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문헌 검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25-130)

A. 대학 비교과 학습공동체 지원체제 초안

1. 문헌 검토

지원체제 개발을 위해 연구목적인 협업역량, 연구맥락인 비교과 교육과정을 검 토하였으며, 협업, 협력학습, 비교과 학습공동체 관련 촉진조건들이 지원내용으로 검토되었다. 또한 지원 시기와 지원 영역을 위해 학습공동체 변화단계, 학습자지원 체제 등의 문헌들이 검토되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지원목적인 ‘협업역량’은 ‘공동의 목표를 위해 자발적으로 참 여하고, 지식을 공유·조정·융합하며,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고 협력하는 개인의 능 력’으로 정의한다(Dillenbourg, 1999; Friend & Cook, 2010). 본 연구에서는 협업역량 의 구성요소로 ‘팀원 개인 차원의 협업역량’에 주목하여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대 학 비교과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지원체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하는 협

업역량 구성요소는 Stevens와 Campion(1994), Aguado와 그의 동료들(2014)이 활용 한 5가지 구성요소 즉, 대인관계 범주의 (1) 갈등인식 및 해결(conflict resolution) (2) 협력적 문제해결(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3) 의사소통(communication) 과 자기관리 범주의 (4) 계획 및 과제 조정(planning and task coordination) (5) 목 표설정 및 수행관리(goal setting and performance management)이다. 각 요소들을 선정한 이유는 협업역량 구성요소 선행연구들이 포괄되어 개발되었으며, 본 연구를 위해 살핀 협업역량 선행연구들 또한 종합하여 조직화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비교과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은 자율성이 높고 팀 기반의 학습을 목적으로 융통성 있게 운영되므로, 학습자의 자기관리와 대인관계 측면 모두에서의 역량개발이 필요 하다. 비교과 프로그램의 특성 상, 팀 내에서 함께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하 며, 활동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팀 내에서 스스로 인식하고,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 다. 이에 공유된 상황을 인식하고 해결하며 의사소통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 Stevens와 Campion(1994) 및 Aguado와 그의 동료들(2014)의 협업역량 구성요소가 적합하다고 판단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원체제 개발 및 효과성을 측정하였다.

둘째, 비교과 교육과정의 개념과 특성 관련 연구들이 검토되었다. 선행연구를 통해 드러난 비교과 교육과정의 특성은 첫째, 교실이나 정규적인(regular) 교육과정 밖에서 이루어지는 것, 둘째, 학교의 지원(auspices) 아래 이루어지는 것, 셋째, 성 적(grade)이나 학점(academic credit)이 부과되지 않는 것, 넷째, 비학문적인(non academic) 것뿐만 아니라 학문적인(academic) 것도 포함함, 다섯째, 자발적이거나 선택적인 것으로 확인된다(Bartkus, Nemelka, Nemelka & Gardner, 2012).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다섯 가지의 특징은 앞서 정의한 협업역량 구성요소와 더불어 지 원체제를 도출하는 기준으로 활용되었다.

셋째, 협업역량 구성요소와 비교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여러 선행연구들이 검 토되었다. 학습공동체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포괄적으로 두루 살피고자 하였으며, 협업 촉진조건, 협력학습 촉진조건, 학습공동체 촉진조건 등을 확인하였다. 촉진조 건들은 본 연구의 협업역량 구성요소와 부합하는지, 비교과 교육과정의 개념과 특 성에 부합하는지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촉진조건은 다음 <표Ⅳ -1>과 같다.

