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인구 사회적 특성별 맞벌이 가구 변화

이 절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 특성을 인구사회학적 집단특성별로 상세 히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매 3년 주기로 실시하는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원자료를 이용한다. 이 자료는 횡 단조사로써 15~49세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결혼과 출산과 같은 인구학적 생애과정에 대하여 조사하고 있다. 동일한 변수를 기준으로 1991년 조사 부터 2018년 조사까지 통합자료를 만들어 분석하고자 한다. 다만 자료를 통합하였어도 기본적으로 횡단자료이기 때문에 각 조사 연도별도 각각 분석하여 결과를 함께 제시할 것이다. 주요한 분석의 초점은 맞벌이 가구 의 변화추세이며, 따라서 분석 표본은 배우자가 있는 가구로 한정하였다.

먼저 각 조사 연도별로 전체 기혼여성의 맞벌이 가구 비율을 살펴보면, 1991년에 32.1%로 나타나며,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2018년에 55.7%를 나타내고 있다. 2000년 조사에서는 맞벌이 가구비율이 42.3%, 2009년 45.3%로 낮아지는데, 이는 앞서 살펴본 전국 경제활동참가율 추 세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1997년 외환위기, 2008년 금융위기의 여파로 해석된다.

〈표 4-3〉 전체 기혼여성(15-49세) 맞벌이 가구 비율

구 분  91 94 97 00 03 06 09 12 15 18

홀벌이 67.9 55.6 55.9 57.7 50.5 51.0 54.7 50.5 47.6 44.3 맞벌이 32.1 44.4 44.1 42.3 49.5 49.0 45.3 49.5 52.4 55.7 N 7015 5810 6233 6010 6735 6757 5803 6879 10464 10679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원자료, 각년도

기혼여성 연령 집단별로 맞벌이 가구 비율을 살펴보면, 20대 기혼여성 N 1796 1394 1315 1112 824 730 587 536 774 598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30~39세

홀벌이 67.5 54.4 54.8 58.9 55.7 55.4 62.2 54.1 52.6 49.4 맞벌이 32.5 45.6 45.2 41.1 44.3 44.6 37.8 45.9 47.4 50.6 N 3237 2800 2923 2640 3050 3055 2494 2952 4793 4697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40~49세

홀벌이 61.4 44.0 47.4 48.8 41.3 43.7 46.1 45.4 40.0 38.4 맞벌이 38.6 56.0 52.6 51.2 58.7 56.3 53.9 54.6 60.0 61.6 N 1982 1616 1995 2258 2861 2972 2722 3391 4897 5384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원자료, 각년도

다음 표는 기혼여성의 출생 코호트에 따른 맞벌이 가구 비율을 나타낸 N 2252 2422 2796 2676 3243 3145 2751 2236 1877 659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70~79년

홀벌이   76.8 72.5 72.4 61.3 59.2 62.7 50.7 45.6 40.4 맞벌이   23.2 27.5 27.6 38.7 40.8 37.3 49.3 54.4 59.6 N   241 640 1201 1720 2402 2418 3378 5455 5572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80~89년

기혼여성의 가구소득계층에 따른 맞벌이 가구 비율의 변화를 살펴보았

N 1447 1656 1671 1679 1913 2633 2694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중간소득층

홀벌이 58.9 49.2 48.9 50.3 45.3 43.8 39.0

맞벌이 41.1 50.8 51.1 49.7 54.7 56.2 61.0

N 3119 3357 3354 2677 3338 5231 5317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고소득층

홀벌이 41.3 38.4 38.0 42.3 34.9 25.0 23.7

맞벌이 58.7 61.6 62.0 57.7 65.1 75.0 76.3

N 1229 1584 1638 1443 1605 2596 2667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원자료, 각년도

2. 인구 사회적 특성별 가구소득대비 여성임금 비중

전체 가구소득에서 여성의 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젠더 관계의 변화 를 읽을 수 있는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다. 전통적으로 남성생계부양자 가 구에서 전형적으로 젠더 관계의 불형평이 유지되고 있었다. 여성의 경제 활동참가율 뿐만 아니라 전체 가구 소득에서 여성소득이 차지하는 비중 변화는 젠더관계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취업한 기혼 여성의 임금이 가구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았다.1)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체 가구소득에서 취업한 기혼여성의 임금이 차 지하는 비중이 33%이하인 경우는 2000년 조사 이후 점차 증가하였다.

