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식품안전관리와 위험분석체계

3. 위험분석 체계

3.2. 위험분석의 정의

◦ 위험분석이란 최적의 농식품안전관리 방안을 선정하기 위험 체계적이고 투명 하게 농식품과 관련된 위험요소에 관하여 과학적·비과학적 정보를 수집·분 석·평가할 수 있는 절차를 가진 체계를 말한다2.

- 농식품안전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과학적인 결과에 근거하여 체계적 인 대응을 위해서는 위험분석이 필요하다. 위험분석은 체계화된 의사결정 절차로 위험평가(risk assessment), 위험관리(risk management), 위험정보교 환(risk communication)의 3가지 기본요소로 구성된다. 위험평가, 위험관

2 농림수산식품부, 농식품의 안전성 강화를 위한 위험분석에 대한 이해 (2007)

그림 2-7. 위험분석 요소들의 관계 (Hazard Identification), 위해요소의 특성(Hazard Characterization), 위해요소의

인체 노출량 평가(Exposure Assessment), 위해요소의 위험특성(Risk Characterization) 등의 단계로 구성된 과학에 근거한 체계적인 절차’로 규정한 다. 위험평가는 위험분석에서 ‘과학기반’의 요소로 간주된다.

그림 2-8.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의 위험평가 요소에 대한 설명

위해요소의 확인(Hazard Identification)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정식품 또는 식품군 에 존재할 수 있는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인자 확인

위해요소의 특성(Hazard Characterization)

식품에 존재할 수 있는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인자와 관련된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성에 대한 정량 적/정성적 평가. 화학적 인자인 경우에는 용량-반응 평가 를 수행하고, 생물학적 또는 물리적 인자인 경우에는 데이 터가 있으면 용량-반응 평가를 수행

위해요소의 인체 노출량 평가(Exposure Assessment)

식품을 통한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인자의 섭취 가능성과 관련성이 있는 경우에는 다른 곳을 통한 노출 가능성에 대한 정량적/정성적 평가.

위해요소의 위험특성(Risk Characterization)

위해요소 확인, 위해요소 특성, 위해요소 노출량 평가에 근 거하여 특정 집단에서 기지 또는 잠재적인 부정적 건강 영 향의 발생 확률과 심각성에 대하여 불확실성을 포함한 정성 정/정량적 추정.

자료: FAO/WHO “Food Safety Risk Analysis: A Guide for National Food Safety Authorities”, 2006.

가) 위해요소 확인

- 생물학적, 화학적 및 물리학적 위험요소는 매우 다양하다. 위험성 확인과 정은 일반적으로 위험관리의 일부분으로 간주되나 잠재적인 위험요소를 분석해야 하는 경우나 과학적 근거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해야 하는 경우 위험관리자는 가장 중요한 위험요소를 선정할 수 있도록 과학적 자료를 위

험평가자로부터 제공받는다. 위험관리자들이 이미 위험요소를 확인한 경

라) 위해요소 위험특성

- 위해도 결정 과정에서 위험 추정치 (예: 주어진 집단에서 관련 불확실성과 함께 인체 위해 정도 및 심각성 추정)를 얻고, 이전 3개의 단계에 대한 결 과를 통합한다. 일반적으로 위해도 결정에는 위험요소 노출 결과에 대한 요약설명과 관련 위험 추정 시 위해 발생 확률 등을 제시한다.

□ 위험관리

◦ Codex는 위험관리를 ‘소비자 건강보호와 공정거래 촉진과 관련이 있는 기타 요소와 위험평가를 고려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적절한 예방 및 관리방안을 선 택하여, 모든 이해당사자와 협의해 정책대안을 평가하는 절차’로 정의 하며 위험평가와는 뚜렷하게 구분한다. 위험관리는 과학적 정보와 기타 요소(예,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윤리적 요소)를 통합적으로 평가하여 바람직한 위험 관리 방안을 선택하는 것이다.

◦ 위험관리의 첫 단계는 ‘초기 위험 관리 활동’이다. 농식품 안전에 관한 문제를 파악 한 후 모든 활용 가능한 과학적 정보를 취합하여 위험 프로파일을 만들 고 이를 토대로 추가 조치를 취한다. 두 번째 단계는 위험관리(예, 예방, 감소, 제거, 통제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한 경감)를 위한 여러 방안들을 파악하고 선정 하는 것이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올바른 관리 방안이 선정되면 관련 이해당 사자가 이를 시행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관리대책을 시행한 후 모니터와 검 토 활동을 실시해야 한다.

그림 2-9. 위험관리 수행 절차

- 위험 관리 방안 파악 / 선정: 가능한 방안 파악, 방안 평가, 바람직한 방안 선정

- 위험관리 결정 시행: 지정 관리 대책 시행 - 모니터 / 검토: 관리 대책 검토

◦ FAO는 성공적인 위험정보교환을 위해 8개의 원칙을 제시하였다3.

- 이해당사자 파악(Know the audience), 전문가 참여(Involve the scientific experts), 전문성 확보(Establish expertise in communication), 정보의 신뢰 성(Be a credible source of information), 유사한 위험정보와 비교(Put the risk in perspective), 책임공유(Share responsibility), 과학적 사실과 가치판 단의 구별(Differentiate between science and value judgement), 투명성 확보 (Assure transpar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