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절에서는 KOWEPS(한국복지패널자료) 1~2차년도 자료로써 분석 가능한 보건의 료지표를 선정하여, 해당지표와 관련된 변수값의 연도별 추이를 소득분위10)별․지역 별로 나누어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각 영역별로 최고 건강수준집단과 최 저 건강수준집단을 짝 비교(paired comparison)하여 절대차이(AD, absolute difference) 와 상대차이(RD, relative difference) 지표를 산출하도록 한다11).

1. 보건의료 측정지표의 선정 및 측정도구

보건의료와 관련된 측정지표를 분류하면 아래 표와 같다(한국건강형평성학회, 2007). 측정지표는 대분류로서 건강수준, 건강형태 및 위험요인, 의료서비스에서의 보건의료지표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건강수준 영역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 증, 건강형태 및 위험요인 영역에서 흡연과 음주에서의 지표가 KOWEPS 자료로 분 석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흡연, 음주에서의 보건의료 지표를 중심으로 소득분위별․지역별로 나누어 2개년도의 추이를 살펴보도록 한다.

10) 소득분위는 가처분소득 기준으로 1~5분위로 구분하였다.

11) 건강불평등 측정도구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총불평등 측정도구, 사회집단 간 불평등 측정도구, 인 구집단에 대한 영향 측정도구, 평균 불비례 정도 측정도구 등 다양하다. 이 중 어떤 측정도구를 선 택할 것인가의 문제는 정책 목적과 자료의 성격에 따라 달라진다. 사회집단 간 건강수준이 KOWEPS가 구축된 2개년도 사이에 어떠한 추이를 보이는지 개략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본 절의 1 차적 목적이므로, 여기에서는 건강수준의 크기를 비교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인 짝 비교를 통해 절대차이(AD) 및 상대차이(RD) 지표를 산출할 것이다.

〈표 4-1〉 건강 형평성 지표의 분류

가. 주관적 건강상태에서의 보건의료지표 산출방식

주관적 건강상태(Self-rated health)는 조사시점의 전년도 12월 31일 기준 건강상태 를 5점 척도로 조사한 문항을 통해 가구주, 가구원 전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세부적으로 소득분위별, 지역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변수처리의 경우 해당변수를 리코딩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은 것으로 해석되도록 하였다. 그 산식은 다음과 같다.

주관적 건강상태점수=

Mean (5-h01

med2) 또는

Mean (5-h02

med2)

나. 우울증에서의 보건의료지표 산출방식

우울증(Depression)은 각 년도 조사시점(2006년 11월 1일~12월 31일, 2007년 4월 24 일~7월 20일) 전 1주일 동안을 기준으로 우울감의 정도를 4점 척도로 조사한 11문 항을 통해 가구주, 가구원 전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세부적으로 소득분위별, 지역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변수처리12)의 경우 해당변수를 리코딩하여 점수가 높 을수록 우울증이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하였다. 그 산식은 다음과 같다.

1차년도 우울점수=[ (p01059-1)+(4-p010510)+(p010511-1)+(p010512-1) +(p010513-1)+(p010514-1)+(4-p010515)+(p010516-1)+(p010517-1) +(p010518-1)+(p010519-1)]× 20

11

2차년도 우울점수=[ (p02059-1)+(4-p020510)+(p020511-1)+(p020512-1) +(p020513-1)+(p020514-1)+(4-p020515)+(p020516-1)+(p020517-1) +(p020518-1)+(p020519-1)]× 20

11

12) 한국복지패널에서는 우울감 척도로 CES-D(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역학연구용 우울척도)를 사용하고 있다. 척도는 0~3점 척도, 20문항으로 구성되며, 우울증 판별을 위한 분할 점수(cutoff point)는 16점이다. 그런데 복지패널조사표 문항에는 1~4점 척도, 11 문항으로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1~4점에 걸친 변수값을 0~3점으로 처리하고, 긍정적인 감정을 측 정하는 2문항(비교적 잘 지냈다(p0105_10, p0205_10)와 불만없이 생활했다(p0105_15, p0205_15))은 역으로 점수화하였다. 또한 총점에 20/11을 곱한 것은, 11문항의 총점(33점)을 20문항일 때의 총점 (60점)으로 환산한 것이다.

또한 우울증을 측정하는 문항의 신뢰도를 알 수 있는 표준화된 크론바흐 알파 (Cronbach‘s α) 값은 1차년도 자료의 경우 0.85, 2차년도 자료의 경우 0.84로 나타나 문항의 내적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13)되었다.

