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외적 타당화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8-125)

B. 연구절차

3. 외적 타당화

외적 타당화는 결과에 대한 대표성 또는 일반화 가능성의 정도를 의미한다 (Kerlinger & Lee, 2000). 배호순(1994)은 외적타당도가 평가결과를 어느 정도 의도 한 바대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느냐를 의미한다고 말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외적 타당화는 개발된 지원체제(일반적·구체적 지원전략)를 실제 대학교육 현장에 사용함으로써 일반화할 수 있는지 유용성, 타당성, 효과성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개발된 지원체제가 적용된 프로그램 참여 학습자를 대상으로 협업 역량 사전사후검사, 각 지원전략의 팀 협력학습 도움정도, 학습만족도를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a. 연구맥락 및 연구 참여자

(1) 연구맥락

본 연구는 2021년 1학기에 C대학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운영한 학습공동체 프 로그램 맥락에서 진행되었다. 해당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은 전체 학년 및 학과를 대 상으로 모집되며,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팀을 구성하여 교과목, 외국어, 자격증 등 원하는 학습주제 및 목표를 설정하고, 한 학기동안 함께 학습하는 프로그램이다. C 대학에서 연 1000명 이상 참여하는 대표적인 비교과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으로, 타 대학에서도 일반적으로 운영되는 주제의 프로그램이므로 연구의 일반화를 위하여 선정되었다. 연구윤리확보와 관련하여, 연구자는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과 절차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프로그램 운영 및 연구에 대한 참여 동의서를 작성하여 참여하였다. 팀은 4-6명의 구성원으로 학습자가 자율적으로 구성하였으 며, 한 학기 내내 팀 구성을 유지하였다.

프로그램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원체제에 따라 운영되었다. 프로그램 초반 단계에서는 팀 모집과 선발, 오리엔테이션이 이루어졌으며, 팀 학습은 주 1회 2시 간 이상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주차별로 제공된 협업미션 및 학습에 대해 총 6회의 보고가 이루어졌고, 운영자의 팀 피드백이 제공되었다. 학습활동에 대한 질문 및 공지사항, 협업미션 공유와 학습보고 등은 C대학의 학습관리시스템 및 교수학습지 원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도중에는 팀 갈등 관리 및 조정을 위한 워크숍, 운영자의 중간모니터링이 이루어졌으며, 교수/전문가 면담이 선택적으 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에는 성과공유회가 이루어졌다. 구체적인 활동과 정은 다음 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모든 과정은 연구자와 함께 교육공학 박사 1인이 함께 검토하여 이루어졌다.

또한 팀별 활동은 상담심리 석사과정 1인 및 상담치료 석사 1인이 함께 참여하여 관찰 및 기록하였으며, 주차별 활동과정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2) 연구 참여자

연구 참여자는 학습자가 자율적으로 팀을 구성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하 여, 필요제출자료 유무 여부와 선착순에 따라 총 125팀, 565명이 선정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전 과정에 모두 참여하였으나, 학기 도중에 휴학한 1명과 데이터가 누 락된 5명을 제외하고, 559명의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참여자 정보는 다음 <표Ⅲ-8>과 같다.

<표Ⅲ-8> 연구 참여자 정보

구체적으로 학년, 성별, 학습공동체 참여경험에 따른 계열별 참여자 정보는 다 음 <표Ⅲ-9>, <표Ⅲ-10>과 같다.

대학 팀/인원 주요 대상 팀 구성 팀 학습 주제

C대학교 125팀(559명) 1~5학년 재학생 4~6명 교과목/외국어/자격증 학습

<표Ⅲ-9> 연구 참여자 세부정보

<표Ⅲ-10> 연구 참여자 참여경험

계열 대학 팀 프로젝트 참여경험 비교과 학습공동체 참여경험

0회 1회 2회 3회 4회 기타 계 0회 1회 2회 3회 4회 기타 계

인문계열 11 5 6 7 6 5 40 21 8 5 4 2 40

사회계열 37 18 21 10 10 5 101 71 17 6 6 1 101

사범계열 13 30 22 23 20 12 120 50 30 7 17 13 3 120

공학계열 44 14 19 16 10 4 107 80 7 7 6 4 3 107

자연계열 2 33 21 15 13 13 97 58 23 9 6 1 97

의·약계열 17 16 14 9 9 5 70 36 15 11 6 2 70

예체능계열 11 9 2 2 24 21 2 1 24

소계 166 113 99 78 68 35 559 337 102 45 46 22 7 559

b. 학습자 타당화 검사도구

학습자 타당화 검사는 실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적용된 학습과정에 대한 타 당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원체제에 대한 타당화 항목은 <표Ⅲ-11>과 같 으며, 측정 항목은 Likert 4점 척도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표Ⅲ-11> 학습공동체 지원체제에 대한 학습자 타당화 검사지 구성

