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의 여부와는 상관없이 시행되고 있는 학교정보의 통제와 교육과 정 및 교원 인사 등 학교운영에 대한 각종 규제가 학교와 사회의 의사소통의 통로를 가로 막고 있는 것이다.

평준화 정책의 많은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이를 재정립하기 위 한 개혁이 지연되고 있다. 교육개혁이 계속 늦어지고 있는 것은 개혁의 권한마저 중앙정부에 집중되어 있고, 여기에 이해관계가 맞닿아 있는 조직들이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개혁의 의제와 방향이 종종 좌절되고 왜곡되었던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올바른 개혁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자율과 책무의 원칙으로 교육주체들이 균형 잡힌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

정부를 비롯한 교육당국은 우선 독점하고 있는 교육관련 정보 를 국민들에게 되돌려 주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학부모와 지역 사회와 함께 개혁의 필요성과 방향을 고민해야 한다. 또한 정부 는 모든 지역과 학교에 일률적인 기준을 적용해 규제해야 공평하 다는 편견에서 벗어나야 한다. 정부의 개입 없이도 잘할 수 있는 지역과 학교에는 자율을 확대해 주는 대신 그 지역의 학생과 지 역사회로 하여금 이들 학교의 책무를 묻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 리고 정부는 더 많은 지원과 관심이 필요한 지역과 학교를 파악 하고 우선 배려해 교육격차의 해소에 주력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자율형 학교제도를 정착시켜 단위 학교의 자율성을 신장하고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선택권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 다. 또한 대학들이 학생선발 과정에서 다양한 학교와 학생들의 노력과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획일적인 규제에 묶여 있는 교원인사 및 교육과정, 교과서시장 역시 동시에 점진적으로 개선되어 나가야 한다. 무엇보다 지금까 지의 교육개혁이 중앙정부 차원에서 거대한 틀을 움직이려 하다 가 지체되고 있다는 점을 볼 때, 지방교육자치제도의 혁신을 통

해 지역의 특성에 맞는 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의 역 량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우리 교육에 있어서 정부 규제는 학교와 교원, 그리고 학부모 의 자율적 역량이 아직 부족하다는 논리로 옹호되기도 한다. 그 러나 이는 거꾸로 정부의 획일적 규제가 학교와 지역사회의 자율 적 역량을 저해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 이제 우리는 사회 다른 어떤 분야보다도 교육의 틀에 강하게 남아 있는 이 관치교육의 함정에서 벗어나야 한다. 중앙정부에 집중된 권한을 지방자치단 체에 되돌려주고, 지도감독 위주의 학교 장학에서 벗어나 문제해 결과 현장지원 위주의 정책으로 전환해야 할 것이다. 교육이 지 역사회의 현안으로 인식되고 지역공동체가 중심이 되어 스스로 해결해 가는 것이 옳은 길이다.

학교교육의 질적 개선은 결국 국가, 지역의 시민사회, 그리고 민간분야의 적정한 역할분담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중앙의 교육 부가 모든 정책권한을 움켜쥐고 개별학교와 대학들을 간섭해서 온 나라의 자녀들의 특성에 맞는 교육을 충족시켜 줄 수는 없다.

지역사회와 학교단위에서 머리를 맞대고 우리의 학생들에게 좀더 좋은 교육을 해 줄 수 있는지 고민하고 해결책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길을 열어 주어야 한다. 그것이 학교를 살리는 길이며 우 리의 교육이 거듭나는 길이다.

참고문헌

강상진 외, 󰡔고교 평준화 정책 효과의 실증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 발연구원 연구보고 RR 2205-2.

강영혜 외, 󰡔고교 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 한국교육개발연구원 연구보고 RR 2005-1.

강인수, 「고등학교 평준화제도의 헌법적합성 검토」, 󰡔교육행정학연구󰡕, Vol.20, No.4, 2002, pp.23-54.

김광억・김대일・서이종・이창용, 「입시제도의 변화: 누가 서울대학교 에 들어오는가?」,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4.

김기석 외, 󰡔평준화 정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연구보고 RR 2005-3.

김명숙,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의 목적과 활용방안󰡕, 한국교육 과정평가원, 1998.