다. 흡연에서의 보건의료지표 산출방식

흡연율(Smoking rate)은 조사시점의 전년도 1년간 평균적인 흡연량을 5점 척도로 조사한 문항14)을 통해 가구주, 가구원 전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세부적으로 소득분위별, 지역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한편 흡연율은 통상적인 국제비교에서 15세 이상 남녀인구의 흡연자 비율을 말한 다. 그런데 통계청에서는 20세 이상 남녀인구의 흡연자 비율을 통계치로 발표하고 있다(통계청, 2008 국제통계연감, p479). 따라서 통계청과 비교를 위해 20세 이상 인 구에서의 흡연율을 구하였다.

변수처리의 경우 해당변수에 1~4점으로 응답한 경우는 흡연, 5점으로 응답한 경우 는 비흡연으로 구분하여 흡연여부를 더미처리하였다. 그 산식은 다음과 같다.

흡연율 = 흡연인구

20세이상인구×100 ( 1≤p0105

1 또는 p0205 1≤4이면 흡연)

라. 음주에서의 보건의료지표 산출방식

음주율은 조사시점의 전년도 1년간 평균적인 음주횟수를 4점 척도로 조사한 문 항15)을 통해 가구주, 가구원 전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음주하는 경우 평균 음주량 (음주시 마시는 술잔 횟수)도 함께 살펴보았다. 그리고 세부적으로 소득분위별, 지역 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음주율 또한 흡연율과 마찬가지로 통계청과 비교를 위해

13) 일반적으로 사회과학연구에서 0.7 이상이면 신뢰도가 있다고 본다.

14) “1년간 평균적으로 귀하는 흡연을 얼마나 하셨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하루에 반갑 이내”면 1,

“하루에 한갑 이내”면 2, “하루에 두갑 이내”면 3, “하루에 두갑 이상”이면 4, “전혀 흡연하지 않 는다”면 5로 응답하는 문항임.

15) “1년간 평균적으로 귀하는 술을 얼마나 자주 마셨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주 1회 이하”면 1,

“주 2~3회”면 2, “주 4회 이상”이면 3, “전혀 마시지 않는다”면 4로 응답하는 문항임.

20세 이상 인구에서의 음주율을 구하였다.

변수처리의 경우 해당변수에 1~3점으로 응답한 경우는 음주, 4점으로 응답한 경우 는 비음주로 구분하여 음주여부를 더미처리하였다. 그 산식은 다음과 같다.

음주율 = 음주인구

20세이상인구 ×100 ( 1≤p0105 2 또는 p02052≤3이면 음주)

2. 보건의료지표 측정결과와 추이

가. 주관적 건강상태

첫째, 소득5분위별 주관적 건강상태는 아래 표와 같다. 먼저 가구주의 주관적 건 강상태는 2005년 평균 2.55점(4점 만점), 2006년 평균 2.43점이었다. 소득분위별로 살 펴보면, 2005년의 경우 1분위~5분위 순으로 1.73점, 2.51점, 2.81점, 2.96점, 3.07점이 었다. 2006년의 경우 1분위~5분위 순으로 1.75점, 2.44점, 2.68점, 2.76점, 2.84점이었 다. 이처럼 가구주의 건강상태 점수는 소득분위가 높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비교해 볼 때, 2006년 가구주의 주관적 건강상태 점수는 2005년에 비해 전체적으로 0.12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분위별로도 1분위를 제외하고 평균적으로 약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4-2〉 소득5분위별 주관적 건강상태(가구주)

(단위: 점)

구분 전체 1분위 2분위 3분위 4분위 5분위

2005 평균 2.55 1.73 2.51 2.81 2.96 3.07

표준오차 0.01 0.02 0.03 0.03 0.03 0.03

2006 평균 2.43 1.75 2.44 2.68 2.76 2.84

표준오차 0.01 0.02 0.03 0.03 0.03 0.03

주: 점수는 건강이 아주 안좋다(0점)~아주 건강하다(4점)임.

자료: KOWEPS 1~2차년도 원자료.

