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1장 고용변화의 구조적 요인과 고용창출에 대한 시사점

1. 고용변화의 추세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지난해 시작된 금융위기의 저점은 2009 년 1/4분기로 추정된다. 저점을 통과하면서 국내총생산은 전기 대비 본격적 성장을 시작하여 2/4분기에는 2.6%, 3/4분기에는 3.2% 성장하 였다. 또한 3/4분기에 이르러서는 전년 동기비로도 0.9%의 성장을 보 였다. 한편 고용사정은 다소 개선된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3/4분기에 전년 동기비 0% 성장에 머물러 경기회복세에 비해 미미한 성장을 보 이고 있다.

<그림 1> 최근 경기회복과 고용사정 국내총생산

-(단위: %)

취업자

-(단위: 천 명, %)

자료: 한국은행 경제통계,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이와 같은 저조한 고용회복세는 민간부문에서 더욱 명확히 나타나 고 있다. <그림 2>는 민간부문의 고용사정을 나타내는데, 2009년 1/4 분기 전년 동기비 취업자 수는 18만1천 명 감소한 이후 더욱 악화되 어 3/4분기에는 32만3천 명이 감소하였다. 이처럼 경기회복세에도 불 구하고 최근 고용사정이 개선되지 못하자 일부에서는 ‘고용 없는 회복 (jobless recovery)’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지난 34년간의 고용사정을 살펴보면 경기변동에 의해 고용성장이 축소되는 점을 감 안하더라도 취업자 증가가 너무 미미하다는 우려가 있다. 즉, 우리나 라 고용에 있어 경기순환적 측면이 아니라 보다 구조적인 문제가 있 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조적 문제 는 최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이미 발생하 였다는 지적도 있다.

<그림 2> 민간부문 고용사정

(단위: 천 명, %)

주: 민간부문 취업자는 전체 취업자 중에서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부문 취 업자를 제외한 수치이다.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이와 같은 우려를 확인하기 위해 보다 장기적인 측면에서 우리나라 고용사정을 살펴보면 취업자 증가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왔음을 알 수 있다. <그림 3> 상단은 지난 1970년 이후 우리나라 취업자 증가 및 HP filtering에 의한 취업자 증가 장기추세를 보여준다. 취업자 증 가의 경우 1970년대 및 1980년대에 비해 1990년대에 지속적인 하락을 보였으며 외환위기 이후 다소 회복을 보였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 서 다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1,162만 명이던 1970년대 평균 취업자 수가 2000년대에는 94% 증가하여 2,256만 명에 이른 것을 감안하면 경제규모 대비 취업자 증가는 더욱 크게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정은 취업자 증가율에서 명확하게 나타난다. <그림 3> 하단 은 취업자 증가율 및 HP filtering에 의한 장기추세를 나타내는데 1970 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3> 취업자 증감 장기추세 전년 동기비 증감

-(단위: 천 명)

전년 동기비 증감률

-(단위: %)

주: 1) 회색 부분은 한국은행 및 통계청이 발표한 기준순환일에 근거한 수축기 2) 실선은 실제값이고 점선은 HP filtering에 의해 계산된 장기추세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보다 자세한 분석을 위해 <표 1>을 살펴보기로 하자. <표 1>은 분 기별 자료에 기초한 시대별 취업자 증가 및 증가율 평균을 보여준다. 1970년대 43만2천 명이었던 전년 동기대비 취업자 증가는 1980년대 39만6천 명으로 줄었고, 1990년대에 44만5천 명으로 증가하더니 2000

년대에 접어들면서 33만 명으로 크게 줄었다. 이런 취업자 증가의 축 소는 취업자 규모를 반영한 취업자 증가율에서 더욱 명확히 나타난 다. 1970년대 평균 3.9% 성장하던 취업자 수는 1980년대에 2.7%, 1990년대에 2.3%로 줄었고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1.5%로 크게 하락 했다.

