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내 자녀 양육 및 가사 노동 시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통계청 시 간 활용 조사 1999, 2004, 2009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분석의 대 상은 20~59세 “미취학 자녀” 혹은 “초·중·고등학생 자녀”가 있는 기혼 성인 남녀이다. 분석 대상자의 자녀 여부는 통계청이 제공하는 가구원 명 부를 기준으로 확인하였다. 분석 대상의 표본의 특성은 <표 5-1>과 같다.

종속 변수인 “가정 관리” 시간은 통계청 정의에 따라 “음식 준비 및 정 리(S41),” “의류관리(S42)”, “청소 및 정리(S43)”, “집 관리(S44)”, “가정 관리 관련 물품 구입(S45),” “가정 경영(S46)”, “기타 가사일(S49)”을 모 두 합한 하루 평균 시간(분)으로 정의하였다. “자녀보살피기” 시간은 분석 대상이 미취학 자녀뿐만 아니라 취학 자녀를 양육하는 성인까지 포함되 므로 통계청 기준인 “미취학 아이 보살피기(S51),” “초·중·고등학생 보살 피기(S52 )”를 모두 합한 하루 평균 시간(분)으로 정의하였다.

자녀보살피기 시간은 다시 “신체 돌보기,” “공부봐주기 혹은 놀아 주기,” “기타 아동 돌보기”로 세부적으로 구분 하였다. “신체적 돌보 기”에는 미취학 자녀의 경우 “신체적 돌보기(S511)”와 취학 자녀의 경우 “씻기기, 등하교 도와주기(S521)”가 포함된다. “공부봐주기 혹 은 놀아주기”에는 미취학 자녀의 “책 읽어 주기, 놀아주기(S512)”와 취학자녀의 “숙제 및 공부 봐주기(S522)” 와 “선생님과 상담 및 학교 방문(S523)”이 포함된다. “기타 아동 돌보기”는 “기타 미취학 아이 보살피기(S519)”와 “기타 학생 보살피기(S529)”가 포함된다.

기술 분석에서는 1999~2009년 기간 동안 이루어진 전반적인 시간 활

용에서의 변화를 살펴본 후 동 기간 동안 이루어진 가정 관리 시간과 자 녀 돌봄 시간의 변화를 성별, 연령별, 세부 활동 영역별, 시간량 분위별로 비교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기혼 남녀의 가정 관리 시간과 자녀 보살피기 시간의 변화를 서구 복지 국가 레짐을 대표하는 국가인 프랑 스, 네덜란드, 영국, 미국과 비교한다.

본 연구에서는 저출산고령사회 기본 계획을 추진한 이후에 나타난 가 정 관리 시간과 자녀 돌봄 시간의 변화의 내재되어 있는 메카니즘을 심층 분석하기 위하여 2004~2009년 기간 동안 일어난 시간 변화에 대하여 두 가지 심층 분석을 수행하였다18). 첫째, Oaxaca-Blinder 분해 방법론 적 용하여 자녀 돌봄 시간과 가정 관리 시간의 연도별 변화를 구조적인 요인 에 따른 변화와 비구조적인 요인에 따른 변화로 분해함으로써 이러한 시 간 변화를 가져온 주된 요인을 파악하였다. 둘째, 가정 관리 및 자녀 돌봄 시간 사용량 분포에 따라 구조적인과 비구조적인 요인들이 어떠한 차별 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는가 파악하기 위하여 Juhn-Murphy-Pierce(1993) 의 방법론과 무조건분위회귀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시간 사용량 분포에 따른 분석은 Oaxaca-Blinder 분해가 시간량의 평균에서 나타난 변화만을 파악하고 전체 시간 사용량 분포에서 어떠한 변화가 나 타났는지 파악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보완해 줄 수 있다. 주요 분석 결과 는 다음 절에서 논의한다.

18) 통계청 1999년 생활시간조사에서의 사회경제적 변수는 2004년 및 2009년도와는 차이 가 있어 동일한 사회경제적 변수를 독립변수로 사용하는데 제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심 층 분석에서는 저출산ㆍ고령사회 기본계획 추진 이후의 시점인 2004~2009년도 기간 동안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표 5-1〉 분석 대상 표본의 특성

자료: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 2004,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