33-66%에 해당하는 중간수준의 비중을 차지하는 경우는 2000년에 비해 2018년 조사시점까지 약 10%p 증가하였다. 취업한 기혼여성의 임금비 중이 가구소득에서 높은 비중(66-100%)을 차지하는 비율은 크게 증가하 지는 않았다. 즉 가구소득 대비 여성임금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의 변화는 거의 없었고, 중간 수준의 집단이 크게 증가한 것으 로 보인다.

〈표 4-7〉 취업한 전체 기혼여성(15-49세)의 임금이 가구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

구 분 00 03 06 09 12 15 18

0% 27.8 27.3 16.7 15.5 8.3 8.1 8.0

0-33% 13.1 15.6 18.4 17.8 19.0 22.6 21.5

33-66% 24.5 25.7 29.2 30.3 35.0 37.4 36.2 66-100% 34.6 31.4 35.6 36.4 37.7 31.9 34.2

N 2639 3441 3439 2764 3461 5617 6062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원자료, 각년도

1) 분석 자료에서 취업한 기혼여성의 임금이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무급가족종사자와 같은 취업형태로 볼 수 있고, 이들의 비중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낸다. 우리나라 자영자 규모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전체 가구소득에서 여성 임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연령별로 세분해보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30-39세              

0% 24.2 22.2 14.1 10.1 5.8 6.0 6.3

0-33% 13.1 16.7 16.8 17.0 16.3 18.4 19.1 33-66% 26.3 26.2 30.1 32.5 34.9 38.4 35.9 66-100% 36.4 34.9 39.0 40.5 43.0 37.1 38.7

N 1104 1396 1396 983 1368 2320 2408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40-49세              

0% 34.1 34.2 20.8 20.1 10.6 10.3 9.2

0-33% 13.9 16.1 21.0 19.9 21.4 26.5 23.7 33-66% 22.5 24.4 28.0 28.7 35.8 36.5 37.0 66-100% 29.5 25.4 30.1 31.3 32.1 26.7 30.2

N 1215 1736 1751 1554 1882 3003 3387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원자료, 각년도

출생코흐트별로 여성임금이 가구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면,

N 1142 1689 1794 1560 1264 1218 448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70~79년

0% 15.7 15.7 10.6 9.2 7.2 8.8 8.3

0-33% 10.0 11.1 14.2 16.9 18.9 23.9 23.4 33-66% 26.5 27.1 30.8 32.4 36.0 38.2 36.5 66-100% 47.9 46.1 44.4 41.4 37.9 29.1 31.8

N 351 675 1008 944 1690 3026 3390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80~89년    

취업한 기혼여성의 가구소득계층별로 여성 임금이 가구소득에서 차지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중간소득층

0% 23.7 26.4 16.4 14.8 7.7 7.7 6.7

0-33% 14.1 16.2 17.9 18.0 19.0 21.1 20.2 33-66% 31.6 30.5 38.2 39.5 39.9 42.3 40.0 66-100% 30.7 26.8 27.4 27.8 33.4 28.9 33.1

N 1330 1755 1758 1351 1838 2969 3276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고소득층

0% 18.1 18.5 12.8 10.4 6.9 5.6 5.5

0-33% 18.3 20.6 26.3 22.8 24.1 26.7 23.3 33-66% 26.8 24.2 20.7 24.0 28.4 32.8 34.9 66-100% 36.8 36.7 40.2 42.8 40.7 34.9 36.3

N 728 979 1020 838 1043 1947 2040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원자료, 각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