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이동 수준 국제 비교 <<

1. 분석방법론

가. 직업계층의 구분 방법

5장에서는 세대간 이동성을 진단함에 있어 직업계층의 변화를 살펴볼 것이다. 이는 앞서 선행연구 검토에서 제시하였던 다수의 연구들이 부자(父子) 간의 소득을 이용한 소득탄력성을 통해 세대간 이동성을 제시하였던 것을 극복하고자 하는 목적이다. 이러 한 형태의 계급, 또는 계층 이동성51)에 대한 연구는 이미 여유진 외(2011), 박병영 외

51) 이 연구는 직업 간의 위계를 작업방식과 숙련도에 따라 구분하고, 또한 생산수단의 소유여부와 기술/학 력 자산을 분류의 기준으로 하고 있으므로, 계급(class)이 경제적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는 맑스주의의 입 장과 기술·자격 등에 의해 계층이 구분된다는 베버주의의 입장을 모두 반영하고 있다. 다만, 본 연구에 서는 이를 계층으로 표현하도록 하되, 선행연구 각각에서 ‘계급’, ‘계층’을 구분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그 예를 따라 서술하도록 한다.

(2008)의 연구52)에서 이뤄진 바 있다. 여유진 외(2011)의 연구에서는 계급을 모두 7 개(1: 전문가, 30인 이상 고용주, 2: 준전문가, 공무원, 중간관리자, 3: 화이트칼라, 4:

영세자영업자, 5: 농부, 6: 숙련근로자, 7: 미숙련근로자, 농업근로자)로 구분하였다.

박병영 외(2008)의 연구에서는 서비스계급, 사무직노동자, 쁘띠부르주아, 농민, 숙련 육체노동자, 비숙련육체노동자의 6개 계급으로 구분하였다.

그러나 개별 국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그리고 비교 국가 차원의 연구에서 세대 간 직업계층의 이동성 수준을 진단하는데 있어 고려해야 할 문제가 있다. 경제, 사회구 조의 변화가 직업구조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특히 세계경제는 산업사회에 서 서비스 경제사회로 전환하고 있다. ‘서비스 경제화’란 경제 발전에 따라 생산, 고용 및 소비에서 서비스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그림 5-5]에 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부분의 국가는 서비스 경제사회로의 전환을 경험하고 있다. 도소매·음식·숙박업 등 전통적 서비스업뿐 아니라 정보·금융서비스업에서의 일 자리 등 새로운 서비스 산업도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림 5-5〕 제조업과 서비스업 고용 비율의 변화

자료: 백승호(2015)

52) 이 연구는 2008년 시작하여, 2011년까지 연속적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서비스 경제사회로의 전환은 새로운 중간계급의 출현을 촉진한다. 기업조직에 서 소유와 경영, 관리기능의 분리, 직업 측면에서 전문직 종사자의 등장, 복지국가에서 공공부문 고용의 확대와 여성경제활동의 증가, 중산층의 분화 등에 따른 영향이다(신 광영 2008; Wright 1989; Goldthorpe 2000; Oesch 2006; 백승호 2014, p.64 재 인용). 새로운 중간계급의 등장은 이전의 계급분류, 가장 많이 회자되는 맑스의 계급 갈등이론, 베버의 계급, 지위의 개념을 넘어선다.

새롭게 등장한 중간계층을 구분하기 위한 다양한 직업계층 연구들이 제시된다. 라이 트(Wright 1989)는 새롭게 등장한 중간계급을 ‘모순적 계급’으로 명명하고, 자본가계 급, 쁘띠부르주아, 중간계급, 노동계급으로 구분하였다. 골드소프(Goldthorpe 2000) 는 서비스업 중심사회로의 전환을 강조하면서 새로운 직업계층인 서비스 노동자를 새 롭게 구분하고자 하였다. 또한 에스핑-안데르센(Esping-Andersen 1993), 오에쉬 (Oesch 2006), 스탠딩(Standing 2009) 등은 산업구조 및 고용구조의 변화를 반영하 여 새로운 직업계층 범주를 제시하기도 하였다(백승호 2014, p.64 재인용).

