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제2장 향후 식품안전환경 변화 진단

제1절 식품사고 유형 변화

산업발달에 따른 잔류농약, 항생제, 다이옥신 등 환경유래오염물질과 아크릴아마이드, 벤조피렌 등 식품제조과정 중에 생성되는 유해물질 등 신종유해물질의 출현이 증가하여 이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식품가공시 첨가되는 아질산염, 착색제 등의 식품첨가물의 적정 섭취도 문제시 되고 있다.

또한 국제무역 활성화에 따른 장기저장‧수송에 기인하는 곰팡이독소 와 같은 유해물질로 인한 위험 및 Biotechnology, Nanotechnology 등 신기술 출현에 따른 불안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식품성분, 식품첨가물, 식품오염물질 등 다양한 영역에서 식 품안전을 위협하는 유해물질에 대한 기준 규격이 강화됨으로써 신종 유 해물질에 대한 지속적인 안전관리가 확대되어야 한다.

<표 2-1>에는 2000년대 국내에서 발생한 식품사고의 현황을 식품위 해물질별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식품사고의 유형은 원재료의 품질, 인위적 조작에 의한 식품안전사고에서 최근에는 산업화에 따른 환경유 래 또는 제조가공 과정 중에 비의도적으로 혼입된 유해물질로 인한 식 품안전사고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병원성 미생물과 이물은 식품안전 관리 수준 향상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도 식품안전사고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38

특히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위험은 최근까지도 선진화된 식품안전관 리체계를 갖춘 외국에서도 식품안전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새로운 변종들의 발생으로 인해 지속적인 연구와 예방이 필요한 분야로 간주되 고 있다. 한 예로서 2011년 5월부터 유럽 특히 독일과 프랑스를 공포 에 몰아넣은 감염세균인 EHEC O104:H4는 E. Coli 세균의 두가지 유 형이 근원으로 밝혀졌다. 독일연방위해평가연구소의 DNA 분석결과에 따르면 설사유발균인 EAggEC(Enteroaggregative 대장균)와 93% 일치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독일 뮌스터대학의 헬게 카르흐 교수팀에 따르면 장출혈성 대장균(EHEC)과 장응집성 대장균(EAEA)이 유전적으 로 혼합된 형태라고 발표되었다. 1987년 발견된 EAggEC는 설사를 유 발하는 E. Coli의 새로운 세균그룹으로 감염으로 인한 발병은 지금까지 주로 단체식사와 연관성이 있었고, 일반적으로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전파될 수 있으며, 물건이나 식품을 거쳐 사람에게 전파될 수도 있다.

독일연방위해평가연구소에 따르면 원인식품은 이집트에서 생산된 새싹 채소씨앗이고, 사람이 식품과 환경의 오염을 야기한 원인일 수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39

2

〈표 2-1〉 식품위해물질에 의한 식품사고 현황2)

(단위: 건, %)

연도 계 자연발생 환경유래 제조‧가공과정 식품첨가물 기타

계 77(100.0) 23(29.9) 11(14.3) 9(11.7) 7(9.1) 27(35.1)

2000년 이전 17 5 4 3 2 3

2000년 8 1 3 1 - 3

2001년 3 1 1 - - 2

2002년 7 3 - 1 1 2

2003년 3 2 - - - 1

2004년 6 2 - - 2 2

2005년 6 2 - 1 1 2

2006년 2 1 - - 1

-2007년 6 2 1 1 - 2

2008년 7 1 2 - - 4

2009년 6 3 1 - - 2

2010년 6 2 - - - 4

주: 1) 자연발생: 유해 미생물, AI 등

2) 환경유래: 잔류농약, 항생제, 다이옥신 등의 환경성 오염물질 3) 제고‧가공 과정에 생성되는 유해물질: 아크릴아마이드, 니트로즈아민 등 4) 식품첨가물: 표백제, 착색료 등

5) 기타: 유전자재조합식품, 멜라민, 광우병, 이물, 유통기한 허위표시 포함

<표 2-2>에는 정부의 개별 사고에 대한 대응조치 예로서 2008년부 터 2010년까지의 식품사고와 이에 대한 정부대응조치 내용이 정리되어 있다.

수입식품 및 신식품으로 인한 사고가 다발하고 있고, 정부의 대응조 치는 2009년 취해진 주요 조치를 보면 우선 분유에서 검출된 사카자키 균에 대한 대응조치로 고시 제2007-31호를 개정하여 영유아용 식품의 제조가공기준을 강화하고, 두 번째로는 중국산 멜라민 분유 사건에 대 응하기 위하여 멜라민 기준 및 시험법을 신설하였으며, 황색포도상구균 관리를 강화하여 균의 정량규격을 신설하고, 정량시험법을 개정하는 등 대부분 기준‧규격의 제‧개정 또는 시험법의 신설 등으로 나타났고, 지 속적인 관리가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정기혜 외, 해외 식품안전 관리실태 분석 및 국내 적용방안 검토, 2009.

40

41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