다음으로 전체 가구원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2005년 평균 2.80점(4점 만점), 2006년 평균 2.68점이었다. 소득분위별로 살펴보면, 2005년의 경우 1분위~5분위 순으로 2.12 점, 2.75점, 2.91점, 3.07점, 5분위 3.13점이었다. 2006년의 경우도 2005년과 마찬가지 로 가구원의 건강상태 점수는 소득분위가 높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비교해 볼 때, 가구원의 주관적 건강상태 점수는 2005년에 비해 전체적 으로 0.12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분위별로도 모든 분위에서 평균적으로 약 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4-3〉 소득5분위별 주관적 건강상태(가구원 전체)

(단위: 점)

구분 전체 1분위 2분위 3분위 4분위 5분위

2005 평균 2.80 2.12 2.75 2.91 3.07 3.13

표준오차 0.01 0.02 0.02 0.02 0.02 0.02

2006 평균 2.68 2.09 2.66 2.80 2.91 2.94

표준오차 0.01 0.02 0.02 0.02 0.02 0.02

주: 점수는 건강이 아주 안좋다(0점)~아주 건강하다(4점)임.

자료: KOWEPS 1~2차년도 원자료.

둘째, 지역별 주관적 건강상태는 아래 표와 같다. 먼저 가구주의 주관적 건강상태 는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순으로 2005년 2.58점, 2.60점, 2.11점이었다. 2006년의 경우 2.43점, 2.48점, 2.16점이었다. 이처럼 가구주의 주관적 건강상태 점수는 중소도 시, 대도시, 농어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도별로 비교해 볼 때, 2006년 가구주의 주관적 건강상태 점수는 농어촌 지역을 제외하고 평균적으로 약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4-4〉 지역별 주관적 건강상태(가구주)

(단위: 점)

구분 전체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2005 평균 2.55 2.58 2.60 2.11

표준오차 0.01 0.02 0.02 0.03

2006 평균 2.43 2.43 2.48 2.16

표준오차 0.01 0.02 0.02 0.03

주: 점수는 건강이 아주 안좋다(0점)~아주 건강하다(4점)임.

자료: KOWEPS 1~2차년도 원자료.

다음으로 전체 가구원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순으로 2.83 점, 2.82점, 2.44점이었다. 2006년의 경우 2.67점, 2.72점, 2.46점이었다. 가구원의 주관 적 건강상태 점수는 높은 순서대로 2005년에는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순, 2006년 에는 중소도시, 대도시, 농어촌 순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비교해 볼 때, 2006년 가구원의 주관적 건강상태 점수는 농어촌 지역을 제외하고 평균적으로 약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4-5〉 지역별 주관적 건강상태(가구원 전체)

(단위: 점)

구분 전체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2005 평균 2.80 2.83 2.82 2.44

표준오차 0.01 0.01 0.01 0.02

2006 평균 2.68 2.67 2.72 2.46

표준오차 0.01 0.01 0.01 0.02

주: 점수는 건강이 아주 안좋다(0점)~아주 건강하다(4점)임.

자료: KOWEPS 1~2차년도 원자료.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주관적 건강상태에서의 보건의료지표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표와 같이 절대차이와 상대차이는 2005년과 비교할 때 2006년에는 다소 개선 된 것으로 나타났다.

〈표 4-6〉 주관적 건강상태에서의 보건의료지표

(단위: 점, 비율비) 구분

가구주 가구원 전체

소득분위집단 간 지역집단 간 소득분위집단 간 지역집단 간

AD RD AD RD AD RD AD RD

2005 -1.34 0.56 -0.49 0.81 -1.01 0.68 -0.38 0.87

2006 -1.09 0.62 -0.32 0.87 -0.85 0.71 -0.26 0.90

주: 점수는 건강이 아주 안좋다(0점)~아주 건강하다(4점)임.

자료: KOWEPS 1~2차년도 원자료.

가구주의 경우 소득분위집단 간 주관적 건강상태의 추이, 절대차이 및 상대차이를

나. 우울증에서의 보건의료지표

첫째, 소득5분위별 우울점수는 아래 표와 같다. 먼저 가구주의 우울점수는 2006년 평균 9.33점(60점 만점), 2007년 평균 8.76점이었다. 소득분위별로 살펴보면, 2005년 의 경우 1분위~5분위 순으로 15.55점, 9.54점, 7.53점, 6.51점, 5.15점이었다. 2007년의 경우 1분위~5분위 순으로 14.27점, 8.86점, 7.17점, 5.98점, 5.10점이었다. 이처럼 가구

첫째, 소득5분위별 우울점수는 아래 표와 같다. 먼저 가구주의 우울점수는 2006년 평균 9.33점(60점 만점), 2007년 평균 8.76점이었다. 소득분위별로 살펴보면, 2005년 의 경우 1분위~5분위 순으로 15.55점, 9.54점, 7.53점, 6.51점, 5.15점이었다. 2007년의 경우 1분위~5분위 순으로 14.27점, 8.86점, 7.17점, 5.98점, 5.10점이었다. 이처럼 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