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 전자지방정부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GIS는 그 어떤 정보기술보다도 중요한 핵심기술이며, 특히 향후 발전적으로 고도화된 전자지방정부-사이버 세계-를 구 현하는데 없어서는 않 될 기술이다. GIS를 적용하지 않은 현재의 내부행정업무 시스템은 Enterprise GIS기술 기반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외부정보서비스시스템 은 Web/Mobile GIS기술 기반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형 태를 GIS기반의 전자지방정부라고 한다(<그림 4-2>).

업무업무 GIS기술

GIS기술

제도제도 조직조직 업무업무

제도제도 조직조직

정보화 전자지방정부

이념과 목표

표준 Enterprise GIS 기반

Back Office Web/Mobile GIS 기반

Front Office

<그림 4-2> GIS 기반의 전자지방정부 구성

위해 성숙모형을 고려한 전자정부와 GIS 연계 추진모델(김은형. 2004)(그림 4-3) 이 제시되고 있다. 이 추진 모델은 전자정부 성숙모형(오강탁. 2002)과 GIS 발전 단계(Crain and MacDonald. 1984)를 고려한 것이다. 전자정부에서 공간정보 활용 방안 모색을 위해 전자정부 성숙모형과 GIS를 연계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전자 정부 발전단계별 GIS 측면의 추진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오강탁(2002)의 전자정부 성숙모형은 전자정부의 발전과정을 핵심목표 및 가 치, 구현되는 서비스의 성격, 정보기술 특성 등에서 4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1단 계는 정부기관내의 생산성 증가를 목표로 하며, 공급자가 일방향으로 제공하는 단순정보 및 서비스가 주로 구현된다. 2단계는 정부기관 사이의 생산성 증가를 목표로 공급자 중심이기는 하나 어느 정도 쌍방향성이 고려된 정보포털이 구현 된다. 3단계는 정부기관의 내부적 협력을 핵심가치로 하며 시민중심의 온라인 서 비스가 구현된다. 마지막으로 4단계는 개인영역과의 파트너쉽 구축을 목표로 하 며 시민이 운영하는 지능형 네트워크로 발전하게 된다. 하지만 이 모형에서의 발 전단계는 지나치게 개념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어 현실의 전자정부 구현에 적용 하기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Crain and MacDonald(1984)의 GIS 발전단계 모형은 GIS의 발전과정을 크게 3 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첫단계는 자료구축단계(Inventory Application)로 각종 자 료의 전산화 및 정보화가 이루어지며, GIS는 공간객체의 위치 및 속성조회 등 단 순한 질의 위주로 활용된다. 다음 단계는 정보분석단계(Analysis Application)로 적지분석, 입지선정 등 보다 다양하고 복잡한 공간분석 기능이 구현되는 단계이 다. 마지막으로 의사결정지원단계(Management Application)로 통계분석 및 공간 모델링 기법과의 결합을 통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발전하는 단계이며, 상위 의사결정자의 의사결정 지원에까지 활용된다. 그런데 이 모델에서 고려한 GIS발 전단계는 내부업무를 대상으로 한 활용을 단계로 구분했기 때문에 대 국민(G2C) 및 대 기업(G2B) 중심의 전자정부 모델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상과 같은 두 모형을 바탕으로 한 김은형(2004)의 전자정부와 GIS 연계 추진 모델은 수평적으로는 “서비스”, “정보연계활용“, ”기술“, ”조직“, ”기반구축“ 등과

같은 전자정부와 GIS 연계추진 영역을 제시하고 있으며, 수직으로는 크게 4단계 의 GIS발전단계를 제시하고 있다. 즉, 네 가지의 GIS 발전단계별로 전자정부와의 연계추진 항목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그림 4-3>).

도약및확산단계 GIS 발전단계

정보유형

주요항목

단계

주체

정보유형

활용주체

단계적인GIS관련법/제도(재정,전문인력지원, 보안, 표준)마련및개선 기반구축

전달매체

기반정보구축단계

Geospatial Information

1 단계

공급자중심

Off-line (N:0)

Doer (GIS 관련전문가)

Publishing Download

GIS Portal

2 단계

부분별시민중심

Web bulletin board (N:1)

User (관련공무원)

Interacting

고도화단계

위치기반 실시간상황정보

4 단계

시민운영

Multiple-transaction Based(1:N)

Everyone

Value portal on the value-network 고객맞춤형 서비스

3 단계

시민 중심 참여

Service-transaction Based (1:1)

Viewer (관심없는 일반 사용자)

활용분야 공간정보중심업무 공간정보+ 행정정보 모든업무에서의

공간정보 활용 행정정보중심의

공간정보연계활용

조직 단위조직

계층조직 네트워크 조직 통합조직

GIS기술 Department GIS Enterprise GISWeb GIS Mobile GIS/LBS Ubiquitous GIS 지리정보와

행정정보 연계

타기관별 개별 업무시스템구축

기관 내부분별

시스템연계 기관간 연계, 등급

기관내시스템간 전체등급

Transacting /Web self-service

개인컴퓨터 인트라넷/인터넷 Ubiquitous

전달매체 Mobile/PDA

<그림 4-3> 전자정부와 GIS 연계 추진모델

출처: 김은형. 2004. 전자정부와 GIS 연계방안 연구

한편 이석재(2001)는 지리정보화 성숙도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에서 GIS의 발

전단계를 유아기(Infancy), 청년기(Adolescency), 성숙기(Maturity)의 3단계로 구분 하였다. 유아기는 기반정보 구축단계로 종이지도 전산화 수준의 GIS데이터 구축 과 그에 관련된 기술개발이 주로 추진된다. 청년기는 도약 및 확산 단계로 기 구 축된 공간정보의 종합화가 이루어지고 GIS를 이용한 조사분석이 확산된다. 성숙 기는 고도화 단계로 이전 단계에서의 성장을 토대로 다양한 응용이 활성화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과 시민과의 의사소통에도 기여하게 된다. 그러나 이 모형은 GIS를 내부의 업무시스템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있어, 다양하게 확산되고 있는 GIS의 성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은 발전단계 모형들은 대부분 GIS의 활용분야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 고 있다. 즉, GIS가 어디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으며 어떻게 진화할 수 있는가에 논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GIS는 단순히 전자정부의 발전과 병행하여 발전해 나 가고 활용영역이 넓어지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전자정부의 내용성을 확장하고 지속적 발전을 담보하기 위하여 GIS가 필수적으로 도입‧적용되어야 한다. GIS의 도입‧적용은 현재 제한적으로 구축‧운영되고 있는 전자정부의 정보의 질, 시스 템의 질, 서비스의 질 제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한 발전모형은 GIS가 전자정부의 발전단계별로 어떠한 측면에서 어떻게 영향을 미 치는지가 구체적으로 나타나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