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격의 효용성과 호환성

문서에서 기술・기능계 자격의 질 관리 (페이지 98-105)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하게 된 동기는 <표 Ⅳ-1>과 같이 과반수 정도(44.6%) 가 전공과 일치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고 있다.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가치를 표하려는 목적으로, 또는 회사 내에서의 업무와 유관하므로 자격을 취득하였 다는 응답도 각각 19.3%, 16.9%로 비중 있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신의 적성 과 일치하기 때문에 자격을 취득하거나 회사 내에서 승진・승급에 유리하기 때문에 자격을 취득하였다는 응답은 2.4%로 소수에 불과하였다.

이처럼 국가기술자격 취득 동기에 있어서 적성보다는 본인의 전공이 많이 고려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Ⅳ-1> 자격 취득의 동기

도 (%)

적성과 일치하여 2 (2.4 )

전공과 일치하여 37 (44.6)

회사 내 업무수행과 유관하여 14 (16.9)

능력의 가치를 표하기 위해 16 (19.3)

승진, 승급에 유리하여 2 (2.4)

장래(취업, 전직, 독립)를 위해 12 (14.5)

합계 83 (100.0)

기술・기능계 국가기술자격 소지자와 기업체 인사 담당자를 대상으로 기 술・기능계 자격의 직무 내용 파악 정도를 설문 조사한 결과, <표 Ⅳ-2>와 같이 두 집단간의 자격의 직무 내용 파악정도는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직무 내용은 자격 소지자들이 더 잘 알고 있 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자격 소지자는 92.8%가 직무 내용을 잘 알 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인사 담당자는 49.2%가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국가기술자격종목에 대한 직무분석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올바 른 정보가 제시되지 못했는 데도 불구하고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것은 다 양한 정보와 자료를 통하여 본인이 취득한 자격의 대략적인 직무 내용을 대 부분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표 Ⅳ-2> 자격의 직무 내용 파악 정도 비교

도 (%)

자격 소지자 인사 담당자 합계

전혀 모르겠다 0 (0.0) 0 (0.0) 0 (0.0)

잘 모르겠다 0 (0.0) 4 (5.6) 4 (2.6)

보통이다 6 (7.2) 34 (47.2) 40 (25.8)

잘 알고 있다 39 (47.0) 32 (44.4) 71 (45.8) 매우 잘 알고 있다 38 (45.8) 2 (2.8) 40 (25.8) 합계 83 (100.0) 72 (100.0) 155 (100.0) x2 = 56.193 df = 3 p = .000

자격 소지자들에게 현재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직무 내용과 자격의 해당 직무 내용이 일치하는 정도를 조사한 결과, <표 Ⅳ-3>과 같이 대략 과반수

정도의 응답자가 매우 일치한다 고 답하고 있으며, 일치한다 는 응답의 비중 도 39.0%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일치하지 않는다 , 전혀 일치하지 않는 다 는 응답도 4.9% 있었다. 이는 대부분 자격 취득자가 본인이 취득한 자격 과 연관된 직무 내용을 수행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위와 같은 내용을 기업체 인사 담당자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 <표 Ⅳ-3>과 같이 과반수 이상인 66.7%가 대체로 그렇다 고 답하였다. 매우 그렇다 고 답 한 응답자가 8.9%였으므로, 자격종목과 현장직무 영역이 일치한다는 견해의 비중이 크다. 그러나 보통이다 는 견해가 16.7% 있었으며, 그렇지 않다 는 응답도 8.3% 있었다.

전체적으로 자격 소지자와 인사 담당자가 인식하고 있는 자격종목과 수행 직무의 일치 정도 비교는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격 소지자가 자격종목과 수행직무의 일치 정도에 대 한 인식이 86.6%로, 인사 담당자 75% 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표 Ⅳ-3> 자격종목과 수행직무의 일치 정도에 대한 인식 비교

도(%) 합계

자격 소지자 인사 담당자

전혀 일치하지 않는다 1 (1.2) 0 (0.0) 1 (0.6) 일치하지 않는다 3 (3.7) 6 (8.3) 9 (5.8)

보통이다 7 (8.5) 12 (16.7) 19 (12.3)

일치한다 32 (39.0) 48 (66.7) 80 (51.9) 매우 일치한다 39 (47.6) 6 (8.3) 45 (29.2) 합계 82 (100.0) 72 (100.0) 154 (100.0) x2 = 30.094 df = 4 p = .000

