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994~2000년 북한기근: 발생, 충격 그리고 특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Share "1994~2000년 북한기근: 발생, 충격 그리고 특징"

Copied!
221
0
0

전체 글

머리말

북한기근의 존재와 기간

북한 식량위기의 연대기 : 외부 관찰자 기록과 탈북자 증언

이에 따라 북한의 식량위기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는 큰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둘 사이에는 한 가지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북한기근의 존재와 기간

올해 농민에 대한 식량배급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비농민에 대한 식량 공급은 계절적 변동이 컸다. 둘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었습니다.

북한기근의 인구학적 충격

북한기근의 총인구손실 규모 Ⅰ-공식통계를 이용한 추정

이는 해당 국가의 인구 규모에 대한 간략한 요약입니다. 사실 평가 대상인 북한 인구는 총인구가 아닌 민간인구(도별 총인구)여야 한다.

북한기근의 총인구손실 규모 Ⅱ-북한 어린이 영양실태

대부분의 국가에서 아동이 가장 많은 사회적 보호를 받는 연령층에 속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만성 영양실조 아동의 비율과 조사망률 사이에 거의 선형 관계가 있는 것이 당연할 수 있습니다. 66. (대략) 사망률 추정 북한 어린이 영양상태 조사 결과를 활용한 인구 규모.

북한기근의 지역별 피해 격차 측정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기근이 본질적으로 도시기근이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비농민에 대한 배급이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둘 사이에는 식량 배급에 큰 차이가 있었다. 반면, 비농업인에 대한 식량배급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북한기근의 세 가지 특징과 한 가지 퍼즐

절대적 FAD 기근

둘째, 기근의 지역적 이주 과정은 FAD의 지역적 과정과 일치한다. 먼저 북한 기근의 기원과 전개 과정, 그리고 FAD의 관계를 살펴보자.

도시 기근

그들이 굶주린 이유는 도시로 들어오는 음식이 없었기 때문입니다.70. 기근이 발생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농촌 지역은 도시 지역보다 가난했고, 농촌 지역의 추가 고용 기회는 더욱 적었으며, 어떤 경우에는 농민들이 정치적으로 학대를 받기도 했습니다.

슬로우 모션 기근

인구감소 측면에서 북한의 기근은 왜 중국이나 소련의 기근에 비해 약한가? 물론 이 방법은 북한의 기근에도 여전히 적용될 수 있다.

북한기근의 퍼즐

이러한 분배 패턴은 식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불가피했을 수도 있다. 문제는 비수기에는 주민 사망률이 급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북한정부는 기근시 농촌지역의 식량생산에 필요한 '최소한의 알곡'을 확보하는 정책을 최우선으로 삼았으며, 그 결과 지역별 식량생산실적의 큰 차이에도 불구하고 농민들에게 식량을 공급한 것이다. 한국과 상대적으로 동등했다.

북한의 식량지위와 도시 기근

식량지위와 배급제 경제

일반적으로 시장 경제에서 개인의 영양 상태는 두 가지 변수에 의해 결정됩니다. 북한 배급경제의 식량상황.

북한의 식량지위 체계와 기근

북한의 식량배급제도와 식량상태제도. 농민과 비농민의 영양상태와 기아.

북한기근 기간 동안의 식량공급 형태와 패턴

이러한 사실은 비농업인에게 식량을 배분하는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비농민에 대한 식량공급은 지역별로 극심한 차이를 보였다.

북한의 식량지위 체계와 도시 기근

물론 이러한 논의는 북한 정부가 기근 기간 동안 주민들의 사망률을 억제하는데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는 사실, 즉 지금까지의 북한 정부의 비인도적인(?) 행태에 근거하고 있다. 북한 정부는 1990년대부터 농업생산의 가장 큰 문제점을 비료 부족으로 판단하고 관련 수치를 FAO와 WFP에 정기적으로 보고했기 때문이다.

북한의 식량지위와 슬로우 모션 기근

사회주의 기근과 정부의 기근대응정책

③ 분배 실패: 대부분의 사회주의 정부는 농민들로부터 너무 많은 식량을 강제로 거두어들이는 경향이 있었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사회주의 경제에서 생산되는 식량이 일차적이다.

북한정부의 초기 기근인식 실패 가능성 검토

북한의 곡물 무역을 이해하는 지름길이다. 한마디로 북한은 '식량을 자급하면서 곡물을 수입한다'는 매우 독특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북한정부의 구호 실패 가능성 검토

그러나 이는 이 기간 사망률 증가를 억제하는 데 국제식량지원이 큰 역할을 했음을 의미하며, 이는 북한정부가 국제식량지원 확보에 이러한 노력을 기울인 이유이기도 하다. 확실한 것은 정부가 과일, 나무뿌리, 나무껍질, 버섯, 나뭇잎, 풀 등 주요 곡물 외에 곡물과 대체식품 섭취를 장려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이다.

북한정부의 분배 실패 가능성 검토

셋째, 국가의 곡물 수집·판매 정책으로 인해 지역별 농민 1인당 곡물 생산량에는 큰 차이가 있었으나 실제 분배되는 곡물의 양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평양이나 황해남도 등 도시 주민들의 식량 배급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의 수치와 비교해 보면 예상만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북한의 국가적 기근대응전략과 슬로우 모션 기근

따라서 북한정부가 주도하는 국가적 기근전략이 실제로 존재했던 것이다. 셋째, 북한 기근을 가장 잘 표현하는 단어는 '절대적인 식량 공급의 감소로 인한 기근'이었다는 점이다.

결론

1990년대 북한의 곡물생산 실패와 관련된 제 가설의

황장엽 前 노동당 비서의 증언과 북한의 기근 사망자

참조

관련 문서

한국 농업이 위기상황에 직면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 위 한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니다.. 우선 웰빙 열풍의 활용과 시장개방을 역으로 이용하는

[r]

소규모 유통업을 보호하기 위해 대규모 유통업을 규제해 온 것은 공익을 위해 그랬던 것이 아니다.. 규제개혁을 위해 서는

[r]

이를 위해 이 보고 서는 수용지역의 밀도규제를 엄격히 하여야 하고, 개발수요가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선정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수용지역에 대해 밀도를 엄격하게

글린 데이비스와 톰 도닐런의 대북정책의 내용으로 볼 때, 오바마 2기 행정부 는 기본적으로 북한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가지고 있으며, 북한의 도발에 대해 적극적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북한이 보유하고 있는 관광자원의 잠재력을 분 석하고 동시에 관광개발을 위한 수요분석을 통한 관광자원의 개발여건을 발굴하 고, 이에

이 글은 전체적으로 미적 판단에 대해 서로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는 실재론자들, 반실재론자들, 그리고 이들의 입 장을 포괄하고 있는 레빈슨의 주장을 살펴보면서 다양한 미

이렇게 긍정적으로 확대되는 사업도 무자비한 확 장은 오히려 사고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 한 것은 매우 의미 있다고 판단된다.. 제한속도를 낮추면 사고 율이 줄어든다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