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관광전공 대학생의 직업가치와 직업선택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목적과 연구대상의 특 성을 고려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는 주요 변수들의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였다.

1) 직업가치(Work Values)

직업가치에 대한 개념은 연구의 목적과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다르게 제시되고 있는데, 일 반적인 개념으로는 직업 전반에 대한 개인의 태도 혹은 직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보상이나 실 현하고자 하는 목표 등으로 정의된다(Kinnane & Pable, 1962; Judge & Bretz, 1992;

Schwartz, 1999; 안강현ᆞ‧이용환, 1998; 임언, 2006; 신상인, 2015). 또 다른 관점에서 는 직업가치를 직업선택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 혹은 직업선택을 위한 판단의 기준으로 정의하는 연구들도 있다(Zytowski, 1970; Super, 1970; Kalleberg, 1977; Dawis et al., 1991; Jin & Li, 2005; Liang, 2012; 한예정, 2014; 강종수, 2018; 박은솔‧조대 연, 2018).

본 연구는 관광전공 대학생이 직업선택에 있어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준으로서의 직업가치 를 파악하고자 하므로 직업선택을 위한 판단 기준으로서의 기능을 강조하는 연구자의 개념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조작적 정의를 내리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가치를 “직업에 대한 선호도와 직업선택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가치”라고 정의한다.

또한 본 연구의 가설 H1-1과 H1-2에서는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적용한 분류방식에 따라 직 업가치를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로 구분하였으며, Ginzberg(1952), Kalleberg(1977), 김동심‧정수인(2016) 등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두 가지 유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를 내리고자 한다. 우선 내재적 가치(Intrinsic Value)는 “직업 혹은 직무 자체에 대한 의미를 중요시하는 가치로서 개인의 적성과 흥미, 창의성, 성취감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 고, 외재적 가치(Extrinsic Value)는 “직업 혹은 일에 대하여 부수적으로 제공되는 보상이 나 물리적 근무조건과 관련된 가치”로 정의하였다.

본 설문에 사용된 세부 측정항목을 선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사항을 고려하였다.

자료 :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자 작성

2) 태도(Attitude) 인 Fishbein & Ajzen(1975), Ajzen(1991), Perugini & Bagozzi(2001) 등의 선행연 구를 바탕으로 하여 “관광분야의 직업을 선택하는 행동에 대한 주관적 판단의 결과로써 나타

1) 나에게 좋은 일이다. Perugini & Bagozzi(2001, 2004), 송학준·이충기(2010), 게 된다는 것이다(Perugini & Bagozzi, 2001).

주관적 규범이란 특정 행동에 대하여 행동주체가 지각하는 사회적 압력으로써(Fishbein

& Ajzen, 1975), 행동에 대하여 영향력 있는 준거집단이 나타내는 의견을 의미한다.

또한 주관적 규범은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서, 특정 행동에 대한 주변 사람들의 긍정적인 평가를 인식하게 되면, 실제 행동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아진다 고 하였다(Ajzen, 1991; Bagozzi et al., 2002).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규범을 “관광분야 직업을 선택하는 것에 대한 영향력 있는 주변 사람들(가족, 친구 등)의 견해”로 정의하고자 한다.

주관적 규범의 측정은 규범적 신념(Normative beliefs)과 순응 동기(Motivation to comply)로 이루어지는데(Fishbein & Ajzen, 1975; Ajzen & Fishbein, 1980), 규범적 신념은 주변 사람들이 특정 행동에 대해 지지할 것인지 혹은 반대할 것인지에 대하여 지각된

1) 찬성할 것이다. Perugini & Bagozzi(2001, 2004), 송학준·이충기(2010),

4) 지각된 행동 통제(Perceived Behavioral Control)

인간은 돈, 시간, 기회 등과 같은 외적 통제요인과 성격, 기술, 능력 등과 같은 내적 통 제요인으로 인하여 어떠한 행동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고 인식하게 되면, 즉 자신의 통제력 밖에 있다고 지각하면 그 행동을 수행할 확률이 낮아지게 된다고 하였다(Terry &

O’Leary, 1995).

지각된 행동 통제는 개인이 특정 행동을 수행하는 것에 대하여 쉽거나 어렵다고 인식하는

<표 3-5> 지각된 행동 통제(Perceived Behavioral Control)에 대한 측정항목

구분

기대정서란 특정 행동을 수행하기 전에 목표행동의 달성 혹은 실패에 따라 예상되는 감정

<표 3-6> 기대정서(Anticipated Emotion)에 대한 측정항목

(문항수)구분 측정항목 참고문헌

6) 행동의도(Behavioral Intention)

행동이론의 핵심 개념인 행동의도는 특정 행동을 수행하고자 하는 개인의 의사로서 (Ajzen, 1991), 행동이론의 최종 내생잠재변수인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 수이다(Fishbein & Ajzen, 1975). 즉 행동에 대한 의도가 클수록 그 행동의 수행가능성도 커진다는 의미이다(Ajzen, 1991).

행동의도는 특정 행동을 수행하려는 개인의 의지가 반영된 개념이므로, 행동의도를 측정하 면 실제 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관광학이나 소비자행동학 측면에 서 의사결정과정을 연구하는 핵심 목표는 행동의도를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Dolnicar et al., 2014; 이충기 외, 2014에서 재인용). 실제 다수의 선행연구에서는 실제 행동이 아 닌 행동의도를 최종 내생변수로 적용하여 행동을 예측하고 있다(Fishbein & Ajzen, 1975;

Perugini & Bagozzi, 2001).

본 연구에서 행동의도는 “관광분야 직업선택 혹은 취업을 위하여 어느 정도 수준의 노력을 기울이겠다는 개인의 의지”로 정의하고자 한다.

행동의도의 측정과 관련해서 Warshaw & Davis(1985)는 두 가지로 구분하고 있는데 먼 저 ‘행동수행 의향’의 측정은 미래의 어떤 행동에 대한 의지적 표현을 내포하는 형태로 측정되 며, 두 번째로 ‘행동예측’의 측정은 실제로 그런 행동을 수행하는 것이 쉬운지 혹은 어려운지, 얼마나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등을 의미하는 보다 구체적인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이 옥선, 2018).

앞서 제시된 본 연구의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측정항목은 선행연구를 참고 하여 총 4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리커트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 다. (1=전혀 그렇지 않다, 5=매우 그렇다)

<표 3-7> 행동의도(Behavioral Intention)에 대한 측정항목

구분 측정항목 참고문헌

행동의도 (4)

5) 나는 향후 관광분야 직업을 선택할 의향이 있다.

Perugini & Bagozzi(2001, 2004), 송학준·이충기(2010), 박서아(2014), 최서연(2017), 강선아(2018), 김진희(2019) 6) 나는 향후 관광분야 직업을 선택할 계획이 있다.

7) 나는 향후 관광분야 직업선택을 위하여 적극 노력할 것이다.

(스펙쌓기, 입사지원 등)

8) 나는 향후 관광분야 취업을 주변사람들에게 적극 추천할 것 이다.

7) 사전지식(Prior Knowledge)

<표 3-8> 사전지식(Prior Knowledge)에 대한 측정항목

구분 측정항목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