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정책평가는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다양한 요인이 관계를 맺고 있어 해당 정책의 특 성 따라 유형이 달라지며, 이러한 것들을 고려하여 평가 방식이 달라진다. 하지만 큰 맥락 에서 정책평가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된다.

① 정책평가의 목적 확인, 결정: 가장 먼저 수행되는 단계로 정책평가를 왜 수행하며, 이를 통해 어떤 결과를 도출해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한다. 일반적 으로 본격적인 평가 설계 이전에 수행되며, 개략적인 검토를 통해 평가의 목적 (desirability)과 결과 도출 가능성(feasibility)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정책의 결과가 유용 한 근거로 제공되기 위해서는 누가 결과를 활용할 당사자인지 확인하고 이해관계자의 요 구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며, 평가에서 다루어야 할 연구 질문을 도출하기도 한다.

② 정책목표, 수단 및 정책구조 파악, 평가대상 확정: 평가대상 정책의 목표와 구조, 의 도한 결과가 무엇인지를 정의하는 단계이다. 이는 추후에 진행될 분석의 틀을 명료하게 하므로 중요하다.

58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정책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논리 모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논리 모형은 정책에 대한 이론, 가정과 타당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기술하는 것으로(김남순 등, 2016) 정책 이 의도한 결과와 투입요소, 활동 등의 과정과 이론적 가정을 연결하는 것이다. 일반적으 로 논리 모형에는 정책이 만들어진 사회적 맥락과 이슈, 투입요소, 활동, 초기 실적, 중장 기 결과, 기대 영향 등의 정책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후 논리모형을 기초로 평가대상 을 확정하게 된다.

<논리 모형 정책요소>

가. 정책이 만들어진 사회적 맥락과 이슈

나. 투입(input) 요소: 정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투입된 재정, 인력과 장비, 시간, 기술 등 다. 활동(activity): 공공 영역 입장에서 정책 대상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 것

라. 초기 실적(output): 정책 대상자가 공공자원으로 제공한 것

마. 중장기 결과(outcomes): 수행으로 인해 발생한 중간 결과(예: 비용절감, 고용 기회 창출) 바. 기대한 영향(impacts): 전반적인 경제적, 사회적 결과

※ 정책적 중재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만드는 가정 자료: W.K.Kellogg Foundation(2004)을 기준으로 재정리하였음

③ 평가방법 결정: 평가의 목적,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산정하고 논리모형과 함께 연구 질문을 도출했다면 평가 방법을 선정할 차례이다. 정책의 특성과 평가 목적에 따라서 평 가 방법은 다양한 연구 방법 중에서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④ 자료의 수집과 분석: 양질의 평가를 위해서는 좋은 자료가 필요하다. 평가를 위한 질문에 따라 필요한 자료가 정해진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의료정책 평가 모형 연구(I)」에서는 다음 <표 14>와 같이 연구 질문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자료를 확보한 후 에서 상기에서 결정된 평가방법을 통해 평가를 수행하고 결과를 도출한다.

www.hira.or.kr 59

www.hira.or.kr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