영역 세부영역

일반적 지원전략 Ÿ 일반적 지원전략 7가지의 ‘팀 협력학습’ 도움 정도 주요역량 및

학습만족도

Ÿ 협업역량 사전-사후 검사 (갈등인식 및 해결, 공동의 문제해결, 의사소통, 계획 과 조정, 목표설정과 성과관리, 동료 피드백 등)

Ÿ 학습만족도 검사

계열 학년 성별

1 2 3 4 5

인문계열 8 10 15 7 40 4 36 40

사회계열 3 38 23 37 101 23 78 101

사범계열 4 24 53 39 120 28 92 120

공학계열 5 34 39 29 107 59 48 107

자연계열 12 25 31 29 97 22 75 97

의·약계열 15 26 26 3 70 24 46 70

예체능계열 14 8 2 24 12 12 24

소계 32 160 195 169 3 559 172 387 559

(1) 협업역량 사전-사후검사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협업역량 향상을 위한 학습공동체 지원체제를 적용하고, 학습자의 협업역량 및 학습만족도를 효과성 측면에서 사전-사후로 검증하였다.

협업역량 설문은 Stevens와 Campion(1949)을 바탕으로 Aguado와 동료들 (2014)이 구성한 TWCT(Teamwork Competency Test) 설문문항을 번안․수정하여 아래의 <표Ⅲ-12>과 같이 5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측정항목은 Likert 4점 척 도 방식으로 구성되었으며, 설문은 교육공학 박사 1인, 교육학 박사과정 2인, 대학 생 3인이 검토 후 의견을 반영하여 각 문항의 문구를 대학생들이 읽고 이해하기 편안한 문장으로 수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협업역량 도구의 Cronbach’s α 값은 사전검사 0.924, 사후검사 .941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표Ⅲ-12> 지각된 협업역량 설문지 구성

영역 설문 항목

갈등인식 및 해결

1. 나는 팀으로 일할 때 내가 생각한 바를 진실하고 열려있는 태도로 이야기한다.

2. 나는 진실하고 열린 태도로 생각을 표현하고 질문하며 의견을 제시하면서 팀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3. 나는팀원들이내가맡은작업에서마음에들지않는부분을이야기할수있을만큼, 충분하게신뢰가쌓이기를원한다.

4. 나는 종종 팀원들의 수행 과제와 역할이 명확해질 수 있게 돕는다.

5. 나는 팀에 갈등이 있을 때 분명하게 해결방법을 찾고자 한다.

6. 어떤 팀원이 부적절하게 행동할 때, 그 팀원과 개인적으로 대화하고 다른 팀원들에게도 대화를 권유한다.

7. 나와 팀원들이 입장이 충돌할 때, 협상 과정에서 팀원들에게 나의 의견을 솔직하게 이야기한다.

8. 나는 팀에 갈등이 있을 때 갈등이 분명하게 해결되도록 행동하고 팀을 케어한다..

9. 나는 팀에서 화가 났을 때 건강한 방식으로 나의 어려움(불편함)을 표현한다.(예. 해결책 제시, 대안 제시 등) 10.. 팀에서 화가 나는 일이 있을 때 아무렇지 않게 행동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협력적 문제해결

1. 팀에서 의사 결정할 때, 서로 다른 의견에 집중하기보다 팀 결속을 높이며, 다수결에 도달하고자 한다.

2. 방향성과 가이드가 없는 토론을 하게 될 경우, 팀에서 적절하지 않은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3. 팀토론에서는소수만적극적으로참여하지않고, 모든팀원이의견을제시할수있도록하는규칙이필요하다.

4. 과제와 관련된 사소한 문제는 모든 팀원에게 먼저 논의할 필요 없이 스스로 결정하여 해결할 수 있다.

5. 팀 과제를 할 때, 팀에 전문가(뛰어난 친구)가 있다면 다른 팀원들의 기여는 중요하지 않다. (R)

의사소통

1. 나는 팀원들의 지위나 점수 등에 따른 편견 없이 의견을 들으려고 노력한다.

2. 나는 팀원들과 대화할 때 내용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질문한다.

3. 나는 팀원들과 의견이 맞지 않을 때, 의견의 차이보다 공통점에 집중하고자 한다.

(2) 일반적 지원전략 효과성 검사지

일반적 지원전략의 타당화를 위해 각 지원전략이 팀 협력학습에 도움이 되었는 지에 대한 효과성을 측정하였다. 각 항목은 단계별로 구성된 일반적 지원전략에 대 해 작성되었으며, 각 항목이 참여 학습자들의 ‘팀 협력학습’에 도움이 된 정도를 표 시하도록 하였다. 측정 항목은 Likert 4점 척도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설문항목은 다음 <표Ⅲ-13>과 같으며, Cronbach’s α 값은 0.883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영역 설문 항목

4. 나는 팀원들과 여러 유형의 정보들을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하고자 노력한다.

