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세대별 인식의 분기와 사회통합 <<

3. 세대갈등의 사회적 배경

세대갈등을 다룸에 있어 세대집단의 형성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각 세대의 차 이는 세대의 고유한 역사적 경험과 사회화 과정, 사회적·경제적 자원 획득을 위한 기회 구조의 차이에 의해 상이한 이해관계와 가치관을 가지면서 만들어진다(박재흥, 2005;

박길성, 2011). 그러므로 세대를 이해하는 한 방법으로 한 시대를 살아온 개인이 어떠 한 역사적 경험을 했는지, 어떻게 자신의 고유한 가치관을 형성, 변화시켜왔는지 탐색 하는 것이 있다(박재흥, 2005). 한편으로는 만하임의 개념으로서 ‘진짜 세대’의 출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핵심 요인으로 ‘사회변동의 속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회변동

의 속도가 빠를수록 비슷한 시기에 출생한 집단이 자신들의 고유한 문화를 창출할 가 능성이 높아진다.

세대 집단, 특히 정치 경제 문화 등의 영역에서 특징적인 세대가 등장하는 것은 각 세대가 처한 구조적 상황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박재흥, 2005; 최유석, 2016). 그래 서 세대를 구분함에 있어 정치적 세대와 경제적 세대를 구분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경 제적 세대의 구분은 통상적으로 큰 파급 효과를 경험하고, 그것이 상당히 지속되는 경 우에 한정된다.

세대의 문제가 가치관의 차이라고 할 때, 가치관의 차이는 어떠한 관점에서 구분할 수 있는가? 이와 관련하여 잉글하트와 웰젤은 세계가치관 조사를 이용하여 전 세계 사 람들의 가치관을 크게 두 개의 축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밝히면서, 세로축에는 전통적 가치 대 세속합리적 가치의 긴장을, 가로축에는 생존적 가치 대 자기표현적 가치의 긴 장을 배치한 바 있다(김우창, 송복, 송호근, 장덕진, 2017, p. 301).

우리는 세대간 가치관을 비교 평가하는데 있어 이념적 가치관, 탈물질주의 가치관, 연령관점의 가치관, 분배 가치관을 중심으로 비교해보고자 한다. 이런 가치관 구분은 각 세대가 보일 수 있는 다양한 가치관 관점의 차이를 드러내는 것이며, 또한 보다 이 념·철학적 가치관에서부터 현실주의적 가치관으로의 단계적 변화를 보여 준다.

4. 연구 방법

가. 분석자료

세대간 가치관 비교를 위해 여기서는 「사회갈등과 사회통합 실태조사」 (2018년 조 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실태조사는 만 19세 이상 만 75세 이 하의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개인 단위로 응답하였다.

여기서 세대별 분기는 출생년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모두 5개 연령집단으로 구분 한다. 1942년생부터 1953년까지, 1954년부터 1963년을 베이비붐 세대로 구분, 1964년부터 1973년을 민주화 세대로 구분, 1974년부터 1989년생을 X세대 및 N세 대로 구분하고, 1990년대 이후 출생자를 구분하였다. 흔히 한국사회에서 세대를 분류 할 때, 베이비붐 세대와 민주화 세대가 일부 겹친다. 1960년생부터 1963년생이 그들

인데, 홍덕률(2003)은 민주화 세대를 1953년부터 1969년까지 놓고 이 중에서도

<표 5-2> 탈물질주의 가치관에 대한 질문 문항

귀하는 다음 각각의 정부 개입이 얼마나 정당하다고 또는 정당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