김명숙 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체제 구축 방안 연구󰡕, 교육인 적자원부 교육정책연구 2001-14.

김병기, 「교육관련 행정입법의 문제점과 ‘법률화’ 방안」, 국회개원 제 56주년 기념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2004.

김성인, 「대입전형 제도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 방안」, 󰡔교육개발󰡕, 1・2월호, 2001, pp.52-55.

김영철・김주훈・이인효・최돈민,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의 개선방안」, 한국교육개발원, 1995.

김정래, 󰡔사립고등학교의 평준화 정책 적합성 연구(I)󰡕, 한국교육개발 원 RR 2003-3.

김태일, 「고교 평준화 정책의 학업 성취효과 분석」, 󰡔한국정책학회󰡕, 제7권 제3호, 1998, pp.235-260.

김태종・이명희・이영・이주호, 「고교평준화 정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 는 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육개혁연 구소, 2004.

교육인적자원부, 󰡔교육통계연보󰡕, 2005.

______, 「OECD 교육지표」, 통계자료 SM 2004-5, 2004.

박부권 외, 「고등학교 평준화정책의 진단과 보완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정책연구󰡕, 2002 특15, 교육인적자원부, 2002.

박세일・우천식・이주호 편, 「자율과 책무의 학교개혁: 평준화 논의를 넘어서」, 한국개발연구원 –교육개혁포럼 공동연구, 2002.

박 정 외, 󰡔국민 기초교육에 대한 국가수준 성취기준 설정 및 평가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E 2002-2.

성기선, 「고교 평준화 정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 국교육연구󰡕, 제26권 제2호, 1999.

윤종혁, 󰡔고교 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I)󰡕, 한국교육개발원 RR 2003-1

윤정일・이수정,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납입금 책정에 관한 연구」, 󰡔교 육행정학연구󰡕, 제21권 제4호, 2003.

이명희 외, 󰡔2001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연구 총론󰡕, 한국교 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1-5-1.

이종태 외, 「자율학교 시범운영 결과 분석과 제도화 방안 연구」, 수 탁연구 CR 2001-20, 한국교육개발원.

이주호, 「고교 평준화 정책의 개선 방안」, 󰡔교육재정경제연구󰡕, 제11 권 제1호, 2002, pp.237-269.

이주호・우천식, 「한국교육의 실패와 개혁」, 󰡔KDI정책연구󰡕, 제20권 1・2호, 1998.

이주호・홍성창, 「학교 대 과외: 한국교육의 선택과 형평」, 󰡔경제학연 구󰡕, 49집 1호, 2001.

정구향,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 원 연구보고 RRE 2004-1-1.

채선희 외, 󰡔2002학년도 초등학교 3학년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 가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E 2003-1.

함수곤・강환동・홍후조・조성준, 「교과용도서 검정 업무 개선 방안 연 구」, 재단 법인 한국교과서 연구 재단, 2002.

Hoxby, Caroline Minter, “School Choice and School Productivity (or Could School Choice Be a Tide That Lifts All Boats?),” in

The Economics of School Choice, edited by C. Hoxb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3a.

______, “School Choice and School Competition: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unpublished manuscript, 2003.

Kim, Sunwoong and Ju-Ho Lee, “Demand for Education and Development State: Private Tutoring in South Korea,” KDI School Working Paper,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ment, 2001.

Rodrik, Dain, “Institutions for High-quality Growth: What They are and How to Acquire Them,” NBER Working Paper 7540, 1999.

Abstract

Ways of fostering environment for educational competitiveness

Shin, Jongick Kang, In Soo

Lee, Ju Ho Hong, Song Chang

The educational reform in Korea has been launched in 1993.

However it hasn’t been different much except for a slogan, ‘the education based on the users’. The parents and students say that the choice related to the school is still limited a lot and the teachers also point the seriousness of the educational issues.

Why is it so difficult to reform the educational system unlike other fields like business and administration, even though many people are aware of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 One of the reasons is probably the way of reform. Such reforms as the cancellation of the equalization policy, the extention of the self-control in the private schools, the opening of educational market necessarily result in opposition from the political party and civil groups and blocking reform.

Therefore the way of educational reform should be changed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