(예.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메신저 등 채널을 통해 영상, 글 전달)

5. 나는 팀에 의사소통문제나 오해로 인한 갈등이 있을 때 관련 친구들의 의견을 듣거나 질문을 하면서 해결하려고 한다.

6. 나는 팀원들의 비언어적 메시지(표정, 시선, 행동 등)를 통해 팀원의 감정을 쉽게 알아볼 수 있다.

7. 나는 가끔 어떠한 목적 없이 팀원들과 시간을 함께 보내기 위해 대화한다.

8. 나는 조금 덜 중요한 것이라도 팀워크를 위해 팀원들과 이야기한다.

(예. 직접적인 과제 정보 외에 학과 이슈, 일상 등 부수적인 이야기)

목표설정 및 수행관리

1. 나는 종종 다른 팀원이 어떻게 과제를 수행하는지 살펴본다.

2. 나는 우리 팀의 과제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일정에 따라 목표를 설정한다.

3. 각 팀원에게 부여된 임무를 살피는 것(모니터링)은 중요하다.

4. 팀워크를 위해서 적당한 난이도의 목표를 설정하여 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5. 나는 동료들의 과제를 피드백하고, 가치 있게 평가하는 것을 좋아한다.

6. 나는 팀원들에게 우리의 팀 과제가 얼마나 잘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7. 나는 종종 팀원들에게 팀원의 과제 수행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계획과 조정

1. 나는 효과적으로 과제들(tasks)을 계획한다.

2. 나는 팀원과 대화할 때 시선을 맞추며 주의 깊게 듣고, 적절하게 반응한다.

3. 팀 과제를 적절히 배분하기 위해 팀원들의 기술(skill)과 상황에 대해 아는 것이 중요하다.

4. 나는 팀 프로젝트에 참여할 때, 과제와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여 명확하게 계획을 세우고자 한다.

5. 나는 내 일에서 ‘팀원들의 임무 완수에 필요한 작업을 하는 것’을 가장 우선순위에 둔다.

6. 팀 활동에서 ‘내가 만든 결과물’이 ‘다른 팀원의 작업에 필요한 부분’이 되도록 최선을 다한다.

<표Ⅲ-13> 일반적 지원전략에 대한 지각된 효과성 설문지 구성

(3) 지각된 학습만족도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지원체제에 대한 학습자 타당화를 위하여 학습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지각된 학습만족도에 대한 설문은 김정주(2009), Eom, Wen &

Ashill(2006)이 사용한 설문지를 일부 수정하여 아래 <표Ⅲ-14>와 같이 구성하였 으며, 측정 항목은 Likert 4점 척도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학습 만족도 도구의 Cronbach’s α는 .862의 신뢰도를 보였다.

<표Ⅲ-14> 지각된 학습만족도 설문지 구성

영역 설문 항목

지각된 학습만족도

나는 이 프로그램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

나는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로 한 것이 정말 잘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이 프로그램을 다른 친구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영역 설문 항목

(단계별) 일반적

지원 전략

1. 홍보/공지를 통해 학습공동체 목적/일정/평가방법 안내, 자율적으로 학습목표 설정하여 팀을 구성하는 과정이 ‘우리 팀의 협력학습’에 도움이 되었습니까?

2. 활동계획서를 통해 팀원 지식/경험을 공유하여 활동계획, 규칙/동료선언문 통해 책무성을 강화하는 과정이 ‘우리 팀의 협 력학습’에 도움이 되었습니까?

3. O.T.를 통해 협력학습의 중요성/실패극복방법 안내, 정기모임 및 주차보고서 통해 지속적인 규칙 점검/갈등예상지점·해결 법 작성, 사이버캠퍼스 공간 제공이 ‘우리 팀의 협력학습’에 도움이 되었습니까?

4. 주차보고서 양식(한글/구글문서도구)을 통해 학습/성찰내용 공유, 사이버캠퍼스를 통해 우수사례 안내 과정이 ‘우리 팀의 협력학습’에 도움이 되었습니까?

5. 주차보고서 내 동료피드백, 멘토의 보고서피드백, 지도교수/전문가 면담피드백, 운영자의 일정안내 메시지, 질의응답 피드 백 과정이 ‘우리 팀의 협력학습’에 도움이 되었습니까?

6. 워크숍을 통한 갈등관리방법 안내, 주차보고서 통한 협력하는 사람들의 특징/핵심믿음 안내, 팀원을 격려하는 협업미션 과 정이 ‘우리 팀의 협력학습’에 도움이 되었습니까?

7. 마지막 보고서를 통한 활동전반 성찰, 평가과정 및 결과 안내, 성과공유회 통한 사례 공유, 보상을 통한 동기부여 과정이

‘우리 팀의 협력학습’에 도움이 되었습니까?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8-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