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국내 바이오클러스터 현황 분석

1. 기존 문헌 고찰

산업정책으로서의 클러스터 개념은 멀게는 알프레드 마샬(Alfred Marshall)부터 가깝게는 마이클 포터(Michael Porter)까지 거슬러 올라 간다. 이들은 상호 의존관계가 매우 큰 기업들이 한 곳에 집중해 있음으 로 해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바이오클러스터 란 바이오 관련 전후방의 다양한 기업 또는 기관들이 집적하여 하나의 가 치사슬로 연결되고, 상호 작용·협력하는 지리적 집중체를 일컫는다할 수 있다. 그 동안 많은 연구자들이 클러스터의 성공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는 데 Tavassoli and Tsagdis(2013)는 클러스터의 성공 요인(15개 지표) 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지표 정의 출처

Klofsten & Jones-Evans (1996)

Klofsten & Jones-Evans (1996)

Etzkowitz & Klofsten(2005), SŐlvell(2008)

Lundequist & Power(2002), Lyons(2000), SŐlvell(2008)

Adams(2005), Harrison et al.

(2004), Klofsten et al.(1999), Raines(2000)

Borras & Tsagdis(2008), Parker(2010), Weil(2009)

Adams(2005), Bramwell et al.

(2010), Link & Scott(2003),

지표 정의 출처

Benner(2003), Brenner &

Schlump(2011), Klepper

2. 국내 주요 바이오클러스터 현황 가. 국내 바이오산업 R&D분야 육성 과정

대한민국 정부 차원의 생명공학육성은 1982년 과학기술부에서 생명공 학을 핵심전략 기술로 선정하여 특정연구개발사업으로 지원을 시작하면 서부터이다.

1983년 제정된 생명공학육성법을 기반으로, 1994년 제1차 생명공학 육성기본계획(Biotech 2000)을 수립하면서 범국가적인 정책을 조율하 고 R&D 투자를 대폭적으로 확대하기 시작하였다.

2000년 이후 다양한 정부 부처의 생명공학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2004년 생명공학분야(바이오신약, 장기)를 차세대성장동력 산업의 하나 로 선정하였으며, 2006년 범부처 종합계획인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 계획(Bio-Visoin 2016)”을 수립, 2008년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산하 BT 위원회 운영, 2012년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2단계 기획을 추진하 는 등 BT가 미래 국가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육성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2013년 새정부 출범과 함께 미래창조과학부가 신설되었고, 소관영역 이 확대됨에 따라 BT분야 사업화를 위한 기초연구부터 연계된 전주기 차 원의 지원 전략을 수립하고 범부처 차원의 연구개발 프로그램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4).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제시하는 BT 주요 세부분야(신약개발, 줄기세포, 뇌연구, 유전체, 차세대 의료기반)별로 중점적으로 투자하게 될 분야는

<표 4-4>와 같다.

구분 중점 투자분야

신약개발

혁신신약 개발을 위해 기초연구부터 임상단계까지 단절없는 R&D 연계 시 스템 구축

신약개발 역량+(유전체/줄기세포/뇌연구) ⇒ 신영역(심혈관질환 치료제 등) 개척

복제약·개량신약 등 특허만료제품 기술개발 지원

줄기세포

기 개발된 성체줄기세포 치료제 효능강화 지원

희귀난치질환 세포치료제/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지원

신기술분야 중장기 원천기술 확보(유도만능줄기세포, 직접교차분화기술 등) 를 위한 선도연구팀 육성

〔그림 4-3〕 한국의 바이오 R&D 정책수립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4 한국 바이오의 현황 및 소개, p.17

〈표 4-4〉 BT 주요 세부분야별 투자분야

구분 중점 투자분야

뇌연구

‘치매 예측 뇌지도 구축’및 조기진단 서비스 등 사회 이슈 적극 대응기술 개발

뇌연구 4대분야(뇌질환, 뇌신경생물, 뇌인지, 뇌공학)별 요소기술개발 (맞춤형 뇌질환 치료, 신경재활 뇌자극기, 학습능력 최적화 기술 등)

한국뇌연구원을 통한 생애 주기(유아-청소년-청년-노년기) 뇌손상 극복 융합연구 지원

유전체

질병 조기 진단 및 개별 환자의 특성에 맞는 치료(맞춤의료) 구현에 필요한

‘개인 유전체 정보 분석’기술 등 개발

*‘포스트게놈 신산업 육성을 위한 다부처 유전체 사업’과 연계하여 추진 차세대

의료기반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기기진단 헬스케어 시스템 원천기술 발굴·개발

생체진단 바이오칩, 분자영상 진단기기, 의료용 로봇 등의 원천기술 개발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2014), 한국 바이오의 현황 및 소개, p.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