<표 1> 취업자 증가 장기추세

(단위: 천 명, %)

구 분 취업자 증가 취업자 증가율

실제(A) 추세(B) B/A(%) 실제(A) 추세(B) B/A(%)

1970년대 432 422 97.7 3.9 3.9 98.3

1980년대 396 396 100.1 2.7 2.7 100.5

1990년대 445 367 82.5 2.3 2.0 85.2

2000년대 330 272 82.3 1.5 1.3 81.5

주: 1) 분기자료의 전년 동기비 취업자 증가를 기준으로 계산 2) 1990년대는 외환위기의 영향이 심했던 1998년은 제외

<표 1>을 보면 1970년대 및 1980년대의 경우 HP filtering으로 추정 한 장기추세와 실제 취업자 증가가 거의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즉, 실 제 취업자 증가의 대부분이 장기추세의 증가에 의했다는 것이다. 그 러나 1990년대 이후에 들어서면서 실제 취업자 증가는 1980년대에 비 해 증가했지만 장기추세는 감소하여 전체 취업자 증가 대비 약 82.5%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 실제 취업자 증가마저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장기추세 역시 크게 감소하여 여전히 실 제 취업자 증가의 82.3% 수준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 이르러 장기추세의 하락이 더욱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취업자 수는 다른 거시경제 변수와 마찬가지로 경기순환적 요 인의 영향을 받는다. 이런 점을 감안하기 위해서 우선 경기순환일 기 준으로 취업자 증감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표 2>는 1970년 이

후 우리나라 경기순환일을 보여준다. 현재 우리나라는 1970년 이후 아홉 번째 경기순환을 겪고 있다. 그간 경기순환기의 평균 지속기간 은 50개월이며 이 중 약 31개월이 확장기(저점에서 정점 간)이고 19개월 이 수축기(정점에서 저점 간)이다.

<표 2> 우리나라의 경기순환

(단위: 개월)

구 분 기준순환일 지속기간

저점 정점 저점 확장기 수축기 순환기

제1순환기 1972. 3 1974. 2 1975. 6 23 16 39

제2순환기 1975. 6 1979. 2 1980. 9 44 19 63

제3순환기 1980. 9 1984. 2 1985. 9 41 19 60

제4순환기 1985. 9 1988. 1 1989. 7 28 18 46

제5순환기 1989. 7 1992. 1 1993. 1 30 12 42

제6순환기 1993. 1 1996. 3 1998. 8 38 29 67

제7순환기 1998. 8 2000. 8 2001. 7 24 11 35

제8순환기 2001. 7 2002.12 2005. 4 17 28 45

제9순환기 2005. 4 2008. 1 30

평균 31 19 50

자료: 통계청(2006) 및 한국은행 홈페이지

<표 3>은 분기별 자료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취업자 증감을 경기순 환일 기준으로 보여준다. 통계청 분기자료의 경우 1982년 2/4분기까 지는 분기말 자료이며, 1982년 3/4분기 이후는 분기평균자료를 사용 한다. 이 경우 전년 동기비 취업자 증감도 계절적 요인의 영향을 크 게 받게 된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는 1983년 이후를 분석기간으로 선택하였으며 그 결과 제4순환기 이후가 분석의 대상이 된다. <표 3>

에 의하면 지난 1985년 9월에 시작한 제4순환기부터 2005년 4월에 끝 난 제8순환기까지 평균 취업자 수는 전년 동기비로 약 39만8천 명 증 가하여 약 2.2%의 증가율을 보였다. 같은 기간 평균 경제성장률은 6.8%이며 고용탄력성은 0.37이고 국내총생산이 1% 증가할 경우 취업

