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Pathological Aging), 혹은 이차 노화(Secondary Aging)는 정상 노화 과정에서 노화 관련 질환이 있는 경우를 말하고 있다. 즉, 노화에 환경과 질병의 영향을 포함한 의미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건강상태와 질병을 구 분하는 것이 쉽지 않고, 따라서 정상 노화와 일반 노화의 개념을 구분하 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일반 노화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성공적 노화(Successful Aging)를 거론하기도 하는데, 이는 노년에 신체 및 인지기능이 정상이고, 장애 및 질환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성공적 노화에서 노화 과정은 유전, 환경, 생활습관이 관여하고 이 중 유전인자는 30%에 못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생활습관과 같은 환경요인의 조절이 매우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 다. 성공적 노화를 위해서는 질병의 조기 검진과 예방 조치, 의학의 발달, 사회 경제적 안전망 및 보건의료체계를 지금보다 더 향상시킴으로 더 많 은 수명 연장의 가능성과 질병 및 장애의 감소로 연결될 수 있음을 설명 하고 있다. 따라서 노인이 되더라도 인간으로서의 위엄과 가치를 가지고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동시에 활발한 사회 활동을 하며, 질병으로 고통받 지 않는 성공적 노화의 삶을 위하여 만성질환 위험인자의 조절과 치료, 예방 방안을 세우는 것 외에도 노인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을 보살펴 주는 것이 필요하다(권인순, 2007).

아울러, 생애주기 차원에서 젊고 건강한 시기와 구분하는 측면으로 노 화를 특정하기도 했다. 역사적으로 노화는 유기체에서 일어나는 필연적 이고 광범위한 현상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져 왔으나, 20세기에 들어 와 쇠퇴, 허약, 퇴화 등으로 특징되어, 이전의 삶과 구분되기 시작하였다 (정경희, 2006). 이는 산업화의 진전으로 노년기가 은퇴 등으로 노동시장 에서 벗어나는 시기로 제도화됨에 따라, 이전 단계인 중년기와 분리되는 생애주기로 정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노년기는 노후의 소득

상실이라는 새로운 위험으로 연금제도 등의 사회보장제도가 도입되었고, 제도적 차원에서 일터로부터 분리를 정당화하기 위한 기제로 차별주의 (Ageism)가 강화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령 차별주의 및 연령 분리적 사회 구성 원리로는 사회의 지속적 발전이 어렵다는 인식이 나타났고, 노 년기와 중년기의 경계를 허물고 바람직한 노년기 생활의 모습을 지향하 기 위해 ‘성공적 노화’ 의 개념을 강조하게 되었다(정경희, 2006).

인구 고령화 진전에 따라 사회적으로 노화를 설명하는 이론적 시각도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다. 사회적 노화 이론들은 사회의 구조와 노인 개 인, 노인의 역할과 사회적 적응, 노인 집단과 사회의 관계 등에 관한 것이 다. 남기민(2011)은 이러한 사회적 노화 이론을 미시적, 거시적 관점에서 정리하였다. 미시적 노화 이론으로는 역할이론, 활동이론, 은퇴이론, 노 령초월이론, 지속성이론, 하위문화이론, 교환이론, 사회적와해이론, 사회 구성주의이론, 제3기인생이론 등이 있으며, 사람과 사람들 사이의 관계 를 더 강조하는 이론이 중심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거시적 노 화 이론으로는 현대화이론, 연령계층화이론, 정치경제이론, 생애과정이 론, 여성주의이론 등으로 사회제도, 사회체계, 전체사회를 강조하는 이론 이 중심이다. 이러한 이론들은 서구 사회에서 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우 리나라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적용될 수 있는지 충분한 검토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다양한 노화 이론에 대해 재해석․재정립이 필요하다는 시각도 등장하 였다. 윤민석(2012)은 노년초월이론과 9단계이론을 중심으로 노화에 대 한 재해석을 시도하였다. Erikson의 인간 발달 8단계 확장 이론인 Erikson and Ericson(1997)의 9단계이론의 대표적 현장으로 소개하는 노년초월(Gerotranscendence)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노년초월이란 중 년기 이후 노년기에 접어든 개인이 ‘인생의 전반적인 시각을 물질주의적

이고 합리적인 시각에서 보다 우주적이고 초월적인 시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노년초월은 많은 노인들에게 나타나는 자기 초월의 자발적 과정으로서, 사회적으로 정의되는 자기에게 덜 의존하게 되고 내면성이 증가하며 이전 세대와 미래 세대와의 연결감이 더 커지는 것으로 보았다.

지금까지 노화 현상 설명을 위해 생물학적, 인구 사회학적으로 다양한 이론이 전개되어 왔지만, 총체적으로 노화를 설명하기에는 여전히 부족 한 점이 있다. 그러나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변화에 대응하고, 발 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위한 토대를 구 축하는 데에 여전히 노화 이론은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나. 노화 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