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례 E: 의료서비스(생활협동조합)

Ⅳ.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사회적기업의 운영 사례

6. 사례 E: 의료서비스(생활협동조합)

❏ 주요 사업 내용: 일반시에 거주하는 조합원들(4,700가구)이 출자하여 의원, 한의원, 치 과, 건강검진센터, 요양원, 가정간호사업소 등 운영

❏ 운영주체의 특성: 협동조합

❏ 사회적기업 유형: 일자리제공형

❏ 대상지역 범위: 도의 일반시 전체, 1개 동이 주요 대상

❏ 이용자 규모: 연간 의원 3만2천명, 한방 1만1천명, 검진 2천2백명, 치과 8천명, 방문요 양 16800회 (취약계층은 30%)

❏ 종사인력 규모: 62명

120

가. 사회적기업 인증 이전 사업

○○의료생협은 지역주민들이 출자 및 운영을 하고, 이용을 하는 자 체시스템으로 2000년에 사업을 시작하였다. 2003년부터 노동부의 사회 적일자리창출사업을 시작하였고, 자연스럽게 2008년 사회적기업으로 인 증 받게 되었다.

사회적기업으로 인증을 받게 된 것은 “○○의료생협에서 지역주민과 조합원, 의료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었던 사업내용과 취 지가 자연스럽게 사회적기업의 목적과 맞았기 때문”이었다. 특히 사회 적일자리창출사업에 참여하면서 돌봄활동을 시작하게 된 것이 계기가 되어 인증으로 이어졌다.

나. 사회적기업 인증과정에서의 정부지원

사회적일자리창출사업단으로 시작했기 때문에 사회적일자리 지원을 계속 받았고, 다음 달 종료를 앞두고 있었다. 현재는 사회적일자리 지 원, 전문인력인건비 지원, 4대보험료, 대부 지원을 받고 있었다.

가장 도움이 되었던 지원은 저리의 대부지원이라고 강조했다. “외부 자본을 끌어들일 방도가 없었을 때 저리의 대부를 이용할 수 있었는데, 저리의 대부지원을 통해 기존 채무를 싼 이자로 전환하면서 재무구조를 개선할 수 있었다”고 평가하였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대부지원이 사 회적기업에게는 매우 유용한데, 기업이 필요할 때 요청해서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정부에서는 기간을 정해두고 지원을 해주어서 정말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이었다.

사회적일자리인건비 지원은 기업에게 투자 여력을 가져다주고 성장의 계기가 되나, 인건비 지원이 중단된 이후에는 경영에 심각한 어려움이 발생한다고 강조하였다.

121

“물론 인건비 지원을 받아 유용하게 사용했지만, 인건비 지원보다는 판로 같은 부분을 정확하게 해결해 주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사실 대 부분의 사회적기업이 일자리 지원금이 있을 때에는 기업을 유지할 수 있지만 지원이 끊기면 문을 닫거나 사업 및 직원을 대폭 축소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기업이 안정적 성장을 하려면 판로를 개척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기업의 안정적인 성 장 및 자립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요청하였다.

한편 경영컨설팅은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경영컨설팅을 받았었는데, 오히려 그 분들이 배워 가셨다. 이 분야 에 대해 잘 아시는 분이 별로 없고 컨설팅 하는 분들이 일반경영론의 잣대로 기업을 보거나 사회적기업이라도 대부분 제조업 관련해서 컨설 팅 했던 분들이기 때문에 도움을 줄 수 없다. 오히려 경영컨설팅을 받 다가 소진이 많이 되었다”며 기업 스스로 경영지도사 과정을 수강하면 서 의료생협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었다.

다. 사회적기업 운영을 위해 필요한 지원

사회적기업 운영을 위해 필요한 지원으로는 사회적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기회를 보장하고, 공모사업등에도 참여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요구하였다. 의료생협이나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공공성이 강 하기 때문에 정부가 정책수단을 통해서 지켜주고 키워주는 것이 필요하 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기초생활수급권자의 요양서비스제공 우선 기 회보장이라든지, 장기요양보험 등급외 판정을 받고 사각지대에 방치되어 있는 노인들에 대한 서비스 제공, 공모 참여 등을 가능하게 해주었으면 좋겠다. 공공성과 사회성을 담보해서 잘하는 기업은 가점을 주고, 더 많 은 서비스를 제공하게 해야한다”며 일회적인 자금지원도 중요하지만 사

122

회적기업이 살아갈 수 있는 생태계적인 환경 조성에 적극적으로 지원해 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라. 사회적기업 인증이후 변화

인증 이후 인력은 3배 이상 증가했다. 인증 이전 직원은 20명 정도 였으나, 현재는 62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정부의 인건비 지원이 끝나도 인원 감축 계획은 없다.