<표Ⅳ-1> 지원체제 개발을 위해 최종 도출된 촉진조건

넷째, 협업역량 향상을 위한 대학 비교과 학습공동체의 체계적인 지원을 위해 학습공동체의 변화단계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변화단계를 검토하여 단계별 로 지원하고자 한 것은 학습공동체란 ‘저절로 생겨나는 것’이 아니며, 공동체 활동 을 추동시키는 구성원 간 역동을 통해(정상헌, 2014) 끊임없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와 관련하여 Hill과 그의 동료들(2007)은 공동체의 생명주기 동안 계획 과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언급하였으며, Gersick(1988)는 시간에 따른 공동체 의 변화를 고려함으로써 각 단계에 따라 공동체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고 하였다. 즉, 공동체의 변화단계를 추적하는 것은 각 단계에 따라 필요로 하는 요인

도출된 협업촉진조건 도출된 협력학습 촉진조건 도출된 학습공동체 촉진조건

팀 내 갈등관리(이해·조정·해결)

(Sakai, Yamamoto, Takahashi, Maeda, Kunii, &

Kurokochi, 2017;Ku, Tseng & Akarasriworn, 2013외)

반응적 의사소통/지속적 상호작용

(Friend & Cook, 2010;Schmitt, Blue, Aschenbrener, &Viggiano, 2011; Ku et al., 2013;

김윤권, 2013; 이승희 외, 2018 외)

팀원 간 신뢰

(Schmitt et al., 2011; Sakai et al., 2017; Ku et al., 2013; Comfort, 1985; 김윤권, 2013 외)

심리적 안전

(전영욱, 김진모, 2009; Bennett & Kane, 2014;

Drach-Zahavy & Somech, 2002; Sargent &

Sue-Chan, 2001)

팀원 간 지식의 인식·공유·활용

(Schmitt et al., 2011; Sakai et al., 2017;Ku et al., 2013; 송재준 외, 2013 외)

역할·과제에 대한 공정한 분배와 책임

(Schmitt et al., 2011; Sakai et al., 2017; Ku et al., 2013; Cheng et al. 2008; 송재준 외, 2013;

유지원, 2014 외)

공정한 인식에 기반한 보상구조

(Schmitt et al., 2011; 송재준 외, 2013 외)

공유된 가치와 목표

(Schmitt et al., 2011; Sakai et al., 2017; Friend

& Cook, 2010; 송재준 외, 2013; 김윤권, 2013 외)

자발성과 내재적 동기부여

(김윤권, 2013; 최진구, 2014 외)

활동과정·성과 모니터링

(Fransen, Weinberger, & Kirschner, 2013; Jehn

& Shah, 1997; Stevens & Campion, 1994;

Aguado et al., 2014 외)

공동체 의식·목표 형성

(Palloff & Pratt, 1999; 주영주, 조은아, 2006;

정윤희, 2010)

촉진적 상호작용

(Garrosin & Cleveland-Innes, 2005; Moore, 1989;

Johnson, & Johnson, 1992; 199b; 2009; Goos, Galbraith, & Renshaw, 1994)

집단 과정 지속적 점검

(Johnson, & Johnson, 1992; 199b; 2009)

협력스크립트

(Weinberger, 2003)

개인적 성찰

(Goos, Galbraith, & Renshaw, 1994; 윤창국, 2002)

정규적 만남

(Liberman & Miller, 2011; 김명랑, 2011)

심리적으로 안전한 환경

(Guldberg & Polkington, 2006; Hill, 2002;

Bielaczyc & Collins, 1999)

긍정적 상호의존성

(Johnson, & Johnson, 1992; 199b; 2009)

개인적 책무성

(Johnson, & Johnson, 1992; 199b; 2009; Ryan, 1995)

모든 구성원의 공헌

(Wilson & Ryder, 2001; 양미경, 2011)

자발적 참여 및 자율성

(Wilson & Ryder, 2001)

협력을 촉진하는 보상구조

(williams & Karau, 1991; Wilson & Ryder, 2001;

Weinberger, 2003; 박노윤, 배보경, 2010; 최미나, 2017)

자발적 참여

(이은철, 2013; 주영주 외 2006; )

공동체 목표 형성

(남영옥 외, 박노윤 외, 2010; 정현미, 2003;

Niesz. 2010; Plessis, 2008)

지식공유·상호작용

(박노윤 외, 2010)