자는 약 7만 명 증가하였다. 그러나 현재 진행 중인 제9순환기를 살 펴보면 취업자 증가는 26만3천 명으로 과거 평균의 2/3 수준에 머물 고 있고 취업자 증가율 역시 1.1%로 과거의 절반 수준에 머물고 있 다. 또한 같은 기간 고용탄력성도 0.37에서 0.24로 크게 하락하였으며 경제성장 1%당 취업자 증가 역시 7만 명에서 5만4천 명으로 감소하 였다. 따라서 경제성장률이 6.8%에서 4.2%로 하락한 점을 감안해도 취업자 수 증가는 크게 하락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체 취업자 증가 중에서 장기추세에 의한 부분을 살펴보면 제48순환기 사이에는 취업자 증가 39만8천 명의 대부분인 39만1천 명이 장기추세에 의한 부분인 반면 제9순환기에는 26만3천 명 중에서 약 83%에 해당하는 21만8천 명만이 장기추세에 의한 부분이다. 또한 두 기간 사이 취업자 증가세가 약 13만5천 명 감소했는데 장기추세는 무려 17만3천 명이나 감소했다. 따라서 제9순환기에 접어들어 나타난 고용창출 부진의 상당 부분이 경기순환적 요소라기보다는 장기추세의 하락에 의한 것이라고 하겠다.

<표 3> 경기순환과 고용변동

(단위: 천 명, %) 구 분

경기순환주기 기준 경기확장기간 기준 (저점저점 간) (저점정점 간) 제48 순환기 제9순환기 제48 순환기 제9순환기

고용증가 398 263 482 305

고용증가 장기추세 391 218 412 254

고용증가율 2.2 1.1 2.7 1.3

경제성장률 6.8 4.2 8.0 4.9

고용탄력성 0.37 0.24 0.39 0.28

1% 성장시 고용증가 70 54 72 64

주: 제9순환기는 2009년 자료를 제외한 결과이며 장기추세는 HP filtering에 의해 계산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www.kosis.kr)

그러나 제9순환기는 현재 진행 중이며 따라서 아직 순환이 끝나지 않은 제9순환기를 경기순환기 기준으로 과거 순환기와 비교할 경우 일정 수준의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지난 2008년 1월에 이미 정점을 지난 제9순환기를 경기확장기 기준으로 과거 경기순환기와 비 교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비교가 될 것이다. 경기확장기 동안의 취업 자 변화는 <표 3>의 우측 열에 나타나 있으며 최근 우리 경제의 고용 창출능력이 하락한 현상을 더욱 명확히 보여준다. 과거 경기확장기동 안 평균 48만2천 명 증가하던 취업자는 제9순환기 동안 30만5천 명에 그쳐 과거 평균의 약 63% 수준에 불과하다. 고용증가율도 2.7%에서 1.3%로 하락했으며 고용탄력성 역시 0.39에서 0.28로 크게 하락했다. 또한 앞서 경기순환기 기준으로 살펴본 것처럼 경기확장기에도 취업 자 증가세 감소는 대부분 장기추세의 하락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제48순환기에 비해 제9순환기에는 취업자 증가가 약 17만7천 명 감 소했는데 이 중 약 90%에 해당하는 15만8천 명이 장기추세의 하락으 로 설명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지난 1980년대 이후 우리나라 취업자 증가 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왔으며, 특히 2000년 이후와 제9순환기에 접 어들면서 하락세가 두드러진다. 또한 최근 취업자 증가세의 하락 중 대부분이 장기추세의 하락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 은 분석은 취업자 증감에 단순히 HP filtering을 적용하여 장기추세를 구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계절적 요인이 안정적인 경우에만 유용 한 전년 동기비를 사용하여 계절적 요인을 제거했다는 한계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인구성장에 대한 감안이 전혀 없다는 단점 역시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취업자 증감 장기추세의 변동에

대해 보다 자세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특히 취업자 증감 중에서 경 기순환, 인구변동, 계절적 요인 등의 영향을 제거하여 보다 정확한 장 기추세 추정치를 구하고, 지난 1980년대 이후 그 변동을 살펴보고 과 연 취업자 증가의 장기추세가 하락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또한 언 제부터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