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례분석

문서에서 그림 차례 (페이지 99-116)

(1) A마을

① 토지이용 현황

A마을은 울산고속도로 및 24번 국도 주변을 흐르는 태화강과 인접하여 표고 가 높은 임야와 과수원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취락내 건축물호수는 53호로서 전

4) 취락 명칭은 본 연구가 실제 법적 뒷받침을 갖는 계획이 아니므로 실명을 사용하지 않고 영문 알파벳 을 순서대로 사용하였다.

부 주택이며 전형적인 농촌마을을 이루고 있다. 마을내 건축물의 배치는 간선도 로 역할을 하는 소로를 중심으로 밀집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마을과 연결되는 진 입도로의 맞은 편에는 밭이 분포하고 있다.

한편,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취락인 관계로 주택이 들어서 있는 필지의 형상 이 부정형이고, 면적도 평균 100평에 미달하는 소규모 필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4-1> A마을 전경 <그림 4-2> A마을 내부도로

② 기반시설 현황

취락으로의 진입도로는 울산고속도로 밑을 지나 무동교를 통해 진입하는 도로 와 24번 국도에서 태화강을 따라 진입하는 도로의 2개 도로가 있으나 모두 폭 3m 정도의 편도 1차선의 좁은 도로로 구성되어 있다. 취락내 도로는 간선도로 역할을 하는 폭 3∼4m의 콘크리트 도로가 있으며, 취락은 이 도로 및 이 도로와 연결되는 골목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취락내의 공공시설로는 마을회관 1개소와 공동작업장 1개소가 위치하게 있으 며, 그 밖의 근린공공시설이나 교육시설은 전무한 실정이며, 인근의 교육시설로 는 A마을에서 약 1.8km 떨어진 지역에 초등학교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하 수도는 간이상수도시설이나 오수처리시설, 단독정화조 등 임시적 시설에 의존하 고 있는 실정이다.

③ 경관 및 주변환경

④ 취락 정비방향

앞의 현황에서 보는 바와 같이, A마을은 전형적인 농촌취락으로서 취락내 주 거환경은 양호한 편이나 일부 주택이 노후화 되어 있다. 따라서, 정비목표를 기 존 취락환경의 유지에 둘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노후화된 주택의 개량이나 폭이 좁은 소로의 확폭, 주거환경개선 등 부분적인 정비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기반시설의 경우 취락내에 전무하나 취락의 입지특성상 새로운 기반 시설의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따라서, 기반시설은 반천리 등 인근 취락과의 연계에 의한 종합적 정비를 통하여 공급할 필요가 있다.

정비의 대상범위의 경우, 취락이 표고가 높은 임야 사이에 둘러싸여 있어 취락 의 직접적인 정비범위가 현재 형성되어 있는 취락에 한정될 수밖에 없으나 부족 한 기반시설을 고려하여 인근 취락과의 연계에 의한 단계적 정비범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2) B마을

① 토지이용 현황

B마을은 청량천과 연결되는 지천 주변의 논과 임야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전 형적인 농촌취락으로서, 약 200m 떨어진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을 지나는 왕복 2차선의 34번 군도에서 진입도로로 연결되고 있다. 그리고, B마을 주변 약 1km 떨어진 지역에는 동해남부선 철도가 통과하고 있다.

취락내 건축물호수는 32호이며, 주택으로 사용하는 주건축물과 창고, 화장실 등의 부속건축물이 취락내 분산되어 있는 골목 형태의 소로 주위에 밀집되어 배 치되어 있다.

한편,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취락인 관계로 주택이 들어서 있는 필지의 형상 이 부정형이고, 규모도 평균 150평 정도로서 A마을보다는 큰 편이다.

<그림 4-4> B마을 진입부 <그림 4-5> B마을 내부도로

② 기반시설 현황

진입도로는 34번 군도에서 연결되는 왕복 2차선의 콘크리트 포장도로로 되어 있으며, 취락내는 폭 2∼3m의 루프형 소로에 의해 연결되고 있다.

취락내에는 공공시설이나 교육시설 등이 전무하나 인근 화정1마을에 마을회 관, 구판장이 설치되어 있고, 약 1.5km 떨어진 마을에는 초등학교와 농협이 위치 하고 있다. 그리고, 상하수도는 간이상수도시설이나 오수처리시설, 단독정화조 등 임시적 시설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표 4-3> B마을 토지이용 현황

지목명 필지수 면적(㎡) 평균 필지규모(㎡) ( )내는 평

19 6,995 368 (111)

2 1,163 582 (176)

임야 4 1,596 399 (121)

대지 23 11,569 503 (152)

도로 3 961 320 (97)

하천 2 439 220 (67)

구거 1 243 243 (74)

합계 54 22,965 425 (129)

③ 경관 및 주변환경

취락이 임야 하단부의 밭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주변지역과 함께 양호한 경관 을 형성하고 있으며, 취락 전면에는 규모가 큰 논이 들어서 있다.

<그림 4-6> B마을 건축물 용도별 현황도

④ 취락 정비방향

앞의 현황에서 보는 바와 같이, B마을은 전형적인 농촌취락으로서 취락내 환 경은 양호한 편이나 일부 주택이 노후화되어 있다. 따라서, 취락의 정비목표를 기존 취락환경의 유지에 둘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노후화된 주택의 개량이 나 폭이 좁은 소로의 확폭이나 환경개선 등 부분적인 정비를 할 필요가 있다.

