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활성화 방안 및 결론

2. 결론

안적 갈등해소방안(ADR)에 대한 도입과 적용이 필요하다. ADR에 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갈등을 중간에서 조정할 수 있는 조정자의 역할과 서로의 정보와 의견을 전달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이다.

ADR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법은 협력적 파트너십에서 이용 가능 한 것으로 갈등정도가 심각하지 않은 상태에서 더욱 유용하다.

여덟째, 파트너십의 사전 규칙이나 규정이 잘 정비되어 운용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다양한 집단의 참여에는 파트너간의 책임과 의무를 규정하고 파트너십의 활용과 의사결정을 위한 절차 등이 규정되어야 한다. 또한 자발적인 파트너십에서 수립된 의사결정이 나 활동의 결과가 공공이익에 합치되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정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가장 좋은 방법은 파트너십의 참여자의 일원으로 책임 있는 정부기관이 참여하고 지 원하는 것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어야 하며 수시로 정책에 반영하려 는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 영국의 사례에서와 갈이 비공식적이고 자발적인 파트너십에서 수립된 계획이나 정책을 정부에서 제도적 으로 수렴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운영방식을 분석하고 한국에서의 지역정책 수행에 있어서 도입가 능성을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었다.

사회의 여건과 정치적 상황이 상이하여 자율적인 파트너십의 형 성 토양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성공적 활동이 곧 우리나 라에도 성공적으로 이식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비록 형태 나 활용분야가 다르더라도 적어도 성공적인 활동을 위한 여건 및 환경조성은 앞으로 협력적인 파트너십의 활용도를 높이고 활성화 하기 위한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① 참여그룹의 지위와 관할권 유무가 파트너십 활동의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치 고 공공정책에 채택의 가능성이 높이므로 이들의 참여가 필수적이 다. ② 포괄적인 많은 이해당사자의 참여는 파트너십의 활동에 긍 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나 핵심 참여기관의 조정능력과 효율 적 조직 구성이 이루어지고 기관간의 신뢰 구축이 우선되어야 한 다. ③ 참여동기 유발을 위해서는 파트너십의 활동범위의 설정이 매우 중요하다. 목표설정이 지속가능하고 환경 친화적인 활동목표 가 설정될 경우 대외적으로 도덕적인 우위와 신뢰를 구축하여 참 여기관의 자발적 행동과 적극성을 가져오게 된다. ④ 마지막으로 정부의 공공정책과 파트너십의 활동 및 결과가 상호 연계성을 갖 도록 하는 노력과 제도적인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지속적인 활동이 가능할 것이다. 앞으로 다양한 사회의 공공정책에 협력적 참여를 위한 민간 주도의 자율적인 파트너십의 형성도 중요하지만 파트너 십이 형성된 후 지속적이고 성공적인 파트너십의 활동이 더욱 중 요하기 때문에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성공요인에 대한 연구와 교육 이 더욱 필요하다.

성공적인 요인으로 분석된 상호신뢰 구축과 원활한 의사소통은 협력적 파트너십의 근본 토대가 되는 요소이며, 이는 결국 참여하

는 인적 구성원의 정신과 역할에 딸린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 구에서 제기되었듯이, 파트너십의 대표자회의에서의 회의진행자의 역할과 책임이 성공적인 파트너십의 운영에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 되었다. 하지만, 이런한 회의진행자의 역할에 대한 지침과 실제 파 트너십에서의 협의 과정에서 사용되는 테크닉에 대한 사항은 기존 연구에서 활발히 이루어져 있으며 대두되는 무제점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제시하 지 않는다. 파트너십의 조정자의 역할이나 이용될 수 있는 테크닉 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Doyle and Strau s (1982), Kaner (1996), S chw ar z (1994), St rau s (1999) 등의 연구를 참조할 수 있 다.

본 연구의 한계는 보다 많은 사례를 통하여 일반화된 자율적 파 트너십 형태의 정립에서 부족한 면이 있으나 파트너십의 유동적인 구조를 감안한다면 파트너십의 일반적인 정형화근본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는 것이 기존 연구의 보편적인 분석이다. 그리고 머시 강 파 트너십의 공공정책 활용에 대한 분석을 있었으나 포토맥 강 파트 너십의 활동이 공공정책에 기여도는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분석이 미비하여 아쉬운 부분이다. 그 외에도 파트너십의 이론적 접근방법 을 지원하고 협력적 자원관리를 위한 심층적인 제도적인 분석 및 개발 틀의 구축에 대한 분석이 더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