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광주・나주 혁신도시 고용증가로 인한 파급효과

문서에서 자료집(1) (페이지 183-186)

광주・나주 혁신도시의 경우, 공공기관의 이전으로 인해 약 3,410억 원의 고용 증가로 인한 총산출의 변화가, 전국적으로는 약 6,641억 원의 산출량 효과가 발 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광주・나주 혁신도시에서 발생할 산출액은 4,837억 원으로 추정되며, 고용증가 로 인한 총산출의 변화가 가져오는 고용효과를 보면 전국적으로 8,338명의 취업 자 유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광주・나주 혁신도시에서 발생하는 고용효과는 6,329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 며, 광주・나주 혁신도시에서 발생하는 부가가치 효과는 3,289억 원으로 예상된 다.

구 분 산출액 (백만 원) 취업자 수 (명) 부가가치 (백만 원)

직접효과 총효과 직접효과 총효과 직접효과 총효과

전 국 341,000 664,105 3,997 8,338 255,071 405,632 전라전체 341,000 555,963 3,997 6,963 255,071 357,415

광주시 0 13,983 0 147 0 6,913

목포시 0 2,700 0 28 0 1,292

나주시 341,000 483,737 3,997 6,329 255,071 328,948

보성군 0 2,198 0 19 0 860

화순군 0 2,556 0 27 0 1,243

장흥군 0 2,840 0 24 0 1,105

강진군 0 2,041 0 23 0 1,042

해남군 0 2,069 0 18 0 786

영암군 0 4,108 0 42 0 2,036

무안군 0 3,887 0 37 0 1,744

함평군 0 3,733 0 39 0 1,908

영광군 0 2,463 0 23 0 1,049

장성군 0 3,166 0 18 0 823

나머지전라 0 26,482 0 188 0 7,668

<표 4-6> 광주・나주 혁신도시 고용증가로 인한 파급효과

<그림 4-5> 광주・나주 혁신도시 고용증가로 인한 파급효과

(단위: 원)

5

C ․ H ․ A ․ P ․ T ․ E ․ R ․ 5

종합비교와 정책적 시사점

지금까지 도시권 투입산출모형의 구축과정과, 이모형의 경험적 적용을 통해 경남권, 전라권의 혁신도시 거점개발사업의 파급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장에서는 보고서의 주 요 연구내용을 도시권 투입산출모형의 구축과 혁신도시의 경제적 파급효과로 나누어 간략하게 정리한 후, 이러한 연구내용을 기반으로 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1. 거점개발의 파급효과 분석을 위한 도시권 투입산출모형의 구축

본 연구는 거점개발의 파급효과를 계량화하기 위해, 기존의 다지역 투입산출 분석 (Multi-regional Input-Output Analysis)을 보다 발전시킨 도시권 투입산출 모형을 개발하여 신규투자나 고용이동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추정하였다. 지역경 제 파급효과분석에 사용되어 왔던 다지역 산업연관분석기법은 Madden(1985)의 모형을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한 것으로서, 이는 체너리-모제스 (Chenery- Moses)모형에 기반하여 지역 간 거래에서는 일정한 ‘패턴’이 존재한다는 가정 하 에 교역계수(trade coefficients)를 작성하여 모형을 단순화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다지역 투입산출모형(MRIO)이 공간적 범위가 너무 큼 으로 인해 보다 세분화된 도시지역에 적용할 수 없다는 한계를 인식하고, 기존 모형을 수정⋅보완한 도시권 투입산출모형을 통해서 지역경제의 파급효과를 추 정하였다. 대도시 투입산출모형은 해당 권역의 총 파급효과를 보다 세분화된 지 역으로 배분 (e.g. 여러 권역의 다지역 투입산출 모형에서 계산된 권역별 파급효

과를 보다 세분화된 지역으로 배분)하는 과정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도시지역 내에서 생산활동, 소비활동, 그리고 소득이 발생하는 지역을 구분하고 도시지역 내에서의 공간적 자금흐름(cash flow)을 추적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도시권 투입산출모형은 지역별 경제구조를 산업별로 구분하고, 외생적 충격에 따라 변화하는 도시의 지역적⋅경제적 영향을 분석한 것으로서, 산업부 문간의 상호의존성과 거리의 근접성에 따라 파급효과가 증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생산⋅소비⋅소득활동의 지역 간 특성과 이러한 활동들의 공간적 상호연 계에 관한 투입산출모형은 거점개발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추정하는 데 유 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혁신도시의 파급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상위모형(모형 I)과 하 위모형 (모형 II)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상위모형에서는 한국은행의 2000년 6개 권역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전라권, 경북권, 경남권) 다지역 투입산출표를 이 용하여 구축하여, 혁신도시가 입지하는 해당권역뿐만 아니라 전국적 효과를 파 악하였다. 하위모형에서는 경남권을 41개, 전라권을 42개의 세분화된 지역으로 구분하여, 혁신도시 개발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세부화된 공간적 단위에서 살펴 보았다.

문서에서 자료집(1) (페이지 183-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