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교육성취와 사회이동 <<

3. 교육성취 결정요인

교육성취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설명변수로 부모의 각각의 학력수준과 15세 무렵 주관적 계층수준, 사회적 자본(15세 무렵 친인척 중 의사가 있는 지 여부. 없음=0), 부모의 관심(15세 무렵 부모님이 교과서나 참고서 외에 원하는 책을 자주 사주셨다.

없음=0)을 사용하였으며, 성별(남=0)과 거주지역(비대도시=0)은 통제변수로 사용하였다.

먼저, 부모의 학력의 영향을 보면 전체 표본에서 부의 학력이 대학이상일 경우 학업 성적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고, 모의 학력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년층의 경우 부의 학력이 고졸인 경우와 대학 이상인 경우 학업성적을 높이는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된다. 고졸에 비해 대학 이상의 영향력과 유의성이 더욱 큰 것을 알 수 있다.

주관적 계층수준은 모든 연령집단에서 학업성적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영향의 정도는 젊은 세대일수록 더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계층수준으로 대표되는 가족의 배경이 학업성취도에 더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회적 자본의 여부는 모든 연령계층에 있어서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젊은 세대로 갈수록 그 영향력이 더 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의 학 력의 영향력의 크기가 줄어들거나 유의도가 감소하는 대신에 사회적 자본의 영향력이 더 커지고 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부모의 관심은 청년층을 제외하고 모든 연령대에서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그 영향의 크기는 젊은 세대로 갈수록 작아지고 있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앞서 이론적 배경에서 소개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자녀에 투

입하는 시간이 많아지고, 이는 자녀의 인지능력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연구결과와는 배

제4절 소결 및 정책함의

1. 소결

부모의 학력수준에 따른 자녀의 학업성적과 학력수준의 분포를 보면 전체적인 학력 수준 상승의 경향에도 불구하고 자녀의 학업성취의 상향이동성은 둔화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젊은 세대일수록 학업성취도에 대한 부모의 학력의 영향력이 커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15세 무렵 주관적 사회계층과 부모의 직업과 직장의 경제적 보상수준은 자녀의 학업성취를 어떤 변수로 보느냐에 따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여준다.

자녀의 학업성적으로 측정할 경우 전체적으로 상향이동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자녀의 최종학력수준으로 측정할 경우는 상향이동이 증가하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의무교육의 확대와 높은 대학진학률 등의 경향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해석의 일관성은 다소 떨어진다고 볼 수 있지만 학업성적으로 측정된 교육의 상향이동성이 하락하는 추세는 분명해 보인다.

하위계층에서 학업성적이 우수했던 집단은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그 비율이 줄어들고 있으며, 이들의 노동시장 지위(근로형태)나 근로소득(분위별 분포)에 있어서 상대적인 우위(premium)는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줄어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청년층의 경우 관심집단이 근로소득 최상위 집단(5분위)에 속할 확률은 전체에 비해 낮은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교육이 계층 상향이동의 수단으로 기능하는 정도는 과거에 비해 줄어 들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육성취보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사회이동의 더 중요한 요인으로 작동할 가능성이 클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해진다.

교육성취의 결정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선형회귀분석 결과 부의 학력은 기대만큼 자녀의 학업성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 대학이상의 학력을 가질수록 학업성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그 영향력의 정도는 젊은 세대로 갈수록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신 주관적 계층수준과 사회적 자본은 모든 연령 대에서 유의한 양의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젊은 세대로 갈수록 그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계층수준과 사회적 자본이라는 배경변수가 부모의 학력변수에 우위에 서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부모의 관심과 성별은 유의성이 크지는 않지만 대체로 그 영향력이 줄어들고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