사업영역도 인증 이후 한의원을 확장했고, 치과, 가정간호사업소, 요 양원을 개설하였으며, 장애인활동보조사업도 실시하는 등 활발한 영역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서비스의 경우 일반 의료시장과 구별되는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는데, “서비스의 경우 저희가 가지고 있는 장점들을 충분히 활용해 서 제공하고 있다. 저희는 돌봄, 복지, 의료 등을 통합해서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지역주민이나 개별조합원들에게 주치의제도를 만 들어 운영하고 있으며, 의료기관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주는 동반이동서 비스, 보건 예방에 관련한 부분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고 강조하였다. 특히, “건강실천단이라는 생활습관을 바꾸는 프로그램을 작년부터 시행하고 있으며, 현재는 전국에 소속된 의료생협이 우리의 건강실천단을 모델링하고 있다”며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에 대해 강조하 였다.

한편 정부기관과 관계는 원만하고, “이사장님이 사회적기업 관련해서 다양한 직책을 맡고 있기 때문에 관하고 관계를 밀접하게 맺고 있다”고 했으며, 지자체와는 MOU 형태로 의료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의료협약 을 체결, 해당 지자체의 취약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123

마. 사회복지서비스제공의 측면에서 사회적기업의 이점

공공재 성격이 강한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은 시장만으로 해결이 불가 능하고, 공공의 영역만으로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자율성과 공공성(사회 성)을 담보한 사회적기업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의료는 공공재적인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수 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공자원만을 가지고는 해결하기 어렵다.

보건소 근처에 사는 사람은 프로그램도 참여할 수 있고 좋으나 다른 지 역 거주자의 경우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예를 들 면, 작은 마을단위에서 보건지소나 보건진료소 형태를 띨 수 있는 정도 의 영역을 사회적기업에게 맡긴다면 이를 통해 지역사회의 복지수준과 건강수준을 높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보건소나 공공기관은 지 자체 정책이나 국가 정책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지만, 사회적기업의 경 우는 다양한 것을 융통성 있게, 창의적으로 할 수 있는 차별성을 가지 고 있다고 강조하였다.

“물론 가이드라인은 있어야 하지만 자율성이 보장되면서 지역주민에 게 가깝게 다가가서 사업을 할 수 있고 건강과 복지를 아울러서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사회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사회적기업의 장점도 있으나, 이용자 확 보와 홍보는 11년 동안 쌓아온 기업의 신뢰 및 자체적인 노력이 중요 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역주민들의 경우 사회적기업이기 때문에 이 용하는 것은 아닌 것 같고, 의료생협으로서 지역사회에서 11년 정도 일 을 해 온 것에 대한 신뢰로 보인다. 대부분의 지역주민들은 이곳이 사 회적기업인지는 잘 모르고, 사회적기업에 대해서도 잘 모르지만, 좋은 일을 하는 곳이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찾아오는 경우가 많다”며 정부 에서 사회적기업을 알릴 수 있는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124

“개별기업들이 자기 회사에서 예산을 책정해서 홍보를 하는 것은 한 계가 있다. 사실 사회적기업의 경우 대부분 이번 달 직원들에게 줄 월 급을 걱정해야 하는 기업이 많아서 홍보까지 생각할 여력이 없다. 홍 보는 정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줄 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한다.”

바. 기업의 운영

1) 의사결정

기업의 의사결정구조는 협동조합의 특성상, 지역주민들이 이사나 위 원회에 참여하고 있으며 한 달에 한 번 회의를 통해 운영전반에 관련한 사항을 논의하고 있었다.

“이사회나 위원회 모두 지역주민들이 참여하고 있다. 이사는 15명으 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조합원들의 의사를 합하기 위해 직원이사, 사회적기업가, 금융에 대해 잘 아는 신용협동조합의 금융전문가, 지역 노인, 교수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참여하여 기업의 운영 및 사 업관련 의견들을 수렴하고 있다.”

“이사회 위에 대의원이 있는데, 대의원은 지역을 33개의 선거구로 나 눠서 대표자를 130명 정도 선출하여 이분들이 예산총회, 결산총회를 하 고 있다”며 민주적인 의사결정방식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고, 이러한 의 견수렴이 기업운영에 있어 힘이 되고 원동력이 된다고 답하였다.

2) 수익

2008년 사회적기업 인증 이후 수익은 3년 평균 8천만원 정도였다.

“사회적기업으로 인증받기 전에는 수익구조가 굉장히 어려웠다. 그러나

“사회적기업으로 인증받기 전에는 수익구조가 굉장히 어려웠다. 그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