그렇지만 이러한 연구들도 여전히 서비스 경제화로 인한 계층구조 변화를 충분히 반 영하지 못한다. 서비스 경제사회는 저숙련, 고숙련의 수직적 계급 분화뿐 아니라, 수평 적 계급분화가 중간계급들 사이에서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다(신광영 2008, pp.79~80). 이에 오에쉬(Oesch 2006)는 이상과 같은 기존의 계급분류가 가지고 있 는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직업계급 분류를 제안한다. 그는 직업계급을 노동시장에서 의 특정한 상황을 공유하는 직업 집단으로 정의하고, 서비스 경제사회의 가장 큰 특징 인 ‘서비스업의 증가’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증가’라는 노동시장의 변화를 반영하는 직업계급을 포착하기 위한 계급분류를 제시하였다.

오에쉬(2006, pp.64~69)의 분류는 직업계급을 수직적 위계와 수평적 위계로 구분 한다. 수직적 위계는 각 직업에 반영된 숙련수준을 측정하여 적용하는데, 여기에는 ‘시 장가치를 반영하는 숙련(marketable skills)’ 개념이 적용된다. 고용주의 입장을 고려 할 때, 시장친화적 숙련 기술을 가진 이들은 직업을 가지기에도, 인센티브 체계를 통한 생산 극대화에도 용이한 이들이다. 수평적 위계는 비슷한 숙련수준을 가진 직업들에서 작업방식(work logics)의 특성, 일의 진행 과정, 권력관계, 1차적 관심 대상, 숙련 요 건에 따라 직업들을 수평적으로 배열하여 분류한다. 수평적 위계를 분류할 때, 오에쉬 (2006, p.64)는 임금근로자들의 작업방식을 기술적 작업방식, 조직적 작업방식, 대인

적 작업방식으로 구분하고 있는데(표 5-2 참조), 여기에 자영업자를 구분하는 독립적

(Bureaucratic division of labour) 자료: Oesch(2006), Redrawing the class map, p.64

5장에서 직업계층의 분류는 서비스 산업화의 특징을 반영하기 위하여, 오에쉬

(2006, 2008)의 직업계층 구분을 재구성하였다. 재분류 방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

응답자

아버지 전문관리직 준전문관리직 소상공인 숙련직 저숙련직

전문관리직 직업계층유지 ↓↓↓↓↓ ↓↓↓↓↓ ↓↓↓↓↓ ↓↓↓↓↓

준전문관리직 ↑↑↑↑↑ 직업계층유지 ↓↓↓↓↓ ↓↓↓↓↓ ↓↓↓↓↓

소상공인 ↑↑↑↑↑ ↑↑↑↑↑ 직업계층유지 ↓↓↓↓↓ ↓↓↓↓↓

숙련직 ↑↑↑↑↑ ↑↑↑↑↑ ↑↑↑↑↑ 직업계층유지 ↓↓↓↓↓

저숙련직 ↑↑↑↑↑ ↑↑↑↑↑ ↑↑↑↑↑ ↑↑↑↑↑ 직업계층유지

나. 이동의 측정방법

본 분석에서 직업계층 이동은 응답자와 응답자 아버지의 직업계층 교차표를 활용하 여 직업계층이동을 측정한다. <표 5-4>에서 볼 수 있듯이, 아버지 직업보다 응답자 직 업이 왼쪽으로 이동할 경우 계층상승, 변화가 없을 경우 계층유지, 오른쪽으로 이동할 경우 계층하강이다.

〈표 5-4〉 아버지와 자식의 직업 교차표와 계층이동

주: ↓: 계층 하강이동, ↑: 계층 상승이동

주관적 수준에서의 계층 이동은 아버지의 직업과 본인의 직업을 비교한 결과표를 이 용한다. 다만, 이때 모름, 또는 무응답으로 응답한 사례는 제외하고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