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교과서를 통해 본 문법

2. 문법 과목의 성격과 특성

2.2. 교과서를 통해 본 문법

우리가 ‘국어’ 과목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는 여러 가지이 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 우리말로 활동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그 하나이며, 다른 하나는 우리말로 된 문학 작품들의 예술적 가치를 감상하고 그 언어 문화적 가치에 대하여 아는 것이다.

또한 이와 더불어 국어 과목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가 하 나 더 있는데, 이는 바로 우리말을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우 리말을 사랑하는 마음과 우리말을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기르는 것 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다루는 것이 바로 제7차 교육 과 정에서의 ‘국어지식’, 이를 좀더 심화 발전시킨 ‘문법’4)이다.

문법 교과서에는 국어를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인 ‘음운’에서부터 가장 큰 단위인 ‘이야기’에 이르기까지 국어에 관한 제반 사항들이 골고루 포함되어 있다. 즉, 문법 과목은 국어 활동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국어 지식을 전반적으로 탐구하고, 국어에 관한 바람직한 태 도를 기르며, 국어 사용자라면 누구나 알아야 할 언어 규범 대하여 학습하는 내용들로 구성된다. 이는 제 6차 교육과정 기간인 지난 5 년 동안에 제기된 국어 지식 교육에 대한 반성을 수렴하고, 그 동안 의 발전적 연구 성과를 참고하여 보완된 것이다.

제 5차에서 제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편찬된 문법 교과서의 체계를 중심으로 그간의 발전 과정을 비교해 보면 다음 표와 같다.

4) 이 과목의 명칭이 문법이라고 되어 있지만, 여기서 다루는 내용은 일반적으로 논의되는 ‘문법(grammar)'에 한정되지 않는다. ‘문법’이라는 용어는 상당히 폭넓 은 의미로서 ‘문장을 구성하는 법칙’ 외에 ‘언어를 운용하는 데 필요한 여러 가 지 원리’라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차 례 제 5차(1991년) 제 6차(1996년) 제 7차(2002년)

차 례 제5차(1991년) 제6차(1996년) 제7차(2002년)

모든 내용 범주를 포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준비 학습’은 단원의 학습 방향과 내용에 대한 문제 의식과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도록, 실제 언어 자료를 제시하여 ‘단원을 배우기 전에’를 구성하였다.

특히 오늘날의 다양한 언어 자료5)를 많이 제시하여 학습자의 생활 문화에서 탐구 활동의 동기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중단원 학 습’에서는 학습자 활동 중심의 탐구 학습을 원칙으로 하여, ‘학습 목 표-기초 학습-탐구 활동-가꾸기 활동’의 순으로 구성되었다. 중단원 학습을 통하여 도달하여야 할 구체적인 ‘학습 목표’를 먼저 제시하 고,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이론이나 내용으로

‘기초 학습’을 간단하게 구성하였고, ‘기초 학습’은 여러 개의 소단원 으로 구체화된다.

각 소단원 뒤에 들어가는 ‘탐구’에서는 다양한 탐구 활동을 통하여 앞서 배운 문법 지식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중 단원 뒤에 들어가는 ‘가꾸기’에서는 앞서 학습한 지식을 실제 언어 생활에 직접 적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변 언어 현상에 대하여 관 심을 갖는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실제 언어 자료를 중심으로 이루 어졌다. ‘단원의 마무리’에서는 그 단원에서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여 보는 간단한 활동을 제공하여, 각 단원의 중심 개념과 지식을 효과

5) 우리는 인공적인 환경에서가 아니라 실제 생활 속에서 언어를 접하는 것이기 때문에 언어를 대상으로 하는 문법 교육도 이를 바탕으로 행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제 7차 문법 교과서에는 컴퓨터 상에서 이루어지는 대화 나, 영화 속 등장 인물들의 대사, 텔레비전 프로그램 자막, 시사 프로그램의 한 장면, 소설, 시, 잡지 광고, 만화, 신문 기사문, 표제어, 책표지 등의 실제 언어 생활과 관련된 자료들을 필요에 따라 제시하고 있다.

적으로 점검하고 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단 원 자 료

탐구3(121면)-‘부동산 뱅크’317호 (2001.5.22) 표지 탐구2(125면)-현대 I-PARK 광고 전단지

가꾸기3(158면)-헌법 재판소 판결문 (1999.12.23) 가꾸기4(158면)-학생의 글

단 원 자 료

어 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언어 경험들을 대상으로 학습자 가 주체가 되어 탐구활동을 중심으로 문법적 규칙이나 원리 개념 등을 찾아내고 학습자가 찾아낸 결과를 다시 실제 언어 생활에 반 영해 창의적인 국어 사용 능력을 신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의 언어 생활을 반영하고 있는 다양한 매체 언 어 중에서도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광고 언어를 택해 이를 문법 교육에 활용하기 위해 언어학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문법 교육에의 광고 언어 활용의 효용성과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해 보 고자 한다.

광고라는 대중 매체는 다양한 언어 사용 전략을 통해 사회적 실상 을 담아낼 뿐만 아니라, 사회를 지배하고 변화시키는 힘까지 지니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러한 광고에 나타난 언어 현상 들은 당대의 언어 사용의 실태와 양상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 치가 있다, 또한 광고의 기호적 속성은 대중 문화의 하나로 자리잡 아 가면서 일상 언어 생활에 큰 변화와 영향을 끼친다.

언어와 사회의 밀접한 영향 관계를 감안한다면, 광고 언어는 인간 의 사고와 생활에 막강한 위력을 발휘하는 대중매체로서 하나의 말 공동체에 중심이 되는 문화의 흐름을 긍정화하는 데에도 일익을 담 당할 밑거름이 될 것이다. 그러나 광고 언어는 광고 자체의 설득적 기능과 상업성 때문에 부정적인 측면도 많고 학생들의 언어 생활에 긍정적이기보다는 부정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더 많다. 이러한 부 정적 측면 때문에 교육적 자료로 부족하다는 걱정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부정적 측면까지도 국어 교육에서 수용하여 옳고 그름을 판단, 혹은 언어 현상의 하나로 분석해 그들 자신이 살고 있 는 시대의 언어 현실을 올바로 알게 할 수 있다면 오히려 학습자의 사고력을 증진시키고, 언어사용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광고 언어가 교육적으로 활용할 때 그 문제점이 없지 않으나, 본 연구에서는 다만 실제 언어 현상을 담고 있는 많은 매체 언어 중에 한 가지인 광고 언어를 문법 교육 활용할 때의 그 교육적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