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촌지역의 사회적 자본의 존재 양태분석

문서에서 2003년도 연구결과 요약집 (페이지 133-137)

연 구 자:정기환

연구기간:2003. 1 ∼ 2003. 11

1. 연구의 목적

이 연구는 농촌지역사회가 지니고 있는 사회자본의 존재 양태를 파악 하여 사회자본의 역할과 기능을 연구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하고 나아가 사회자본을 농촌 지역 활성화 정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정책화 방안을 구상하는 데 목적이 있다.

2. 연구개발 내용

이 연구는 3개년의 기간에 수행될 과제인 “농촌지역의 사회자본과 지 역사회 발전에 관한 연구”의 1차 연도 연구에 해당한다. 주요 연구 내 용은 다음과 같다.

① 사회자본의 개념과 역할에 대한 이론적 고찰 ② 농촌 지역의 사회자본 분석 틀

③ 농촌 지역 사회집단 구성원 간의 사회자본 형성 메커니즘

◦ 농촌 지역사회의 사회조직과 집단의 조직 형태와 운영 메커니즘 ◦ 농촌 지역사회에서 사회자본의 형성 메커니즘

④ 농촌 지역의 사회자본 존재 양태

이 연구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사회자본의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 토하고 농촌 지역사회에서 측정 가능하도록 사회자본을 재 개념화하였 으며 이와 같은 개념에 입각해서 4개 마을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사 회자본의 존재 행태와 작동 메커니즘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3. 연구결과

가) 사회집단의 개념

사회집단의 연구는 구미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지만 개념이 혼란스 럽고 사회자본의 측정 기법이 아직 미비한 상태에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사회자본의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고자 하였으며 측정 가능한 지표를 설정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회자본이란 지역사회의 사회집단 또는 사회구조 속에 존재하면서 사회적 관계를 통하여 집단에 속한 개별 구성원이나 집단이 추구하는 이익이나 목표달성을 촉진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보다 구 체적으로 이 능력은 사회집단 속의 구성원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행 하는 사회적 교환, 협동, 경쟁, 갈등을 말한다.

나) 농촌 마을 지역사회의 사회집단 구조와 변화

농촌 마을 지역사회의 사회집단은 지연집단, 혈연집단, 이익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자생적, 비자생적 사회집단으로 구분된다.

농촌마을이라는 지역사회에는 지연집단과 함께 혈연집단인 문중 조직이 있으며 이들 조직 속에 많은 이익집단이 상호 연결되면서 중층적으로 구조화되어 있다.

1986 2002년에 사회집단은 76개에서 41개로 무려 46.1%가 감소했다.

이 중 가장 감소율이 높은 사회집단은 이익집단으로 경제적 이익집단은 91.1%, 사회적 이익집단은 45.5% 감소하였다. 농촌 마을 지역사회에서 경제적 이익집단이 크게 감소한 것은 농촌 지역의 경제활동 쇠퇴와 연 관되어 나타나는 결과로 보인다.

다) 사회자본의 존재 양태와 작동 메커니즘

사회자본은 사회적 관계 속에 존재하게 되므로 농촌 지역의 사회자본 은 주로 사회집단 속에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국의 농촌지

역사회 속에는 지연집단, 혈연집단, 이익집단이 중층적으로 구조화되어

농촌지역의 사회집단 감소는 곧 사회자본의 축소 및 약화로 나타나 농 촌 지역사회의 활력 감소를 초래한다. 따라서 정부 정책 도입 시 농촌 지역의 사회집단 감소나 사회자본 축소를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신중한 접근이 요망된다.

농촌 지역사회의 변화 동향과 전망:인구구조의

문서에서 2003년도 연구결과 요약집 (페이지 133-13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