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울산광역시 정책과의 연계성 분석

문서에서 자료집(1) (페이지 55-60)

행할 국제 수준의 Infra 및 국제적ㆍ초광역적 Network 구축을 시도하고 있으며,

<그림 4-5>은 울산지역 정밀화학산업의 전후방연관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4-5> 울산지역 정밀화학산업의 전후방연관구조

자료: 울산광역시 전략산업발전로드맵(2007. 6)

(2) 울산 혁신도시의 비전 및 발전전략 분석

울산은 기존의 공업도시기능에 에너지 산업군과 노동․복지기능군을 포함시 켜 친환경 에너지 클러스터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에너지 기능군을 중심으로 중심클러스터를 구축하고 노동복지 기능 클러스터를 보완 클러스터로 구축하려 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울산에 이전하는 에너지, 노동복지, 산업안전기능군의 공공기관 중 에너지기능군은 지역전략산업 중 정밀화학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 고 있으며, 노동복지와 산업안전은 전체 전략산업의 지원기능군으로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울산지역은 조선 및 자동차산업의 부품·소재 등 수요산업이 존재하여 현장에 밀착된 개발에 유리한 위치에 있으며, 원료의 80%이상 소요되

는 일반 석유화학제품 공장이 있어 에너지 클러스터 구축에 상대적으로 유리하 다. 친환경 에너지 클러스터 구축이라는 울산 혁신도시의 비전과 목표는 울산광 역시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는 자동차, 조선, 정밀화학, 석유화학 분야의 육 성 발전 전략과 높은 부합성을 보인다.

최근 현대자동차, SK, 현대중공업 등 지역의 기업들이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 사업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현대중공업과 SK는 수송용 연료 전지 및 수 소스테이션 분야에 차여하고 있으며, 현대 중공업은 풍력 및 태양광발전분야에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이전공공기관은 지역의 대기업에서 추진하고 있는 신재 생에너지 및 대체 에너지 개발사업과 연계하여 공동연구 및 개발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울산발전연구원, 2006). 이전공공기관과 연계가 가능한 산학연 시설(주체)들의 연계 형태를 개념도로 표현하면, <그림 4-6>과 같 다.

<그림 4-6> 에너지 관리군과 산학연 연계방안

자료: 울산발전연구원(2006.9).「혁신도시건설과 지역발전 연계방안」.

<그림 4-7> 울산 혁신도시 혁신클러스터 구성(안)

자료: 울산발전연구원(2006.9).「혁신도시건설과 지역발전 연계방안」.

울산지역 산업 및 기업체와의 연계는 울산주력산업이 에너지 다소비 업종으로 인해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주)SK 등 울산 대기업이 추진하고 있는 에너지 절감 노력 및 신재생/대체에너지개발사업과의 연계가 가능하다. 학계와의 연계 는 에너지 관련 학회 및 협회 그리고 에너지, 환경 특화 대학인 울산국립대, 기존 울산대학교가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연구기관은 울산테크노파크의 신산업육성 센터를 비롯한 에너지 관련 국내외 연구기관이 될 수 있는데, 특히 대덕의 에너 지기술연구소를 비롯하여 기업내 연구소인 SK 기술원, S-oil 기술연구소 등이 주 체가 될 수 있다. 관은 태양광, 태양열, 지열 등을 이용하여 대체에너지를 개발 및 활용하려는 지역에너지추진사업과 연계가 가능하다(울산발전연구원, 2006).

<그림 4-8> 에너지 관련군 산학연 연계 방안

자료: 울산발전연구원(2006.9).「혁신도시건설과 지역발전 연계방안」.

에너지 관련 이전공공기관과 연계가 가능한 울산광역권의 산학연 시설은 울주 서생․기장지역, 경주, 포함, 대구, 대전지역에서 살펴볼 수 있다. 지역별로 살펴 보면, 경주는 방폐장 유치에 따른 양성자 가속기 건설, 한국수력원자력 본자 이 전 등의 에너지 관련 시설들의 입지가 예정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 향후 경주 지 역대학에 관련학과가 신설될 가능성이 있으며, 울산국립대 및 이전공공기관과 연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포항은 포항공대에 방사성 가속기를 비롯해 에 너지 관련 학과가 설치되어 있는 상황이며, 대구는 에너지 관련기관인 한국가스 공사 그리고 경북대학교에 에너지 관련학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외 울주 서생, 부산 기장에 신고리 원자력이 입지하고 있다(울산발전연구원, 2006).

또한, 울산은 지역 내 연구개발 조직 및 인력이 부족한 현실을 보완하기 위해 인근 지역의 연구개발 조직 및 인력을 활용하는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특 히 울산은 대덕연구단지의 R&D 기능과 대구의 학원 기능을 활용하여 울산의 취

약점이 전문 인력과 R&D 역량을 보완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상의 울산광역권의 에너지 관련 시설들은 울산으로 이전하는 에너지 관련 공공기관과의 연계가 가능하며, 이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그림 4-9>와 같다.

<그림 4-9> 울산의 광역 에너지 클러스터 구축 방안

자료: 울산발전연구원(2006.9).「혁신도시건설과 지역발전 연계방안」.

문서에서 자료집(1) (페이지 5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