협력적 메타인지 지원

(김한별 외, 2012; 송윤희, 2011; 이병준 외 2013)

협력적 학습문화

(정현미, 2003)

심리적 안정감

(권성호 등, 2001; 정현미, 2003)

사회적 실재감

(최순현, 2012;Tu & McIsaac, 2002;Hill, 2002;Wang&Kang, 2006)

데이터베이스 구축

(정현미, 2003)

학습과정 점검

(박노윤 외, 2010; 서은희 외, 2015; 염민호, 박선희, 2008; 이은철, 2013; 최순현, 2012)

협력을 촉진하는 보상구조

(박노윤 외, 2010; 양미경, 2011; 유지원, 2017;

이은철, 2013; 최미나, 2017)

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고, 공동체가 목표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도우며, 공동체의 평가에 대해서도 새로운 관점을 제공해줄 수 있다(Szilagyi &

Wallace, 198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cGrath(1984)가 제시한 가치와 목적 단계-능력과 자원 단계-규범과 응집단계-과업수행 단계를 기반으로 지원체제를 개발하였다.

McGrath(1984)가 제시한 변화단계를 사용한 이유는 1) 구분이 집단구조와 과정에 입각하여 분류되었으며, 다른 연구자들이 제시한 단계에 비해 각 단계에서 어떤 과 정이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무엇을 지원해야 하는지 명시적으로 제안하고 있기 때 문이다. 2)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은 자발적인 참여가 전제되고, 성적과 학점이 부여 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팀 내 경쟁이 적고, 위협적이거나 강제적이지 않으며 팀 목표를 함께 공유하며 학습활동을 전개해 나간다. 즉, 다른 학습공동체에 비해 비 교적 갈등이 적을 것으로 판단되며, 능력과 자원 및 규범과 응집 과정이 더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집단변화단계에서 ‘갈등’을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McGrath(1984)의 집단변화단계가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3) McGrath(1984)의 집 단변화단계는 Tuckman(1965)과 Hare(1976)의 연구를 포괄한 모형을 제시하여 종 합적인 검토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만, 비교과 교육과정 프로그램의 특성상 팀의 형성과 해체가 모두 이루어지 므로 ‘해체단계 추가’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이에 공동체 해체 단계에 필요로 하 는 협업역량 구성요소와 학습공동체 촉진 요소를 살핀 결과, ‘학습자들의 개인적 성찰’이 확인되었으며, McGrath(1984)의 변화단계인 가치와 목적 단계-능력과 자원 단계-규범과 응집단계-과업수행 단계에 마지막 ‘성찰단계’를 포함한 총 5단계가 본 연구의 지원체제 개발을 위한 지원단계로 선정되었다. 또한 선정된 단계는 ‘학습공 동체 프로그램’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의 성격이 잘 드러나면서 해당 내용이 포괄되 도록 단계명칭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1) 가치와 목적 단계는 ‘공동체 정체성 형 성기’로, (2) 능력과 자원 단계는 ‘공동체 자원·활동 개발기’로, (3) 규범과 응집단계 는 ‘공동체 학습문화 조성기’로, (4) 과업수행 단계는 ‘공동체 협업미션 수행기’로, (5) 마지막 ‘성찰단계’는 ‘공동체 성찰기’로 명명하였다. 각 단계는 본 지원체제의

‘지원 시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지원 시기에 따라 도출된 학습공동체 촉진조건을 재구성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Ⅳ-2> 와 같다.

