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Ⅳ. 한국교회의 노인복지사업 실천 개선방안

2. 기독교 교단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성 제고

앞장의 3개의 사례분석에서 모두 자체교회의 재정 부족과 인력 부족의 문제점이 우선적으로 제시되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 교회 에 주어진 환경을 최대한으로 이용해야 할 것이다. 즉 그 교회가 소속돼 있는 교단의 조직과 체계를 이용할 것이요, 그 지역사회의 모든 유관기관 들을 통해 유익함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

1) 부족한 인적, 재정적 자원을 소속된 교단의 조직과 체계를 통해서 충당할 수 있어야 한다.

교단의 입장에서도 교단내의 각 체계가 담당해야 할 역할과 기능이 명 확하게 설정될 때 효율적이고 기능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 독교대한감리회 전체가 통합적이고 일원적인 조직으로 체계화되고 각 체 계간 유기적 관계를 갖고 역할 분담이 이루어져야 노인복지선교 활동의 자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노인복지선교의 전문화와 체계화를 기대 할 수 있다. 한국 기독교 교단 중에서 기독교대한감리회의 조직을 예(例) 로 들면 다음의 <표 6-1>과 같다.

<표 6-1> 기독교대한감리회 조직표

연회명(年會名) 지방(地方)수 교회수 교인수

서울연회 13개 지방 346 234,387

서울남연회 14개 지방 364 225,275

중부연회 27개 지방 818 304,260

경기연회 41개 지방 1,093 199,754

동부연회 22개 지방 569 98,282

충북연회 12개 지방 319 51,372

남부연회 16개 지방 424 90,102

충청연회 20개 지방 521 90,124

삼남연회 21개 지방 521 69,046

총9개 연회 총186개 지방 총4,975 1,362,602

*자료 : 기독교대한감리회 본부 선교국 국내선교부, 1999. 12. 31 기준 , “2000년 기독교대한감리회 통계자료“, p.3.

*2000년11월 현재,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교인은 모두 약 140만 명으로 합산되고 있다.

현재까지 기독교대한감리회는 <표 6-1>에 제시된 교단의 조직을 사 회복지선교, 그 중에서도 노인복지선교를 위해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교단내의 각 체계의 사회복지선교적 기능과 역할의 구분이 제대로 확립되어 있지 못하다. 현재는 감리회 전체의 통합적인 기획과 전망하에 각 체계별로 고유의 사회복지선교활동이 이루어지기보다는 개체 교회 중 심의 산발적이고 비경제적인 사회복지선교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 다. 앞으로는 감리교단 차원에서 한국 정부의 행정당국들에 더욱 접근하 여 한국의 지역사회들에 노인복지사업을 전개하는데 더욱 좋은 여건들을 확보해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교단의 내부적으로는 노인복지선교를 위해 인적자원과 물적자원이 필요한 교회들에게 연회의 차원과 지방회의 차원 에서 적절히 지원해 줌으로써, 각 지역별로, 각 교회별로 노인복지선교가 발전돼나가도록 힘써야 하겠다.

기독교대한감리회 전체 구조를 인간의 몸에 비유한다면, 본부는 머리 부분인 동시에 전체 감리교회를 대표하고, 9개 연회(年會)는 몸의 조직 전 체를 연결하고 유지하는 뼈와 골격의 성격을 갖는다. 그리고 186개 지방 회(地方會)는 몸의 허리와 몸통과 같은 중간체계이다. 개체교회는 몸의 세 포와 같은 속성을 지닌 감리교단의 가장 기초들이 되는 체계이다. 개체 교회에서 창의적이고 생명력 있는 프로그램이 실시될 때, 이와 연관하여 중간체계(연회나 지방회)나 상위체계의 기능이 활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는, 개체교회가 지역사회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면서 노인복 지선교 프로그램을 계획세우고 실천해 가려고 하는가가 교단 차원의 노인 복지사업에도 중요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앞장의 세 사례조사연구의 대상이 되었던 교회들이 모두 감리회 본부와

노인복지를 향한 협력관계를 잘 맺어나감으로 허가관청으로부터 주간노인 복지시설 운영권 위탁을 받는 일, 재가노인복지시설(가정봉사원파견시설) 로 설치신고를 필하는 일 등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었던 사례들이다.

2) 교회가 위치한 지역사회의 모든 유관(有關)기관들과 연계성을 더욱 활용해 나가야 한다.

노인복지선교를 가능하면 한 개체교회 중심으로 실천해 나가면 좋고, 그렇지 못할 경우 교회연합(2∼5개) 혹은 10개의 교회가 연합체를 이루어 협력하면서 노인복지사업을 전개해 나가는 것도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앞장의 사례에 있어서 강화미금교회가 바로 그런 효과를 얻고 있는 교회 이다. 재가노인복지시설 설치 신고를 강화군청에 접수할 때에도 이웃의 내가교회와 협력하여 하였고, 도시락배달사업을 위해 도시락을 만드는 일 도 이웃 교회 교인들의 협력으로 가능케 된 일이다. 또 노인들을 위한 목 욕봉사 사업도, 인근의 해병부대의 자원봉사 군인들의 계속적인 협력으로 가능한 일이 된 것이다. 사례연구 대상이었던 3개 교회 모두 인근의 병원 들과 돈독한 연계를 맺고, 정기적으로 노인들에게 무료 진료를 해드리는 것은 효과적이고 계속적인 노인복지실천을 위해 매우 소중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교회가 효율적인 지역사회 노인복지선교를 하려면 지역 내 기관이나 시설과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확립하고 상호협력 하에 기능적으로 역할을 분담하고 공동으로 지역사회를 위한 활동을 전개해 나가려는 사명감과 끈 임 없는 시도가 있어야 한다.

3) 다각적인 홍보정책을 써서 지역주민의 인식을 선도해야 한다.

그 지역의 동회나 구청이나 시청에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상호 노인 복지프로그램 추진을 협력하여 나가므로 관계 관청과 항상 좋은 유대관계 를 유지해 나갈 필요가 있다.

중앙 매스컴이나 지역 매스컴을 지혜롭게 활용하여, 그 지역 주민들뿐

아니라, 전국민을 향해서 ‘이 노인복지시설이 참으로 노인들을 잘 돌보고 있다’는 것을 알릴 필요가 있다. 주간노인보호시설이나 단기노인보호시설 도 홍보가 필요하지만 특별히 자원봉사자 요원이 더욱 필요한 다음의 사 업들을 원활히 발전시키기 위해 이런 홍보를 하면 좋을 것이다.

첫째 가정봉사원파견사업에 참여하여, 외출하기 힘든 노인들을 돌보는 일이 매우 귀중한 일이라는 것을 매스컴을 통해 적극 홍보하여 가정봉사 원들을 많이 확보해 나가야 하며, 둘째 도시락배달봉사사업의 부족한 배 달 자원봉사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매스컴을 통한 홍보가 필요하 다. 마지막으로 생활지원사업에 있어서는 고등학생 이상 대학생들에게도 홍보하여 봉사인원을 더 많이 조달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기독교의 모든 교단에 해당 노인복지시설이 좋게 인식되도록, 교계 신 문과 기독교 방송국을 통해 홍보하면 좋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