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현장조사와 온라인 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유효 표본 617개를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개인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 다. 둘째, 가설검증을 위한 구조모델 분석에 앞서 측정변수와 잠재변수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Cronbach's Alpha), 내적 일관성 신뢰도 분석 (Cronbach's Alpha, CR), 집중타당도 분석(외부적재치, 측정변수 신뢰도, AVE), 판별타 당도 분석(Fornell-Larcker criteria, HTMT; heterotrait-monotrait ratio)을 실시하 였다. 셋째,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직업가치와 직업선택 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파 악하고자 설계된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하여 PLS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고, 그 룹별 영향관계의 비교를 위하여 다중집단분석(PLS-MGA)을 실시하였다. 넷째, 개인적 특성 에 따른 집단 간 차이분석을 위하여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관광분야 직업선택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 형에 도입된 변수를 이용한 요인분석과 군집분석, 판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사회과학분야에서 널리 통용되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23.0 Version과 최근 구조방정식 분석을 위해서 활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SmartPLS 3.2.8 통 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표3-12> 분석 방법

구분 분석 방법 통계분석 도구

인구통계 특성 및 개인적 특성 빈도분석 SPSS 23.0

측정항목의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측정모델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SPSS 23.0,

SmartPLS 3.2.8 가설 검증

(구조모델 분석) PLS 구조방정식 모형(PLS-SEM) 분석 SmartPLS 3.2.8 매개효과 분석

그룹간 비교 다중집단분석(PLS-MGA) SmartPLS 3.2.8 탐색적 기술분석

(집단 간 비교, 유형 분류, 유형별 특성 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요인분석, 군집분석, 판별분석, 교차분석 SPSS 23.0

제4장. 실증분석

제1절. 표본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 이용된 617명의 응답자에 대한 일반적 특성은 <표4-1>과 같다.

‘성별’ 분포를 보면 남성은 231명으로 37.4%를 차지하였고, 여성이 386명으로 62.6%의 비중을 차지하였다. ‘학교유형’에 있어서는 전문대학생이 205명으로 33.2%를 차지했으며, 4 년제 대학생은 412명으로 66.8%를 차지하였다. ‘학년’에 있어서는 전문대학 2학년이 165명 으로 26.7%를 차지했으며, 전문대학 3학년은 40명으로 6.5%를 차지했다. 이는 3년제 혹 은 4년제 과정이 개설된 전문대학이 많지 않아 3학년 응답자가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4년제 대학의 경우 3학년이 120명으로 19.4%, 4학년이 292명으로 47.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전공분야’에 대해서는 관광경영 관련 전공이 326명, 52.8%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 하였고, 두 번째가 관광개발 관련 전공으로 108명으로 17.5%를 차지했으며 그 다음으로 호 텔 관련 전공이 88명(14.3%), 조리‧외식 관련 전공이 37명(6.0%), 항공 관련 전공이 21 명(3.4%), 카지노 관련 전공이 20명(3.2%)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 소재지’ 분포는 제주지 역이 196명으로 31.8%를 차지했으며, 서울‧수도권 지역이 191명으로 31.0%, 대구‧부산‧

경상권이 145명으로 23.5%, 강원지역이 84명으로 13.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 생들의 ‘출신지역’에 대해서는 서울‧수도권 지역이 227명(36.8%)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 지했고, 그 다음으로 대구‧부산‧경상권이 164명(26.6%), 제주지역이 129명(20.9%), 강 원지역이 44명(7.1%), 광주‧전라지역이 32명(5.2%), 대전‧충청지역이 21명(3.4%) 순으 로 나타났다. 관광 관련 직업 경험과 관련된 실습‧인턴십‧아르바이트 ‘경험 여부’에 있어서는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수가 363명(58.8%)으로 ‘없다’고 응답한 252명(40.8%)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 분야 중 ‘희망하는 취업분야’에 대해서는 항공업이 152명 (24.6%)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 호텔업 등 숙박업이 141명(22.9%), 여행업이 111명(18.0%), 전시컨벤션업이 68명(11.0%), 외식업이 55명(8.9%), 카지노 업이 39명(6.3%) 순으로 나타났다.

<표 4-1> 표본의 일반적 특성

직업가치와 관련된 11개 질문과 관련하여 제시된 가치 항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대 한 응답의 평균을 비교하여 우선순위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내재적 가치로 분류된 ‘적성과 흥미’의 응답 평균이 4.4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근무시간 및 근무환경’ 항목이 4.45, ‘성취감 및 보람’이 4.43 순으로 높게 나타 났다. 그 다음으로는 ‘성장 및 발전가능성’이 4.28, ‘부수적 혜택’이 4.23, ‘인간관계’가 4.13,

‘고용안정성’이 4.08, ‘사회적 지위와 인정’이 3.97, ‘급여 수준’이 3.75, ‘전공과의 연관성’이 3.72, ‘사회적 기여’가 3.60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직업가치 관련 응답을 종합해 보면, 내재적 가치와 관련된 항목의 중요성을 외재 적 가치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조리‧외식관련 전공학생들 의 직업가치관을 분석한 한예정(2014)의 연구와도 부합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내재적 가치 중 ‘전공과의 연관성’과 ‘사회적 기여’ 항목은 11개 항목 중 가장 낮은 순위를 나타내어 관광 관련 전공과 향후 직업과의 부합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서비 스에서 중요시되는 ‘이타심’과 관련된 ‘사회적 기여’의 중요성도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 석되었다. 외재적 가치에서는 ‘근무시간 및 근무환경’과 급여 이외의 복리후생 등 부가적 혜택 을 의미하는 ‘부수적 혜택’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급여수준’ 항목의 중요성은 낮게 나타나 일과 생활의 균형(Work-Life Balance)을 중시하는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 여진다.

<표 4-2> 직업가치 중요도 인식 순위

중요도 순위 직업가치 항목 평균 표준편차 가치 유형

1 적성과 흥미 4.48 .647 내재적 가치

2 근무시간 및 근무환경 4.45 .694 외재적 가치

3 성취감 및 보람 4.43 .668 내재적 가치

4 성장 및 발전가능성 4.28 .668 내재적 가치

5 부수적 혜택 4.23 .743 외재적 가치

6 인간관계 4.13 .793 내재적 가치

7 고용안정성 4.08 .892 외재적 가치

8 사회적 지위와 인정 3.97 .865 외재적 가치

9 급여 수준 3.75 .949 외재적 가치

10 전공과의 연관성 3.72 .960 내재적 가치

11 사회적 기여 3.60 .943 내재적 가치

제2절. 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