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고혈압 효과분석 대상 기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관의 진료과별 분포, 만성질환 관리사업 참여 여부별 분포, 남성 환자 비율, 동반질환 비율, 노인 인구 비율을 분석함44) - 효과분석 대상 기관 수는 평가 지표별로 다르며, 처방지속성은 11,902개 기관, 처

방은 10,233개 의료기관이 포함됨

- 처방지속성 평가대상의 경우, 기타(40.0%)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내과(28.8%), 일반의(24.2%) 순으로 나타남. 처방지표 평가대상의 경우, 내과(33.4%), 기타 (31.7%), 일반의(26.8%) 순서임을 확인함

- 처방지속성과 처방 지표 모두 2015년 만성질환관리사업 참여율이 2012년보다 증가 한 것으로 확인됨

○ 가산을 받는 기관과 가산을 받지 않은 기관의 특성을 파악하고 각 그룹별 가산지급 전후의 평가지표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대상기관을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지속 적으로 가산을 받은 기관, 지속적으로 가산을 받지 않은 기관, 가산지급의 변동이 있는 기관으로 구분함

- 진료과별 분포를 살펴보면 지속적으로 가산을 받은 기관과 가산지급의 변동이 있는 기관은 평가지표 모두 내과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일반의, 기타 등의 순이었으며, 지속적으로 가산을 받지 않은 기관은 기타(64.9%, 52.2%)가 가장 높은 비율로 분 석됨

- 지역사회 일차의료시범사업 등 만성질환관리사업 참여율은 지속적으로 가산을 받은 기관(74.2~76.6%)과 가산지급의 변동이 있는 기관(62.5~64.1%)에서 상대적으로 높았고, 지속적으로 가산을 받지 않은 기관(25.6~26.8%)에서는 낮은 것으로 분석됨

44) 평가대상 기관을 가산지급여부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기관의 진료과별 분포와 만성질환관리사업 참여 여부 분 포가 그룹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문에서는 이를 중점적으로 다룸. 그 외(남성 환자 비율, 동반질환 비율, 노인 환자 비율) 분포는 부록을 참조

구분 처방지속성 평가대상 처방 평가대상

○ 가산 지급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평가를 받은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패널데이터를 구축함. 또한 가산 효과를 세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지속 적으로 가산을 받은 기관, 지속적으로 가산을 받지 않은 기관, 가산 지급의 변동이 있는 기관으로 구분하여 분석함

- 전체 기관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2011년 대비 2012~2015년 모두 단일기관 이용자 수가 감소함. 세부 그룹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지속적으로 가산을 받 은 기관들은 2011년을 기준으로 단일기관 이용자 수가 증가하였으나, 지속적으로 가산을 받지 않은 기관은 전체와 같이 감소함. 가산지급의 변동이 있는 기관은 지속 적으로 가산을 받은 기관과 동일하게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음.

지속적으로 가산을 받은 기관과 지속적으로 가산을 받지 않은 기관은 단일기관 이 용자 수가 증가 또는 감소하였지만 해당 의료기관에 환자가 증가 또는 감소해서 나타 난 효과인지 가산지급에 의한 효과인지 분명하지 않음

- 처방일수율은 전체 및 세부 그룹 모두 2011년 대비 2012년에 증가하였으나 2014~2015년에는 감소함

- 전체 기관과 지속적으로 가산을 받지 않은 기관은 2011년을 기준으로 2012~2015 년 모두 처방지속군이 감소하였고, 지속적으로 가산을 받은 기관과 가산지급의 변 동이 있는 기관은 2012년은 증가하였지만 2014~2015년은 감소함

- 동일성분군 중복 처방률과 이뇨제 병용 투여율은 전체 및 세부 그룹 모두 2011년 을 기준으로 2015년은 감소하였고, 동일성분군 중복 처방률은 지속적으로 가산을 받은 기관이 다른 세부그룹보다 상대적으로 감소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남.

이뇨제 병용 투여율은 지속적으로 가산을 받지 않은 기관의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컸음 - 전체 기관 및 모든 세부 그룹은 2011년을 기준으로 2015년의 권장되지 않는 병용요법

처방률이 감소하였고, 지속적으로 가산을 받는 기관에서 감소가 다른 세부 그룹군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컸음. 그리고 지속적으로 가산을 받지 않은 기관은 상대적으로 처방률 감소가 작았음

○ 세부 그룹 간에 일부 지표의 시계열추세의 양상이 다르며, 평가지표 결과에 따라 가산 금 지급 여부가 결정되므로 세부 그룹 간 시계열추세의 상대적인 변화 방향과 크 기의 차이를 정책 효과라고 해석하기에는 제한적임

구분

* p<0.05, ** p<0.01, *** p<0.001

주 1. 단일기관이용자 수는 정규성을 만족하지 않아 로그변환하여 분석함

<표 45> 고혈압 패널분석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