기반시설의 경우, 취락내에 기반시설이 전무하나 작은 취락규모로 인하여 새 로운 기반시설의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따라서,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 과 연계에 의한 기반시설 정비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취락의 정비범위는 취락과 면하여 위치하고 있는 밭 등의 미개발지를 포함하 여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정비 시 이와 같은 미개발지를 활용하여 기반시설을 배치할 수 있다.

(3) C마을

① 토지이용 현황

C마을은 두현저수지 진입부의 청량천을 따라 14번 국도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으며, 기존 건축물이 증개축에 의하여 대부분 음식점으로 이용되고 있다. 취락 내 건축물호수는 35호이며, 국도와 인접한 지역은 대부분 대형 음식점으로 운영 되고 있으며, 국도 반대편의 취락 후면에는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소수의 주택 이 위치하고 있으나 매우 노후화되어 환경이 열악한 상태이다.

그리고, 주택 이외의 건축물로는 점포겸용 마을회관이나 사찰, 묘지 등이 혼재 되어 있으며 취락내에는 밭이나 주차장으로 이용되고 있는 미개발지역이 산재하 고 있다. 또한, 취락내 건축물의 필지 형상이 부정형이고, 규모도 평균 150평 정 도로서 B마을과 비슷한 규모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4-7> C마을 진입부 <그림 4-8> C마을 내부공지

② 기반시설 현황

진입도로 역할을 하는 14번 국도는 왕복 2차선으로 통과교통량이 많은 편이며, 취락내 도로는 인접하고 있는 14번 국도에서 직접 연결되는 골목형태의 소로로 구성되어 있다.

취락내의 공공시설로는 마을회관이 유일하게 배치되어 있으나 점포와 겸용하

고 있으며, 그 밖의 공공시설은 전무한 실정이다. 그리고, 상하수도는 다른 취락 과 동일하게 간이상수도시설이나 오수처리시설, 단독정화조 등 임시적 시설에 의존하고 있다.

③ 경관 및 주변환경

주변지역은 임상이 양호한 임야로 둘러싸여 있으나 취락은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는 대형 음식점으로 인하여 경관이 매우 불량하고 환경도 열악한 편이다.

<표 4-4> C마을 토지이용 현황

지목명 필지수 면적(㎡) 평균 필지규모(㎡)

( )내는 평

31 8,727 282 (85)

9 636 71 (21)

과수원 1 472 472 (143)

임야 3 57 19 (6)

대지 28 13,346 477 (144)

도로 13 2,992 230 (70)

하천 1 56 56 (17)

구거 10 1,441 144 (44)

종교용지 1 282 282 (85)

묘지 2 895 448 (136)

잡종지 2 432 216 (65)

합계 101 29,336 290 (88)

<그림 4-9> C마을 건축물 용도별 현황

④ 취락 정비방향

앞의 현황에서 보는 바와 같이, 취락내 건축물이 대부분 음식점으로 환경이 열 악하고 일부 남아 있는 주택도 노후화되어 있어 정비목표를 주거환경의 보호와 같은 기존 취락환경의 유지보다는 새로운 취락환경의 형성에 둘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주변 환경과 어울리지 않는 음식점의 전면적 정비나 노후 화된 주택의 이축과 같은 전면 철거에 의한 취락의 전면적 정비를 할 필요가 있 다.

취락의 정비범위는 취락 후면의 임야나 전면의 하천으로 인하여 미개발지역을 포함한 현행 취락 경계를 대상으로 할 필요가 있으나, 취락 주변의 일부 훼손된 지역까지 포함할 필요가 있다.

(4) D마을

① 토지이용 현황

D마을은 임야 사이의 구릉에 둘러싸여 있는 전형적인 농촌취락으로서, 취락의 진입을 위한 간선도로로 활용되고 있는 14번 국도에서 ㉠마을과 ㉡마을 등 다른 취락 2개 지역을 지나 약 3.1km 떨어진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취락으로 연결되는 3.1km에 이르는 진입도로는 폭 3m 내외의 편도 1차선도로로서 D마을 까지만 연결되는 막다른 도로이며, 매우 열악한 편이다.

취락내 건축물호수는 58호이며, 취락내에는 불규칙한 형태의 소로가 형성되어 있고, 소로 주위에 건축물과 밭이 산재되어 배치되어 있다. 건축물은 거의 대부 분 주택으로서 노후화되어 열악한 편이나 일부 신축에 의해 정비되어 있으며, 주 택 마을회관과 교회 1개소가 배치되어 있다.

취락이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어 주택의 필지 형상이 부정형으로 되어 있으 며, 규모도 평균 130평 정도로서 B, C, E 마을보다는 작지만 A, F 마을보다는 큰 편이다.

<그림 4-10> D마을 진입부 <그림 4-11> D마을 내부도로

② 기반시설 현황

14번 국도에서 연결되는 3.1km에 이르는 폭 3m 내외의 편도 1차선도로에 의 해 연결되는 진입도로는 다른 지역으로 연결되지 않는 막다른 도로이며, 취락내

도로는 마을 진입부는 폭 5m정도이나 취락내부는 2.5∼3m의 두 축의 소로로 구 성되어 있으며, 소로에서 골목에 의해 각 주택으로 연결되고 있다.

취락내의 공공시설로는 마을회관이 유일하게 있으며, 면사무소나 파출소, 우

취락내의 공공시설로는 마을회관이 유일하게 있으며, 면사무소나 파출소, 우

문서에서 그림 차례 (페이지 99-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