<표Ⅳ-2> 학습공동체 변화단계에 따른 학습공동체 촉진조건

단계 도출된 협업촉진조건 도출된 협력학습 촉진조건 도출된 학습공동체 촉진조건

공동체 정체성 형성기

공유된 가치와 목표

(Schmitt et al., 2011; Sakai et al., 2017;

Friend & Cook, 2010; 송재준 외, 2013;

김윤권, 2013 외)

자발성과 내재적 동기부여

(김윤권, 2013; 최진구, 2014 외)

공동체 의식·목표 형성

(Palloff & Pratt, 1999; 주영주, 조은아, 2006;

정윤희, 2010)

자발적 참여 및 자율성

(Wilson & Ryder, 2001)

공동체 목표 형성

(남영옥 외, 박노윤 외, 2010; 정현미, 2003;

Niesz. 2010; Plessis, 2008)

자발적 참여

(이은철, 2013; 주영주 외 2006; )

공동체 자원활동

개발기

팀원 간 지식의 인식·공유·활용

(Schmitt et al., 2011; Sakai et al., 2017;Ku et al., 2013; 송재준 외, 2013 외)

역할·과제에 대한 공정한 분배와 책임

(Schmitt et al., 2011; Sakai et al., 2017; Ku et al., 2013; Cheng et al. 2008; 송재준 외,

2013; 유지원, 2014 외)

개인적 책무성

(Johnson, & Johnson, 1992; 199b; 2009;

Ryan, 1995)

모든 구성원의 공헌

(Wilson & Ryder, 2001; 양미경, 2011)

지식공유·상호작용

(박노윤 외, 2010)

공동체 학습문화

조성기

팀원 간 신뢰

(Schmitt et al., 2011; Sakai et al., 2017; Ku et al., 2013; Comfort, 1985; 김윤권, 2013 외)

심리적 안전

(전영욱, 김진모, 2009; Bennett & Kane, 2014; Drach-Zahavy & Somech, 2002;

Sargent & Sue-Chan, 2001)

심리적으로 안전한 환경

(Guldberg & Polkington, 2006; Hill, 2002;

Bielaczyc&Collins, 1999)

협력적 학습문화

(정현미, 2003)

심리적 안정감

(권성호 등, 2001; 정현미, 2003)

공동체 협업미션

수행기

활동과정·성과 모니터링

(Fransen, Weinberger, & Kirschner, 2013;

Jehn & Shah, 1997; Stevens & Campion, 1994; Aguado et al., 2014 외)

긍정적 상호의존성

(Johnson, & Johnson, 1992; 199b; 2009)

개인적 성찰

(Goos, Galbraith, & Renshaw, 1994; 윤창국, 2002)

협력스크립트(Weinberger, 2003)

데이터베이스 구축

(정현미, 2003)

반응적 의사소통/지속적 상호작용

(Friend & Cook, 2010;Schmitt, Blue, Aschenbrener, &Viggiano, 2011; Ku et al.,

2013; 김윤권, 2013; 이승희 외, 2018 외)

정규적 만남

(Liberman & Miller, 2011; 김명랑, 2011)

촉진적 상호작용

(Garrosin & Cleveland-Innes, 2005; Moore, 1989; Johnson, & Johnson, 1992; 199b; 2009;

Goos, Galbraith, & Renshaw, 1994)

사회적 실재감

(최순현, 2012;Tu & McIsaac, 2002;Hill, 2002; Wang & Kang, 2006)

팀 내 갈등관리(이해·조정·해결)

(Sakai, Yamamoto, Takahashi, Maeda, Kunii, & Kurokochi, 2017;Ku, Tseng &

Akarasriworn, 2013외)

집단 과정 지속적 점검

(Johnson, & Johnson, 1992; 199b; 2009)

학습과정 점검

(박노윤 외, 2010; 서은희 외, 2015; 염민호, 박선희, 2008; 이은철, 2013; 최순현, 2012)

협력적 메타인지 지원

(김한별 외, 2012; 송윤희, 2011; 이병준 외 2013)

공동체 성찰기

공정한 인식에 기반한 보상구조

(Schmitt et al., 2011; 송재준 외, 2013 외)

협력을 촉진하는 보상구조

(williams & Karau, 1991; Wilson & Ryder, 2001; Weinberger, 2003; 박노윤, 배보경,

2010; 최미나, 2017)

협력을 촉진하는 보상구조

(박노윤 외, 2010; 양미경, 2011; 유지원, 2017; 이은철, 2013; 최미나, 2017)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25-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