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의약품 정보

투약정보와 관련하여 건강보험데이터베이스에는 급여상한금액이 명시된 약가 이력와 약품의 주성분에 대한 자료가 존재한다. 약가 이력은 국민건강 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0조 2항(약제 요양급여의 결정신청) 과 제 11조 2항(약제 요양급여의 결정)에 따라 한번이라도 급여가 된 적이 있는 의약품의 이력이 누적되어 있는 자료이다. 약가 이력 자료를 통해 보험 약품코드, 품명, 규격, 제조회사명, 투여경로 등 의약품 일반사항과, 급여구 분, 적용개시 및 종료일, 원가보전대상품목 구분 등 급여사항, 약효분류번호, 주성분코드, 항생제세대구분 등 효능·효과와 관련된 사항에 대한 정보를 얻 을 수 있다. 약품 주성분 자료는 주성분코드별로 구성성분 명칭, 함량, 단위 가 상세하게 기록된 테이블로 품목별 자료와 연동하면 해당 품목의 구성성 분에 대한 상세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그림 32)50).

[그림 32] 의약품 급여정보 및 주성분 5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http://www.hira.or.kr/)

나. 환자단위 누적자료 구축

건강보험데이터베이스의 처방상세내역 또는 약국의 진료내역(조제내역) 테 이블을 가공하여, 일정기간 단위로 투약내역이 요약된 환자단위 누적자료를 구축할 수 있다(그림 33). 투약내역에 기초하여 요약할 수 있는 환자단위 지 표는 대상 치료제 신규이용 환자 여부, 대상 치료제를 처방한 의료기관 수, 대상 치료제소지일수 비율, 처방약 사용 중단 여부, 중복조제일수, 신규 또는 변경 치료군, 동반으로 복용하고 있는 치료제 목록(표 43), 약제비 및 본인부 담금, 의약품 선택 및 본인부담제 변동에 따른 환자부담금 시뮬레이션 결과 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림 33] 환자별 투약내역 구축(안)

치료제 분류 ATC 코드 및 명칭 Lipid-lowering drugs C10 lipid modifying agents

Antidepressants N06A antidepressants

Anti-asthmatic drugs R03 drugs for obstructive airway disease Antiglaucoma drugs S01E antiglaucoma preparations and miotics

Anti-osteoporotic drugs

A12A calcium A12CD fluoride

A11CC vitamin D and analogues

M05B drugs affecting bone structure and mieralization G03C estrogens

Anti-parkinsonian drugs N04 anti-parkinson drugs Antipsychotic drugs N05A antipsychotics

Antidiabetic drugs A10 drugs used in diabetes

Anti

hyperten-sives drugs

a. Alpha-blockers C02CA alpha-adrenoreceptor antagonists C02LE alpha-adrenoreceptor antagonists and diuretics b. Thiazide diuretics

C03A low-ceiling diuretics, thiazides C03B low-ceiling diuretics, excl, thiazides

C03E diuretics and potassium-sparing agents in combination c. Beta blocking agents C07 Beta blocking agents

d. CCB C08 calcium channel blockers e. ACE inhibitors C09A ACE inhibitors, plain

C09B ACE inhibitors, combinations f. Angiotensin

receptor antagonists (ARB)

C09C angiotensin II antagonistis, plain C09D angiotensin II antagonistis, combinations

<표 43> 동반복용 치료제 목록

• 신규/변경 치료군: 이전 분기에 조제된 치료제의 치료군 정보에 근거 하여 신규/변경을 정의

• 약제비 본인부담금: 총 약제비 또는 대상 치료제 비용에 전체 환자부 담비율을 적용하여 산출

• 저가약 변경시 예상금액: 동일성분․함량․제형 중 저가약 금액을 적 용하여, 저가약으로 1년 동안 사용한다고 가정할 경우 절감되는 약제 비 및 본인부담금 산출

• 일차기관 이용 시 예상금액: 상급기관 이용한 경우, 1년 동안 일차기 관을 이용한다고 가정할 경우 절감되는 약제비 및 본인부담금 산출 • 동반복용 치료제별 사용 여부: 산정기간 내에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우울증, 천식, 녹내장, 골다공증, 파킨슨, 항정신성 치료제 조제여부로 파악함(표 43)51).

51) Van Wijk, 2005

영역 제공정보 조작적 정의

․ ime dependent MPR(medication possession ratio)로 산출

․ 고혈압/당뇨 적정성 평가의 지표 산출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

제5장 맞춤형 정보 제공 방안

환자별 맞춤형 정보제공 방안 마련의 목적은 만성질환의 관리를 위해 건 강보험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개인별 진료내역을 연계하고 요약하여 제공함 으로써 환자의 자가관리(self-management) 효과를 향상시키고 합병증 발생 등의 건강 악화를 예방하는 데 있다.

미국 및 영국의 사례를 검토한 결과, 진료정보에 기초한 환자별 맞춤형 정 보가 웹(web) 기반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환자의 동의가 있는 경우 의사 및 약사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여 환자와 의료서비스 제공자 간 정보 공유가 가능하였다. 또한 의약품 선택에 따른 환자부담금의 변화 및 절감가능 금액 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도 제공하고 차후 처방 및 조제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환자가 직접 시뮬레이션 결과를 의사나 약사에게 전송하는 시스템이 갖춰져 있었다.

[그림 34] 환자별 맞춤형 정보제공의 틀

본 연구는 고혈압과 당뇨에 있어 대표적인 관리 지표인 약물 치료지속성 (medication adherence)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투약정보 제공 방안 마련 에 집중하였다. WHO 보고서에서는, 만성질환과 같은 장기 치료가 필요한 질환의 관리를 위해서 가능한 모든 자원을 활용하여 치료지속성(adherence) 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을 권고한다(WHO, 2003). 치료지속성을 높이는 것 은 환자 중심의 중재방안(patient-oriented intervention)이며 가장 효과적으로 사회적 부담을 완화시키는 방안이기 때문이다. 질적·양적 조사결과를 분석하여 약물 치료지속성이 질병, 젊은 연령, 과거 치료 실패 경험(discontinuation), 여러 기관 이용, 동반복용약물, 복약빈도, 보험종류, 본인부담금에도 영향을 받는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에 고혈압 및 당뇨 환자가 지속적으로 약물 치료에 참여하는데 있어 플러스 요인은 상승시키고 마이너스 요인은 차단할 수 있는 투약정보 기반 제공방안을 구축하고자 한다.

고혈압 및 당뇨 환자 대상 맞춤형 투약정보 제공은 약물치료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치료과정의 적극적인 참여 계기를 마련하고, 치료지속성을 제고 하는 연계적 과정을 갖추어야 한다. 환자 단위의 진료정보를 구축하고, 주기 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단계별 정보가 누적되도록 하고, 맞춤형 정보이용을 적극 홍보함으로써 만성질환 자가관리의 주요 정보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맞춤형 투약정보의 이용이 약물치료를 지속시키고 향상시키는 계기 (que of action)로 작용할 때 합병증 발생으로 인한 삶의 질 악화 및 사회경 제적 부담 증가의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환자 맞춤형 정보제공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맞춤형 정보제공 의 성과를 평가하고, 대상 만성질환을 확대하며 질환별로 효과적인 질병관리 정보를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제공하는 정보의 양이 많아질수록 환자의 개 인정보보호 문제는 더욱 중요한 사항이 되므로, 이에 대한 보호시스템 및 법․제도적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