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중심 심리상담에서 정서 이면 욕구 확인의 치료적 효과. 부적 정서의 경우,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 하여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Greenberg와 Paivio(1997)는 정서 이면의 욕구를 확인하는 단계적 접근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때문에 본 연구 에서는 정서 이면의 욕구를 확인하는 과정은 단계적으로 적용되는 몇 가 지 처치요소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연구문제 및 가설
이론적 배경
정서와 상담
정서
감정과 정서는 모두 무의식적·생리적 반응으 로서의 정동에 대한 의식화를 거쳐 생겨난다. 우리는 또한 특정 대상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감정이라고 명명하기도 한다.
정서의 특성
또한, 정서는 행위 경향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넷째, 정서는 인간의 행동을 조직화한다.
정서와 상담
아홉째, 정서 도식의 활성화는 정서적 경험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다섯째, 부적응적 정서적 반응은 학습될 수 있다.
정서와 욕구의 관계
욕구
셋째 단계의 욕구는 애정의 욕구(love needs)로 타인으로부터 사랑과 애정을 받고자 하는 욕구이다. 넷째 단계의 욕구는 존중 의 욕구(Esteem needs)로 자신이 가치 있는 존재라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는 욕구이다.
정서와 욕구의 관계
이 중에서 욕구와 연결되어 있는 정서는 일 차적 적응적 정서이다. 이러한 경험들은 부적응적 정서 도식을 대체하기.
이성관계에서의 분노와 욕구의 관계
이처럼 분노는 사랑하는 사람과의 관 계에서 더 빈번하게 경험하게 되는 정서이다. 일차적 정서로서 의 분노는 대부분 침입이나 위반에 대한 분노이기 때문이다.
상담이론에서의 욕구 확인
말하자면, 일차적 정서와 연관되어 있는 욕구를 확인하는 것은 적응적 행위를 유도하고 이끌어내는 역 할을 한다(Greenberg & Safran, 1987). 이를 통해 내담자 는 부적응적 행동 뒤에 숨어있었던 욕구를 의식하게 되는데 이것을 정신 역 동적 치료에서의 욕구확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상담에서 정서 이면 욕구 확인의 전략과 기법
3수준 공감은 내담자가 표현한 감정이나 의미를 거의 비슷 한 수준으로 표현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표현한 감정 이면의 의미를 정확하게 표현해주고 내담자의 내면적 자기 탐색 을 지지하고 촉진하는 것이다.
상담에서 정서 이면 욕구 확인의 단계적 과정
이러한 욕구나 목표, 소망은 내담자의 정서 도식을 재구성 하기 위한 새로운 자원이 되어준다. 이 단계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내담자에게 새로운 의미 가 창조된다.
상담에서 정서 이면 욕구 확인의 치료적 효과
정서 이면 욕구가 정적 정서를 불 러일으킨다는 것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대인관계 신경생물학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세 번째로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은 정서 이면의 욕구를 확인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비교집단)의 기꺼이 경험하기 수준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
64명의 실험 참가자 중 이성관계에서 분노를 경험했던 사건의 회상을 통한 정서 활성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참여자 2명, 정서 활성화 이후에도 기분의 변화가 없다고 응답한 참여자 3명, 정서 활성화 이후에 기분 변화가 잘 이루어졌지만 회상으로 인하여 느끼게 된 부정적 감정으 로 인해 더 이상의 실험 참여가 어렵다고 호소하여 실험을 포기하고 상 담을 진행하게 된 참여자 2명, 조작확인(manipulation check)을 통해 지 시사항을 잘 이해하지 못했다고 응답한 참여자 1명, 불성실한 응답자 2 명을 제외한 총 54명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연구절차
정서중심상담(Greenberg & Paivio, 1997)에서는 일차적 적응적 정서 에 접근하여 그 이면의 적응적 욕구에 다가가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실제 피험자들의 사적인 경험을 둘러싼 답변 내용에서 발췌한 부분이므로 익명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주 어는 ‘그(녀)’로 표현하였다. 5) 실험절차.
연구도구
부적 정서 척도, 기꺼이 경험하기 척도를 실시하였다. 이 원 척도를 이현희, 김은정과 이민 규(2003)가 타당화하여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를 구성하였다.
자료분석
연구결과
연구결과 분석을 위한 타당성 검토
이러한 정서의 활성화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Lang 등(1980) 이 소개한 SAM의 호감도, 각성도, 통제감을 측정하였다. 자극 직후의 호감도, 각성도, 통제감 점수가 기저 선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함으로써 정서의 활성화를 위 한 조작이 성공적이었는지 확인하였다.
정서 변화
이러한 집단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검증하기 위하 여 사전 정적 정서 점수와 사전 부적 정서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다변 량 공분산분석(MANCOVA)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4>에 제시 하였다.
혈압의 변화
기꺼이 경험하기
각각의 문항에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기꺼이 경험하기 수준을 보고하였다.
논의
정서 이면의 욕구 확인이 정서에 미치는 효과
이러한 관점으로 봤을 때, 본 연구에서 비교집단의 부적 정서가 감소하고 동시에 정적 정서도 감소한 현상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정서 이면 의 욕구를 확인한 집단에서는 부적 정서가 비교집단에 비하여 더 큰 폭 으로 감소하였고 정적 정서는 상승하였다.
정서 이면의 욕구 확인이 혈압에 미치는 효과
분석 결과, 수축기 혈압은 실험집단에서 비교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 게 감소하였다. 또한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운동처치가 환자의 수축기 혈압을 낮추는 것에는 효과적이었으나 이완기 혈압을 변화시키지는 못하였다는 연구결과(백경엽, 2008)와도 일치한다.
정서 이면의 욕구 확인이 수용에 미치는 효과
말하자면, 정서 이면 욕구의 확인 및 타당화를 통해서 경험에 대한 수용이 촉진된 결과는 타당화의 기제를 통해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 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정서 이면의 욕구 확인이 경험의 수용을 촉진한다는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
연구의 의의
상담과정에서의 정서전염에 대한 이해와 임상적 활용. 내담자의 정서표현에 대한 상담자의 인식: 비교문화연구.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