표 Ⅳ- 5> 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시중 문제집과 자격시험 내용의 유사성이 매우 많다는 의견은 응답자의 18.0%로 나타났으며, 유사성이 많다는 응답은 35.2%로, 전 체 응답자의 절반이 약간 넘는 53.3%가 시험문제의 창의성에 문제를 제기 하고 있다.

< 표 Ⅳ- 5> 시중 문제집과 자격시험 내용의 유사성

현장 업무수행에 필요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나, 관련성이 부족하다는 의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 같이 면접내용의 적절성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역시 면접수준이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이 32.0% , 적절하다는 의견이 33.6% 달하고 있음을 감 안할 때 시험수준의 적절성에 대한 의견이 거의 동일한 비율로 상반되게 나 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표 Ⅳ- 11> 면접수준의 적절성

도 (%)

매우 적절하다 적절하다 보통이다 적절하지 않다 전혀 적절하지 않다

3( 2.5) 38(31.1) 42(34.4) 39(32.0) 0(0.0)

122(100.0)

다음으로 기술사 면접시험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의견을 조사 하였다. < 표 Ⅳ- 12> 에서 볼 수 있듯이 현장경험이 풍부한 면접시험 위원의 위촉이 27.0%로 면접시험 보완 방안으로 가장 많이 제시되었고, 다음으로 면접시험시 업무수행능력 평가를 위한 다양한 매체와 자료의 활용이 20.5% , 면접시험 평가의 객관화를 위한 평가항목의 세분화가 15.6% , 면접시험에 포 트폴리오 제출 등과 같은 다양한 평가방법 등의 활용이 13.9%의 순으로 나 타났다. 이에 따라 면접시험 위원의 위촉에 현장경험이 풍부한 인사가 적극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면접시험을 통해 개인의 업무수행능력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와 자료의 개발 및 활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표 Ⅳ- 12> 면접시험의 보완 방안

기술사 시험의 출제분야가 매년 해당 종목과 관련된 중요 분야를 고르게

항이 있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기술사 시험에 추가하여야 하는 시험분야에 대한 질문의 응답은 < 표 Ⅳ- 17>

평가나 현장 업무수행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와 자료의 활용이 필요함을 예측할 수 있었다.

나 . 기능장

1 ) 적절한 검정방법 설정기반 마련 미흡

기능장 검정기준은 응시하고자 하는 종목에 관한 최상급 숙련기능을 가 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관리, 소속기능인력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 계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주는 현장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유무 로 설정되어 있다(한국산업인력공단, 1999b ).

그러나 실제로 기능장 자격 취득자가 모두 기업에 종사하지 않고 자영업을 하는 경우도 많아 현재의 검정기준은 모두 기업에 근무하는 것을 가정하고 제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미용, 제과, 조리, 귀금속, 가스, 위험물, 염색기 능장 등은 자격취득자들이 자영업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은 자격종목이다. 따 라서 기능장 자격취득 후 이들이 어떠한 형태로 경제활동에 참여하는지를 고 려하여, 검정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검정내용과 방법을 선정할 때 근거가 되는 출제기준은 검정기준을 바탕으로 제정되는 것이므로 검정기준의 명확한 제시는 각 기능장 종목에 부합되는 검정내용과 방법을 선택하는데 대단히 중 요하다.

독일의 경우 기능장을 산업기능장과 수공업기능장으로 구분하여 각 기능장 이 산업현장에서 수행하여야 하는 역할을 고려하여 검정내용과 방법을 다르 게 설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검정기준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

기능장 자격시험의 내용이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직무능력을 잘 반영 하고 있는가에 대해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기능장 자격시험 내용이 현장 성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이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기능장 검정기준을 비롯하여 출제기준, 검정내용과 방법 등이 기

능장 자격의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 있도록 제정되지 않음으로써 나타난 결 과이다. 기능장의 역할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도 전체 응답자의 53.2%가 공 장의 조업을 책임지는 관리책임자라고 응답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능 장 취득자의 자격에 대한 의식과 기능장 제도에서 규정하고 있는 역할과 많 은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괴리가 결과적으로는 기능장 검정 내용 선정과 적절한 검정방법의 선택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되고 있다.

2 ) 산업현장에 적합한 검정방법 도입 미흡

기능장 자격검정은 1차 필기시험과 2차 실기시험으로 나누어 시행되고 있 다. 1차 필기시험은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출제되고 있다. 2차 실기시험은 종목에 따라 필답형(23종목), 작업형(9종목), 복합형(1종목)으로 구분하여 실 시되고 있어 필답형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한국산업인력공단 , 1999 d ).

실기시험의 검정시간은 필답형의 경우는 2시간이며, 작업형의 경우에는 다음의 < 표 Ⅳ- 18> 와 같이 종목에 따라 시험시간이 다르다. 복합형으로 시 행하고 있는 염색기능장의 경우에는 작업형이 9시간 정도이며, 필답형이 1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 표 Ⅳ- 18> 기능장 작업형 실기시험의 검정시간의 예

시 험 시 간

직 무 분 야 종 목 명

건축일반시공기능장 14시간정도

건축목재시공기능장 15시간정도

섬유기계기능장 4시간정도

산림기능장 5시간정도

귀금속가공기능장 7시간정도

음식료품 조리기능장 5시간정도

제과기능장 8시간정도

제과기능장 8시간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