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교육과정을 통해 본 문법

2. 문법 과목의 성격과 특성

2.1. 교육과정을 통해 본 문법

7차 교육과정에서의 ‘문법’은 국민 공통 기본 ‘국어’교과의 ‘국어 지 식’영역의 학습 내용을 심화, 발전시킨 선택과목으로 언어의 본질과 국어의 구조와 체계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익히고, 우리말을 정확 하게 사용하는 능력과 국어를 사랑하고 민족어인 국어를 아끼고 가 꾸어 나가는 태도를 기르는 과목이다. 이러한 문법과목의 목표는 국 어에 대한 탐구 과정을 통한 통찰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언어와 국어의 문화적 가치 및 국어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갖추 고, 국어를 올바르게 사용하여 국어의 발전에 기여하는 태도를 지니 게 하는 것으로서 이를 세분화하면 다음과 같다.

가. 언어와 국어의 문화적 가치를 이해한다.

제6차 교육 과정 제7차 교육 과정 비 고

적으로 시행되어 오던 통사론 위주의 교육 내용에서 벗어나 ‘의미’

단원이 포함되면서 문법이라는 용어의 개념을 국어에 관한 전반적 인 내용으로 확대하였다는 점과 단순히 암기식 교육 방법을 지양했 다는 점 등에서 제5차에 비해 상당히 진보를 이루었다고 볼 수 있 다. 그러나 제7차 문법 교육 과정은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어휘’ 단원도 포함하는 등 제6차의 내용을 발전적으로 계승하면서 이 과목의 교육적 가치를 적극적으로 부각하는 방향으로 구체화되 었다.

제7차 교육 과정에서 두드러지게 변화된 부분은 첫째, 국어의 문화 적 가치에 대하여 학습하는 내용이 확충되었다는 점과 둘째, 문법 단위를 담화 차원까지 확대하여 전체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하 는 동시에 이것을 실제 언어 생활에 구체적으로 적용해 보도록 구 안되었다는 점이다. 이것은 곧 국어를 탐구하여 획득된 지식이 단편 적인 지식으로만 그치지 않고 실제 언어 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지 식이 되어야 함을 강조한 것으로서, ‘국어 알기’영역과 ‘국어 가꾸기’

영역의 유기적 연관성을 염두에 둔 것이라 볼 수 있다. 셋째, 국어 지식을 탐구하고 적용하여 보는 과정을 통해 국어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제7차 문법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가장 큰 변화는 ‘국어 가꾸 기’라는 영역이 새롭게 도입되었다는 것이다. ‘언어와 국어, 국어 알 기’의 두 영역은 모두 지식을 탐구하는 과정임에 비해 ‘국어 가꾸기’

는 앞에서 탐구한 지식을 바탕으로 국어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국어

제7차 교육 과정에서 발견되는 교수․학습 방법상의 특징은 단순 히 개념 설명과 암기 위주의 교수․학습이 아닌 학생중심의 교수․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문법’과목에서의 강조점 은 지식을 단순 암기하는 방법을 지양하고 학습자의 참여를 강조한 탐구 학습으로, 학습자들이 국어를 더 잘 이해하고 논리적 사고력과 국어 문제의 해결을 위한 통찰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 것이다.

종래 학교 문법에서 기술해 놓은 규범적 개념을 단순히 학습하고 암기하는 활동보다는 그 자체를 다양한 국어 탐구의 대상으로 전환 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는 즐거움, 발견의 즐거움을 맛볼 수 있게 해 주는 방향으로 교수․학습의 전략을 세우고, 모든 교수․학습 활 동은 인위적인 용례가 아닌 실제 문장, 유명 작품, 신문 기사, 방송 대본 등 실제 언어 장면에 나타난 생생한 사례를 가지고 흥미로운 탐구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했다. 아울러 문장의 분석에 중점을 두기 보다는 문장을 생산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직접 작문을 하거나 작 문한 문장을 고치는 활동을 통해서 문법 과목의 여러 내용이 자연 스럽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