국가기술자격이 회사 내 인사고과에 고려되는 정도에 대한 견해를 기술・

기능계 국가기술자격 소지자들에게 조사한 결과, <표 Ⅳ-4>와 같이 32.5%가 반영되고 있다고 답하고 있으며, 6.0%는 강한 긍정의 답을 하고 있다. 그러 나 38.6%의 응답자가 보통이다 라고 답하고 있으며, 부정의 답을 하는 응답 자도 22.9% 차지하고 있어 인사고과에 있어서 국가기술자격의 영향은 적게 나마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가기술자격이 채용, 임금, 수당, 승진 등의 인사고과에 반영되고

있는 수준을 기업체 인사 담당자들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 <표Ⅳ-4>와 같이 긍정의 답이 과반수 이상이었다. 대체로 그렇다 는 견해가 44.4%을 차지하였 으며, 매우 그렇다 고 답한 비율도 13.9%였다. 반면, 13.9%가 부정적인 답을 하였다. 보통이다 에 응답한 비율도 27.8%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두 집단간 응답 정도를 비교해 보면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 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격 소지자 입장(37.5%)보다는 인사 담 당자 입장(58.3%)에서 자격 소지 여부를 인사고과에 보다 더 반영하고 있다 고 생각하고 있다.

<표 Ⅳ-4> 인사고과에 고려 정도에 대한 인식 비교

도(%) 합계

자격 소지자 인사 담당자

전혀 그렇지 않다 5 (6.0) 0 (0.0) 5 (3.2) 그렇지 않다 14 (16.9) 10 (13.9) 24 (15.5) 보통이다 32 (38.6) 20 (27.8) 52 (33.5) 대체로 그렇다 27 (32.5) 32 (44.4) 59 (38.1) 매우 그렇다 5 (6.0) 10 (13.9) 15 (9.7)

합계 83 (100.0) 72 (100.0) 155 (100.0) x2 = 9.795 df = 4 p = .044

국가기술자격이 회사 내 직무전환 배치시 고려되고 있는가를 <표 Ⅳ-5>와 같이 자격 소지자와 기업체 인사 담당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고려한다 와 많이 고려한다 에 응답한 비율이 39.5%, 4.2%로, 비교적 긍정의 답이 높 은 비중을 차지하여 직무의 전환 배치시 국가기술자격의 소지 여부가 일부 고려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인사고과에 고려되는 정도에 대한 조 사 결과, 마찬가지로 보통이다 라는 응답의 비율도 높았으며, 부정적의 답을 하는 응답자도 고려 안한다 에 19.3%, 전혀 고려 안한다 에 1.7%가 제시되 고 있다.

두 집단간 비교에서는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 않 다. 따라서, 직무의 전환 배치시 자격 소지 고려 정도는 자격 소지자 입장이 나 인사 담당자 입장에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표 Ⅳ-5> 직무의 전환 배치시 자격 소지 고려 정도에 대한 인식 비교

도(%) 합 계

자격 소지자 인사 담당자

전혀 고려 안한다 2 (2.4) 0 (0.0) 2 (1.7) 고려 안한다 17 (20.5) 12 (16.7) 29 (19.3) 보통이다 29 (34.9) 26 (36.1) 55 (35.3) 고려한다 32 (38.6) 30 (41.7) 62 (39.5)

많이 고려한다 3 (3.6) 4 (5.6) 7 (4.2)

합계 83 (100.0) 72 (100.0) 155 (100.0) x2 = 2.465 df = 4 p = .651

기업의 인사 담당자나 관리자에게 기업에서 국가기술자격에 대한 요구가 어느 정도 수준인가를 조사한 결과, <표 Ⅳ-6>과 같이 38.9%가 보통이다 라 고 응답하였다. 높다 라는 응답과 매우 높다 라는 응답이 각각 36.1%, 5.6%

로, 낮다 고 응답한 19.4%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표 Ⅳ-6> 기업의 국가기술자격에 대한 요구

도(%)

매우 낮다 0 (0.0)

낮다 14 (19.4)

보통이다 28 (38.9)

높다 26 (36.1)

매우 높다 4 (5.6)

합계 72 (100.0)

자격 소지자가 관련 분야에 취업할 때, 자격증이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설 문 조사한 결과는 <표 Ⅳ-7>과 같았다.

<표 Ⅳ-7> 관련분야 취업시 자격증의 역할

도(%)

전문능력을 갖춘 것으로 인정 18 (25.0)

입직을 위한 기초능력 소지 인정 52 (72.2)

직업교육훈련과정 이수의 증거 0 (0.0)

아무런 역할 못함 0 (0.0)

기타 2 (2.8)

합계 72 (100.0)

응답자의 72.2%가 자격 소지자가 입직을 위한 기초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인정 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또한, 전문능력을 갖춘 것으로 인정 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는 의견은 25.0%로 나타났다.

국가기술자격 소지자를 취득자격의 인접 종목에 배치할 경우 적응 정도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표 Ⅳ-8>과 같이 응답자의 과반수인 55.6%가 보통 이다 에 답하였다. 그 다음으로 30.6%.의 응답자가 자격 소지자의 인접 종목 에 대한 적응도가 높다 고 보았으며, 매우 높다 는 견해도 2.8% 나왔다. 반 면, 낮다 는 견해도 11.1% 제시되었다.

<표 Ⅳ-8> 인접 종목 배치시 적응 정도

도(%)

매우 낮다 0 (0.0)

낮다 8 (11.1)

보통이다 40 (55.6)

높다 22 (30.6)

매우 높다 2 (2.8)

합계 72 (100.0)

기업의 인사 담당자 및 관리자들이 자격 소지자의 기술 변화 대응능력을 판단할 때, <표 Ⅳ-9>와 같이 국가기술자격 소지자들이 기술 변화에 대한 대 응 수준이 높다 고 보는 견해가 과반수 이상(55.6%)이었고, 보통이다 는 응 답자 비중도 38.9%로 높게 나왔다. 한편, 낮다 에 응답한 비율은 2.8%에 불 과했다.

<표 Ⅳ-9> 자격소지자들의 기술 변화 대응수준

도(%)

매우 낮다 0 (0.0)

낮다 2 (2.8)

보통이다 28 (38.9)

높다 40 (55.6)

매우 높다 2 (2.8)

합계 72 (100.0)

기업에서 기술・기능계 국가기술자격에 대한 만족도를 설문 조사한 결과,

<표 Ⅳ-10>과 같이 보통이다 라고 응답한 비율이 52.8%로 가장 높게 나왔다.

또한, 높다 와 매우 높다 에 응답한 비율은 각각 25.0%, 2.8%를 차지한 반 면, 낮다 는 견해도 19.4%를 차지했다.

<표 Ⅳ-10> 국가기술자격에 대한 만족도

도(%)

매우 낮다 0 (0.0)

낮다 14 (19.4)

보통이다 38 (52.8)

높다 18 (25.0)

매우 높다 2 (2.8)

합계 72 (100.0)

기업에서 국가기술자격 소지자의 직무수행능력이 어느 정도 수준인가를 설문 조사한 결과, <표 Ⅳ-11>과 같이 인사 담당자 및 관리자의 61.1%가 보 통이다 에 답하였다. 다소 높다 는 의견도 25.0%를 차지해, 다소 낮다 고 응 답한 비율(11.1%)보다 많았고, 매우 높다 고 응답한 비율도 2.8% 있었다.

<표 Ⅳ-11> 자격 소지자의 직무수행능력

도(%)

매우 낮다 0 (0)

다소 낮다 8 (11.1)

보통이다 44 (61.1)

다소 높다 18 (25.0)

매우 높다 2 (2.8)

합계 72 (100.0)

기업에서 국가기술자격 소지자와 미소지자 간에 직무수행능력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표 Ⅳ-12>와 같이 과반수 이상 의 응답자(52.8%)가 대체로 그렇다 고 답하였다. 매우 그렇다 고 응답한 비 율도 5.6% 나왔다. 한편 보통이다 라는 의견이 22.2%, 그렇지 않다 고 보는 응답자가 19.4%를 차지했다.

<표 Ⅳ-12> 자격 소지자와 미소지자간 직무수행능력의 차이

도(%)

전혀 그렇지 않다 0 (0.0)

그렇지 않다 14 (19.4)

보통이다 16 (22.2)

대체로 그렇다 38 (52.8)

매우 그렇다 4 (5.6)

합계 72 (100.0)

기업에서 국가기술자격 소지자들 간에 직무수행능력이 차이가 있는가를 설문 조사한 결과, <표 Ⅳ-13>과 같이 과반수의 응답자(51.4%)가 보통이다 라고 답하여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대체로 그렇다 는 견해가 37.1% 나왔고, 반대로 그렇지 않다 는 의견이 11.4% 있었다.

<표 Ⅳ-13> 유사 분야 자격 소지자간 직무수행능력의 차이 정도

도(%)

전혀 그렇지 않다 0 (0.0)

그렇지 않다 8 (11.4)

보통이다 36 (51.4)

대체로 그렇다 26 (37.1)

매우 그렇다 0 (0.0)

합계 70 (100.0)

문서에서 기술・기능계 자격의 질 관리 (페이지 98-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